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

축열조 ‘친환경 랜드마크’ 서울시 신청사, 내년 5월 완공

[경제투데이 정재석 기자] 서울시 신청사가 내년 5월 완공된다. 신청사는 민간, 공공 건축물을 아울러 국내 건축물로는 최대 규모의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친환경 랜드마크로 건립될 전망이다.서울시는 1만2709㎡부지에 연면적 7만1811㎡, 지하5층~지상 13층 규모로 짓고 있는 서울시 신청사를 에너지효율 1등급으로 설계해 현재 공사 진행 중에 있다고 1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행정안전부의 공공청사 에너지효율 등급 개선 권고에 따라 신청사의 공사 설계를 일부 보완해 전국 지자체 청사 중 가장 높은 에너지 효율 등급인 1등급(274kwh/㎡·년)을 받고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청사로 건립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가 에너지 절약형 청사로 거듭나기 위해 주목한 공간은 1층 전면부의 실내공간. 시는 이곳을 에코플라자(Eco Plaza)로 조성해, 자연 냉·난방 효과의 극대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은 물론 세계 최대 규모의 실내 대형 벽면녹화를 조성해 공기정화 등 쾌적성까지 확보했다. 에코플라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1165㎡로 여기엔 시민 민원공간인 다산플라자와 만남의 홀, 수유실 등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서울광장을 바라보고 있는 신청사의 전면 남측 유리벽 내부에 또 하나의 벽을 설치하는 이중외피(Double skin) 시스템을 도입했다. 유리벽과 벽 사이에 완충공간을 둠으로써, 여름철에 발생한 더운 공기가 바로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하부 유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외부공기가 더운 공기를 지붕으로 밀어 올려 배출하는 자연의 대류현상을 이용해 냉방에너지가 절약되도록 했다. 또 겨울철에는 하부의 유입구 및 상부의 배출구를 닫아 자연적으로 발생된 따뜻한 공기를 난방으로 사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에너지절약방법을 제시했다. 이렇게 되면 냉·난방 시설을 최소한으로 가동하게 돼 그만큼 에너지가 절약된다. 일반적인 사무실 건물은 마감재인 유리 창문이 하나로 돼 있어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이 커 내부에 별도로 냉·난방 시설을 설치하고 운행해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유리벽 위 지붕 끝부분은 전통한옥 처마 형상 디자인을 적용, 계절별 태양고도를 이용한 선조의 지혜를 최대한 활용해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했다. 여름철 태양고도가 높을 경우 한옥 처마가 태양열을 차단해 시원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겨울철에는 낮은 태양고도를 통한 충분한 일사량을 받을 수 있어 내부공기를 따뜻하게 해 냉·난방효과를 얻는 등 태양의 고도가 자연의 이치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최대한 이용했다. 여기에 지붕엔 태양열집열판을 설치해 태양열로 에코플라자 1층 바닥 냉·난방이 가능하도록 했다. 태양열집열판을 통해 모인 태양열은 태양열 축열조를 통과해 여름엔 흡수식냉동기를 통해 냉방으로, 겨울엔 열교환기로 난방을 제공 하도록 해 에코플라자 1층 바닥에 냉·난방을 제공하는 원리다. 서울시는 에코플라자 내부 중 유리벽 맞은편에 있는 1층~7층 높이의 수직벽엔 약 2000㎡ 세계 최대 규모의 실내 대형 벽면녹화(Green Wall)를 조성해 여름철 실내온도 저감과 산소 및 음이온 등의 발생을 통한 공기정화 등 쾌적한 실내환경을 연출하도록 했다. 수직정원(Green Wall)엔 방향식물인 쟈스민, 라벤다, 야래향 등 각종 허브와 파리지옥, 끈끈이주걱 등 식충식물과 아이비, 팔손이, 산호수 등 약 10만본의 식물을 식재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신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시청 본관엔 서울을 대표하는 도서관을 건립중이다. 1만8977㎡ 규모 지하4층~지상4층엔 가족 도서관, 북카페, 개방형 주제자료실, 세미나실이 들어선다. 송득범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신청사는 전통건축물을 재해석한 디자인, 외기영향을 최소화한 실질적 에너지절약, 서울광장의 잔디와 연계한 수직녹화를 조성함으로서 1석3조의 시너지효과에 의한 친환경건축물로 건립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석 기자 fugoo@






www.shop-dw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