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 ||||||||||||||||||||
Variable Air Volume(VAV)시스템의 출현은 그의 에너지 절감에 대한 가능성으로 인해 전형적인 HVAC의 운용에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지난 수년간에 걸친 전반적인 VAV 시스템 의 운용 결과를 보면 상당히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생활 향상과 더불어 보다 나은 쾌적한 공간과 건강 문제 그리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실내의 공기 조화 냉난방에 대한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쾌적함과 경제성간의 균형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전자와 컴퓨터를 이용한 시스템 보급이 계속 증가 추세에 있으며 건물의 고급화 및 실 별 개별 제어가 가능한 가변 풍량(Variable Air Volume) 시스템의 적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70년대 후반부터 국내에 보급되어온 가변 풍량 유니트(VAV) 제어 방식이 | ||||||||||||||||||||
2. 가변 풍량 시스템(VAV System) 문제점 | ||||||||||||||||||||
우리 나라의 가변 풍량 유니트(VAV) 제어 방식은 80년대 중반까지는 실내 온도 조절기(Room Thermostat Controller)에 의해 가변 풍량 조작기를 작동하게 하는 단순 제어가 이루어져 왔으나 현재는 진보된 전자 기술 적용으로 - 가변 풍량 유니트(VAV) 내에서의 풍량 측정 - 풍량의 상/하한점 설정 - 압력 독립식 제어(Pressure Independent Control) - 중앙 감시반에서 온도 조절점 변경(Remote Setpoint Adjust) - Warming Up 제어 -등의 많은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나 가변 풍량 본래 목적인 실내 온도 조절이 않되고 소음이 나는등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 ||||||||||||||||||||
2.1. 실내 온도 조절이 않되는 요인 | ||||||||||||||||||||
- 가변 풍량 유니트(VAV) 전단의 정압이 일정하지 않다 - 가변 풍량 유니트(VAV)의 풍량 상/하한(Minimum/Maximum) Setting이 잘못 되었다 - 자동 제어 기기의 오작동 | ||||||||||||||||||||
2.2. 가변 풍량 유니트(VAV) 소음 요인 | ||||||||||||||||||||
- 제작 설계상의 결함 - 송풍기 정압제어 불량 - 압력 종속식 제어 - 짧은 가변 풍량 작동체 운전 시간 - 헌팅 운전 | ||||||||||||||||||||
2.3. 공급 닥트내 정압 변화가 많은 요인 | ||||||||||||||||||||
- 부적합한 정압 감지기 설치 위치 - 부적당한 정압 감지기 선정(Static Pressure Wide Range등) - 정밀도가 낮은 정압 감지기 사용 - 송풍기 제어 기기 오작동 | ||||||||||||||||||||
2.4. 실내 가압 및 최소 외기량 도입이 않되는 요인 | ||||||||||||||||||||
- 풍량 측정 장치(FMS)를 활용하지 않고 단순 감시(Monitoring) 기능으로만 사용할 때 - 송풍기와 환풍기를 동일 제어 신호로 제어하는 단순 제어 시스템을 채택한 경우 | ||||||||||||||||||||
3. 정압 센서 및 풍량 측정 장치(FMS)의 적용 | ||||||||||||||||||||
3.1. 정압 센서의 적용 | ||||||||||||||||||||
실제로 VAV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 방, 공간, 층 또는 빌딩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거나 적게 또는 동일하게 배기하게되면 이들 내에 양압(Positive Pressure)이나 음압(Negative Pressure) 또는 중압(Neutral Pressure)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과거의 Constant Volume System(CAV)에서는 시스템 풍량이 Fan에 의해 제어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 Air Terminal Unit의 작동을 감시할 감지기(정압 센서)를 Duct내에 설치한다 정압 제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
3.1.1. 정압 제어의 종류 | ||||||||||||||||||||
A. 실내 정압 제어(Direct Building Static Pressure Control) | ||||||||||||||||||||
실내의 정압차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소형 공조 설비에서 실내 가압(Positive Pressure)과 외기 정압 차이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 한해서 적용하여야 한다. | ||||||||||||||||||||
B. 개방 회로 정압 제어(Open Loop Control) | ||||||||||||||||||||
공급 닥트내의 정압을 감지하여 송풍기 및 환풍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풍량 감소시 환풍기 제어 작동부에 보상 장치가 있어야 실내 가압 및 실내 배기용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 ||||||||||||||||||||
C. 폐쇄 회로 정압 제어(Colse Loop Control) | ||||||||||||||||||||
급기 닥트내의 정압을 감지하여 송풍기(Supply Fan)를 제어하고 풍량 측정 장치(FMS)로 급기 및 환기 풍량을 측정 하여 환풍기(Return Fan)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어 방식중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방식 이다. | ||||||||||||||||||||
3.1.2. 정압 감지기 설치 위치(Static Pressure Sensor Location) | ||||||||||||||||||||
가변 풍량 시스템에서 정압 감지 위치 선정은 가변 풍량 시스템 제어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
만일 VAV System이 Multi-Zone으로 구성되어 한 개의 정압 감지기만으로 급기 덕트내의 대표적인 정압을 측정할 수 없을 때는 정압 감지기도 Multiple화하여 Override Control로써 송풍기(Supply Fan)를 제어 하여야 한다. | ||||||||||||||||||||
3.2. 풍량 측정 장치(FMS)의 적용 | ||||||||||||||||||||
3.2.1. Supply Air Duct에 | ||||||||||||||||||||
Supply Duct내 정압만을 가지고 Supply Fan 및 Return Fan을 동시에 제어하고 있는 방식은 보완 및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 급기 Duct내의 정압만으로 Supply / Return Fan 동시 제어시 Air Unbalance 예 : * AHU Supply Air 30,000 CMH,
| ||||||||||||||||||||
Static Pressure Controller를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terminal unit 운용에 필요한 최 소 압력 수준으로), Supply Fan 의 풍량을 알아야만 한다. | ||||||||||||||||||||
3.2.2. Supply와 Return Air Ducts 양쪽 모두에 | ||||||||||||||||||||
VAV 시스템에서 가장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는 Supply Fan 풍량의 변화에 맞추어 Return Fan 풍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내와 실외의 정압 차이를 이용(Building Static Control)하는 방식이나 급기 덕트내의 정압을 이용하여 송풍기와 환풍기를 동시에 제어(Open Loop System)하는 방식은 본질적으로 운용상 한계를 가지 고 있으며, 오로지 세심한 주의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이 채택된 공기 조화기에서 송풍기(Supply Fan) 제어는 급기 덕트(Supply Duct) 말단측 2/3 지점의 정압 감지에 의해서 제어하고 Return Fan은 Supply Duct FMS에 의해서 조절값을 산정해 그 조절값과 Return Duct FMS에서 측정한 Return 풍량을 측정치로하여 Return Fan을 제어 한다. - 조절값 산정 예 * Supply Air 30,000 CMH, Return Air 27,000 CMH Supply Air FMS 27,000 CMH 측정시 : 27,000 - 3,000 = 24,000 CMH (Return Fan Setpoint) Supply Air FMS 15,000 CMH 측정시 : 15,000 - 3,000 = 12,000 CMH (Return Fan Setpoint) Supply Air FMS 12,000 CMH 측정시 : 12,000 - 3,000 = 9,000 CMH (Return Fan Setpoint) | ||||||||||||||||||||
즉 Supply Fan 풍량과 함께 Return Fan 풍량을 동기화 시키기 위해서는 오로지 한가지 방법 밖에 없으며, 그것은 바로 풍량으로 동기화 시키는 것뿐이다 : 풍량 측정 장치(FMS)로 Supply Duct와 Return Duct에서 실제 측정한 풍량값에 의거하여 각각의 Fans간에 일정한 풍량 차이가 나도록 Return Fan을 제어함으로써, Supply System에서 풍량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일정한 풍량 차이로 실내 가압과 최소 외기량 도입이 유지 될 수가 있다. | ||||||||||||||||||||
3.2.3. Outside Air Duct에 | ||||||||||||||||||||
시스템의 부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Supply Fan 풍량이 변함에 따라 최소한의 외기량(Minimum outside air volume)도 또한 변한다. 유일한 그 해결책은 Supply Fan 풍량의 변화에 관계 없이 Outside air quantities(외기량)를 감시하고 일정한 최소량으로 유지시키기(관련 제어기기로) 위해서는 외기 도입부쪽에 풍량 측정 장치(FMS)를 설치하는 것이다. 보다 많은 양의 외부 공기를 사용하는 Economy Cycle이 바람직 할때는, 제어 시스템내로 쉽게 통합 시킬 수도 있다. | ||||||||||||||||||||
4. 결 론 | ||||||||||||||||||||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VAV 시스템(Variable Air Volume System)에서는, 부하가 변함에 따라 Air Flow가 변 하고 따라서 Supply Duct System 의 정압이 변하게 된다. | ||||||||||||||||||||
분명히 Airflow Control은 Fan 풍량을 정확하게 감시하는 풍량 측정 장치(FMS)의 성능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진성 계전은 VAV System 운용에서 본질적인 많은 문제점들을 배제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데 적용 시킬 수 있는,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Air Flow Measuring 또는 Sensing Devices(JFM-P Series 및 JFM-S Series 와 JSP)를 개발, 제조 하고 있으며, VAV System Control을 위해 당사 제품을 적용 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권장안을 필요성, 실용성 및 초기 비용의 경제성에 근거를 두고 설명해 놓았다. 따라서 적절한 시스템 운용을 위해서는 필히 행해져야 하는 다음의 경우에 : | ||||||||||||||||||||
1. Return Air Duct에 | ||||||||||||||||||||
- Return Air System Flow를 Adjusting 하고 Balancing하기 위해 | ||||||||||||||||||||
2. Supply Air Duct에 | ||||||||||||||||||||
- Branch Ducts의 Constant Static Control로 Air Noise levels을 감소시키고 - Supply Duct Air Flow의 Constant Volume Control을 위해 | ||||||||||||||||||||
3. Supply와 Return Air Duct 양쪽 모두에 | ||||||||||||||||||||
- Floor 또는 Space Pressurization Control을 위한 Supply 및 Return Air Flow의 동기성을 위해 - Branch Ducts와 Return 또는 Supply Fans간의 Duct Leakage 측정을 위해 - Supply 및 Return Air Flows를 감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시스템 운용을 위해 | ||||||||||||||||||||
4. Supply, Return 및 Outside Air Duct에 | ||||||||||||||||||||
- 실내의 적정 양압을 유지하기 위해 Supply 및 Return Fan의 풍량을 측정하여 Supply 및 Return Fan간의 Balance를 맞추고 환기 기준에 필요한 최소 외기량을 일정한 양으로 제어 하기 위해 | ||||||||||||||||||||
풍량 측정 장치(JFM Series) 및 덕트 정압 Sensor(JSP Series)를 설치함으로써 VAV System 운용에서 파생되는 많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가 있다. |
정압 센서(Static Pressure Sensor) 비교표 | ||
. | 기존 정압 SENSOR | MODEL JSP 정압 SENSOR |
SENSING TYPE | PITOT TUBE - 1개소의 SENSING HOLE로 구성된 ㄱ 자 모양의 PITOT TUBE | AVERAGING PITOT TUBE - 3개소 이상의 SENSING HOLE로 구성된 SENSING PROBE |
TRANSDUCER와 SENSING TUBE의 일체형 여부 | TRANSDUCER와 SENSING ELEMENT(PITOT TUBE)가 분리되어 있음 | TRANSDUCER와 SENSING PROBE (AVERAGING PITOT TUBE)가 일체형 |
설치 공정 및 설치 방법 | * 3개 공정 - DUCT에 나사 구멍을 내어 ㄱ 자의 PITOT TUBE를 DUCT에 채워 설치 - TRANSDUCER를 설치 - 압력 전달을 위해 PITOT TUBE에서 TRANSDUCER 까지 POLY TUBE로 연결 | * 1개 공정 - DUCT에 MOUNTING HOLE을 내어, 일체형 정압 SENSOR의 SENSING PROBE 부분을 DUCT 안쪽으로 삽입 시키고 몸체를 DUCT 면에 취부시켜 간편하게 설치 |
장 단 점 | * DUCT 단면의 한쪽에 1개소의 SENSING HOLE로 구성된 PITOT TUBE를 사용하므로, 와류로 인해 바람이 몰릴 경우 정확한 평균 정압의 측정이 불가능 * ㄱ 자의 PITOT TUBE는 DUCT의 진동으로 인해 나사홈으로 고정된 부분이 잘 풀리며, 이로 인해 정압 SENSING 각도가 맞지 않아 오차가 많이 발생 하므로 안정적이고 정확한 평균 정압의 측정에 부적합 * PITOT TUBE와 TRANSDUCER를 각각 설치하는 작업과 PITOT TUBE에서 TRANSDUCER 까지 압력 전달을 위해 POLY TUBE를 연결하는 작업 등 3개의 설치 공정을 거치므로 설치 공사가 복잡하며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 * 현장 여건에 따라서는, TRANSDUCER의 유지, 관리 및 보호를 위한 CASE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함 | * 3개소 이상의 SENSING HOLE로 이루어진 SENSING PROBE를 사용하므로, 와류로 인하여 바람이 몰릴 경우에도 정확한 평균 정압의 측정이 가능 * 일체형으로 된 타원형 PROBE가 설치되므로 DUCT의 진동으로 인한 SENSING PROBE의 비틀어짐이 배제되어,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DUCT 내의 평균 정압을 측정 * 기존의 3가지 설치 공정에서 TRANSDUCER 설치 공정과 POLY TUBE 연결 공정 등 2개의 설치 공정이 필요없이 1개의 설치 공정만을 거치므로 설치 공사가 간편하며 인력과 비용이 적게 소요 * MODEL JSP 정압 SENSOR는 일체형으로 TRANSDUCER가 CASE 내에 내장되어 있어 TRANSDUCER의 유지, 관리 및 보호를 위한 CASE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
'환기 및 닥트설비,창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닥트 청소의 이유 (0) | 2012.02.14 |
---|---|
왜 풍량 측정 장치(FMS)를 적용시켜야 하는가? (0) | 2012.02.13 |
덕트 취출구 사진모음 (0) | 2012.02.09 |
디퓨져 (DIFFUSER)의 종류 (0) | 2012.02.09 |
공기조화용 댐퍼 성능 시험방법 (0) | 201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