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비

빙축열 시스템 별 시공 및 유지보수 비교

1) Ice On Coil 방식 (PE Type)시공 및 유지보수1)100% 공장제품으로 현장에 반입.설치만하면 축열조시공 완료(별도의 콘크리트 축열조 공사는 없음)2)분리형 UNIT이므로 하자발생시 이상이 없는 축열조는 그대로 사용하면서보수가 되므로 연속운전이 가능하다.3)축열조 누수시 OVER-FLOW에의해 푸른색 브라인이 넘치므로 발견이 쉽다. 4)축열조 누수시 축열조 TOP COVER를 열면 부력에 의해 COIL이 뜨고HEADER에 압축공기만 주입하면 쉽게 육안으로 발견할 수 있다. 5)밀폐식 배관방식으로 배관의 부식이 거의 없고 수명이 개방형에 비해 길다.6)보수시 브라인 사용량이 적어 폐기비용 및 교체 비용이 싸다.(브라인 사용량: CAPSULE TYPE의 1/8 소요)7)COIL의 직경이 15.88mm PE관이므로 배관 부식물에 의한 막힘이 전혀 없다.8)축열조 소요면적이 다소 많아 시공시 면적확보가 필요하다. (축열조 2단시공 가능 H: 6.0M 이상)9) 부하증설에 따른 추가시공이 아주 쉽고 경제적이다.9-1) 냉방부하가 부족하면 냉방운전하지 않는 주간시간대에 냉동기를 운전, 축열조에 얼음을 저장하였다가 냉방시간대에 사용하면 충분히 PEAK를 COVER한다.심야전기 주간시간대: (08:00 ~ 22:00)심야전기 야간시간대: (22:00 ~ 08:00)9-2) 추가증설시 냉동기 UNIT증설없이 축열조 UNIT 연결만하면 여유있는 주간시간대에 냉동기 제빙운전하여 얼음을 저장할 수 있다. 9-3) 상기와 같이 저장된 얼음은 주간 시간대 PEAK부족시 사용할 수 있어 부하증설에는 신성엔지니어링 빙축열시스템이 아주 유리하다.

2) Ice Capsule 방식시공 및 유지보수1)거의 개방형 시스템이므로 건축에서 축열조 콘크리트 공사를 부담해야 한다.(건축공사비 증가)2)개방형 시스템이므로 배관 및 브라인의 부식이 빨라 시스템 수명이 짧다.3)CAPSULE을 하나씩 확인해야 하므로 하자발견이 어렵고, 보수시 축열조내부의 CAPSULE 및 브라인을 모두 빼야 하므로 보수공사가 거의 불가능하다4)축열조 보수시 냉방이 불가하다.(ICE ON COIL의 5배 이상)5)보수시 브라인 사용량이 많아 폐기비용 및 교체 비용이 비싸다.6)축열조 설치장소의 구애가 없어 축열조 배치가 쉽다.7)CAPSULE에 받는 압력으로 큰용량의 밀폐회로 구성이 어렵다.8)부하증가로 인한 축열조 용량증가시 별도의 콘크리트 축열조를 다시공사해야 하므로 거의 불가능하다.9)축열조 소요면적이 작고, 형태에 제한이 없어 기계실 현장공사에 적합하다.

3) Ice Slurry 방식시공 및 유지보수1)거의 개방형 시스템이므로 건축에서 축열조 콘크리트 공사를 부담해야 한다.2)개방형 시스템이므로 배관 및 브라인의 부식이 빨라 시스템 수명이 짧다.3)시스템이 복잡하고 구동부위가 많아 하자요인이 많다.4)축열조 소요면적도 크고 장비 소요면적도 커서 시공이 타시스템에 비해 어렵다.5)대부분 부품이 수입품이고 비용이 비싸다.6)보수시 브라인 사용량이 많아 폐기비용 및 교체비용이 비싸다.7)야간부하가 많을 경우 사용이 용이하다.8)부하증가로 인한 축열조 용량증가시 별도의 콘크리트 축열조를 다시공사해야 함으로 거의 불가능하다.9)일체형으로 축열조 보수시 냉방이 불가하다.

본 자료는 신성엔지니어링 자료실에서 퍼온 것 임.




www.shop-dw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