저수조의 점검은 수도시설의청소및위생관리등에관한규칙 제6조에 의하여 동 규칙 별표 3의 기준에 따른 위생점검과 동 규칙 제10조에 의한 시장ㆍ군수의 저수조의 관리상태의 점검이 있으나, 여기서 말하는 시설점검이란 저수조시설의 노후ㆍ부식여부 및 누수여부와 이물질의 유입상태등을 점검하여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문제점이 발견되면 적절한 개ㆍ보수 조치를 취하기 위한 것이다.
1.1 외부점검
저수조의 외부점검은 수도시설의 청소 및 위생관리등에 관한 규칙 별표 3에 점검내용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그에 따라 매월 점검하도록 한다.
1.2 내부점검
저수조시설의 내부점검은 그 특성상 물을 배수한 상태에서만 가능하므로 6개월마다 청소를 할 때에 점검할 수밖에 없으므로 저수조의 관리자는 청소할 때에 저수조의 내부를 점검하여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1.2.1 노후ㆍ부식여부의 점검
저수조 내부시설의 노후ㆍ부식여부를 다음 사항에 따라 점검한다.
① 저수조 내벽의 균열사항 점검
② 저수조 내벽 및 구조물의 도장상태
③ 외벽 도장 불량으로 빛의 투과여부
④ 저수조 내벽의 재질상태 점검
⑤ 배관의 부식사항 점검
⑥ 저수조내의 퇴적물 점검
⑦ 기타
1.2.2 누수여부 점검
저수조의 누수는 매우 위험한 요인을 갖고 있다. 천정, 벽, 바닥에 생긴 균열이나 구조물의 열화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오수가 역유입되거나 스며들기 때문에 조명을 밝게하여 육안으로 면밀하게 점검하여야 한다.
1.2.3 저수조 내부점검표
저수조내부는 (표 3.1)에 따라 실태와 개량사항을 기록하고 빠른 시일내에 개ㆍ보수하도록 한다.
2. 저수조의 재질별 특성과 개ㆍ보수방법 저수조시설은 다음과 같이 재질에 따른 특성이 있으므로 그 특성에 따라 개ㆍ보수하도록 한다. 2.1 콘크리트 저수조 콘크리트 저수조는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성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타 재질에 비하여 경제적이고 내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대규모 용량에 적합하므로 저수조의 재질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건조 수축, 균열의 발생(특히 내부구조는 두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없고 연장이 길며 신축(伸縮)이음부를 두기 어려워 건조수축,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정밀시공이 요구됨)에 따른문제점이 대두됨으로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방수 및 수질오염을 막기 위하여 내부도장을 한다.
2.2 FRP 저수조 FRP 저수조는 시공 기간이 짧고 운반이 용이하여 경량저수조에 적합하다. FRP 저수조는 수작업으로 제작된 판넬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고 연결분은 고무이음재를 사용하여 볼트로 체결 제작하고 있는데, 수작업으로 인하여 유리섬유가 50% 이상 함유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내구성이 좌우되며, 볼트 체결 부위의 수밀성 취약 및 시간경과에 따른 강도 열화로 유리 섬유의 유출이 가능하며 배관 접속부 등의 내진성이 취약하다. 그러므로 시간경과에 따른 박리현상은 되도록 빠른 시간내에 보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1≫저수조 내부 점검표 |
건 축 물 | 위 치 | # | ||
건축물의 명칭 및 용도 | ## | |||
연 면 적 | ㎡ (공동주택인 경우 세대수) | |||
# | 설치위치 | 지 하 | 개 | 건물 내부ㆍ외부 |
고가 | 개 | 건물 내부ㆍ외부 | ||
기타 | 개 | 건물 내부ㆍ외부 | ||
재 질 및코팅상태유ㆍ무 | 지 하 | |||
고가 | # | |||
기타 | # | |||
규 모 | 지 하 | ㎥ | ||
고가 | ㎥ | |||
기타 | ㎥ | |||
점 검 실 시 일 | 년 월 일 |
◎저수조 점검사항 |
# | 실 태 | 개 량 사 항 | ||
저수조 내부 상태(균열, 방수, 도장.피각질, 기타 등) | 내 벽 | # | # | |
천 정 | # | # | ||
바 닥 | # | # | ||
배 관 | # | # | ||
사 다 리 | # | # | ||
기타구조물등 | # | # | ||
바 닥 | 경 사 여 부 | # | # | |
집수정유ㆍ무 | # | # | ||
유입구 및유출구 | 설 치 위 치 | # | # | |
재 질 | # | # | ||
녹의 발생상태 | # | # | ||
배출구 | 설치위치및잔수유ㆍ무 | # | # | |
사 다 리 | 견 고 성 | (실 태) | (개량사항) | |
재 질 | # | # | ||
녹의 발생상태 | # | # | ||
출 입 구 | 재 질 | # | # | |
유해물질 침입여부 | # | # | ||
출입의 적, 부 | # | # | ||
부 속 기 기 의 정상적 작동여부 | 볼탑 및 수량조절기 | # | # | |
경 보 기 | # | # | ||
기 타 점 검 | # | # | # | |
사 항 (항목별구체적 기제요) | # | # | # | |
# | # | # | ||
구조에 대한 간단한 도면 | ||||
점 검 책 임 자 | 소속 : | 직위 : | 성명 : | 인 |
※ 작성요령 : 1) 지하저수조의 경우 설치 장소별로 개별작성 |
2.3 SMC(Sheet Molding Compound) 저수조 FRP의 일종이나 기존의 수작업 FRP와는 달리 원료의 금형에 의해 고온에서 성형 압출하여 생산하므로 폴리에스터 함유량이 기존 수작업 FRP보다 많고 상대적으로 유리섬유 함유량이 적어 인장강도는 FRP의 50% 정도이다. 면이 깨끗하고 착색이 가능하며 소규모 저수조에 적합하나 이음부 고무경화로 누수 우려가 있으며 수밀성이 취약하다. 또한 인장강도의 취약으로 내구성이 결여되며 청소시 알칼리 유기용제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아 보수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수압을 견디기 위하여 설치한 보강제는 스테인레스로 교체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청소시 많은 어려움을 주므로 유지관리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보강재 청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2.4 스테인레스 저수조 스테인레스강은 그 자체가 녹이 슬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 표면에 생기는 산화 피막에 의하여 공기중에 존재하는 산소와 산화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더 이상의 산화를 진행시키지 못하게 하는 재질로서 내식성과 위생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용접부위 및 수면접촉 부위의 염소반응에 의한 공식(孔蝕)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으므로 내식성이 강한 STS316 이상의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취약점은 용접이음부로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며 청소시 내부 연결 구조 및 바닥부위의 요철현상과 패널접합부 돌출로 인하여 잔수의 배수가 잘 안되는 등 유지관리에 문제점이 있으므로 항상 이에 유의하여야 한다. 위와 같이 저수조의 보수는 방수 및 재질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함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철저한 방수와 함께 위해물질이 용출되지 않는 도료로 코팅하거나 내식성 재질로 리-라이닝하여 수질오염을 최대한 줄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
3. 급수관 부식에 따른 개ㆍ보수 방법 상수도 관로의 부식 및 관내 침전물은 대표적인 송ㆍ배ㆍ급수 계통에서의 2차오염으로서 부식에 의한 철(Fe)이나 망간(Mn)의 용출과 그에 따른 녹물발생의 문제가 대표적이며 철의 용출은 수돗물의 수질저하를 가져옴은 물론이고 녹덩어리가 박리하여 통수저해의 원인이 되며 체류시간에 따라 철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탁도와 깊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건물내부의 배관의 부식을 완전히 방지하기는 매우 어려우나 최근에 와서 부식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수도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정수장에서의 pH조절,송배수관의 라이닝등 관갱생, 급수관에서의 방청제 투입, 전기방식법, 라이닝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부식된 관의 특성에 따라 적용되어져야 하나 부적합한 방법이 사용되거나 유지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녹물 재발생의 블만이 고조되는 경우도 있다. 부식방지는 맑은물 공급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관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 | ![]() |
저수조 내부의 급.배수관 부식 상태 |
3.1 부식방지방법의 종류 ① 내식성이 높은 관 재질을 선택하여 관을 교체한다. ② 방청제를 사용한다. ③ 응급보호장치를 설치한다.(전기, 화학적 부식방지방법) ④ 배관 내부를 라이닝, 코팅, 도복장 등으로 세척하거나 피복한다. (세관) |
3.2 스케일 제거를 위한 세관 방법 |
4. 기타 개ㆍ보수 사항
buckssss@nate.com |
'설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수조 도장의 특수성 (0) | 2009.12.22 |
---|---|
급수관 부식방지 방청제 사용법 (0) | 2009.12.22 |
저주조 설치기준 (1) | 2009.12.20 |
저수조 종류 (0) | 2009.12.20 |
급수배관 설계 시공상의 주의 사항 (0) | 200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