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입찰 계획-4.특정 조달 계약(국제입찰) 캐나다 조달입찰과정의 전자화수준

▲ 요약


입찰정보는 전자 방식으로 제공하지만, 응찰 이후 단계는 전자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응찰서류는 지정된 장소에 우편으로 Hard Copy형태로 제출해야 하며, 팩스 송부는 인정되지 않는다. 응찰 신청서류에는 original 서명이 필요하고 전자서명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입찰참가가 불가능하다.


민간기업에게 정부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전자인증서를 발급하지 않으며, 입찰보증채권 등을 거래은행을 통해 전자적으로 납부하는 것도 허용하지 않는다.

다만, 캐나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전자장터(GOCM)의 경우에는 연방정부 공무원이 인터넷망에 접속해서 주문을 넣고 대금을 지급하는 것까지 전자거래가 가능하다. 전자장터에서는 단순한 상용물품(문방구류 등)을 취급하기 때문에 물품검사확인서를 보낼 필요가 없고, 별도의 계약서를 체결하지 않고 구매(5천불)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품 수령 후 정부구매카드를 사용해서 결제할 수 있다.



▲ 조달절차별 전자적 수단 사용행태


수요부처에서는 자체조달 가능금액을 초과하는 물품/용역을 구매할 필요가 있는 경우, 부처별 Material Manager의 검토를 거쳐 공공사업부에 Hard copy형태로 공식 구매요청서를 보낸다.


일정금액 이상의 정부조달은, 국제조달협정이 적용되기 때문에 온라인 정부입찰정보 제공시스템(MERX)과 정부 조달잡지를 통하여 입찰 공고한다.


* MERX, www.merx.bmo.com) : MERX는 민간업체인 Mediagrif사에 의해서 운영되는 유료 싸이트로서 연방정부, 주정부 등의 입찰정보(공고문, 사양서 등)를 온라인으로 제공해 주는데, 최근에는 공사입찰 정보중 설계도면과 세부사양도 PDF 파일로 제공하고 있음


이용료는 정보 접근범위(연방정부, 주정부, 시정부, 미국정부 입찰 포함)에 따라 차등하여 월별 정액을 내도록 되어 있으며, 입찰정보에 따라서는 첨부 문서를 다운로드 할 때에 추가 요금을 내는 경우도 있음


공급업체 견적서/입찰참가 신청서 접수 : 견적서 및 제안서는 Hard Copy 형태로 지역에 있는 수집소(지역 건설협회 사무실)로 직접 또는 우편으로 제출해야 한다.

입찰 신청서류에는 입찰공고에서 제시한 정부 요구사항에 대하여 동의한다는 서명이 필요하기 때문에 hard copy를 요구한다.


평가 : 접수된 입찰서를 대상으로 각 입찰조건에 명시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데, 대개 계약관이 선임한 위원들로 평가위원회를 열어 심사토록 한다.


* 일정금액 미만(물품의 경우 25천불)의 소액 구매에서는 Merx를 통해서 공개 입찰공고를 하지도 않고 수의 지명계약을 하고, 5천불 이하의 경우 GOCM을 통해 특정 업체에게 직접 주문을 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입찰서 평가절차를 거치지 않음


내부승인 및 계약 체결 : 낙찰자와의 계약체결 이전 단계에서 동 조달관련 지출에 대한 승인절차가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공공조달부 관리자급에서 결정되나 조달금액이 매우 크거나 복잡할 경우에는 재정이사회(Treasury Board) 승인이 필요하다.


대금결제는 인보이스 접수 후 30일 이내 결제하는데, 계약자의 주거래은행으로 온라인 입금하는 것이 아니라 조달사업자번호 발급 시 등록된 계약자의 주소지로 수표를 보낸다.


* 조달사업자 번호 : PWGSC는 공급자 확인코드로서 조달사업자번호(PBN)을 제공해 주는데, 이 번호는 캐나다 국세청에서 발급하는 사업자번호와 상호 연계되어 있으며, 세금감면 문제 때문에 캐나다 사업체에 대해서는 의무적으로 조달사업자번호를 받도록 요구함



▲ 공급자정보 등록시스템(Supply Registration Information)


공급자정보 등록시스템은 정부 계약관들이 공개 입찰공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소액 구매를 할 때 공급가능업체를 찾기 위해서 주로 참고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사업자들은 정부 공급자DB에 전자적으로 자기 회사명과 공급가능품목을 등록해 둘 수 있다.

조달참여 희망업체는 조달사업자 번호를 받은 후, ‘Business Access Canada’ 홈페이지 계정에 로그인해서 기업의 주소, 공급가능 서비스 및 품목, 공급가능 지역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데, 수시로 정보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www.shop-dw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