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조,냉방,냉동,냉장

DVM 냉난방 설치시방서

시공

3.1 냉매배관

A. 배관용접

1. 인탈산 동관(KSD 5301)을 사용하여 용접부는 은납봉으로 용접하여 가스

누설이 없도록 한다.

2. 배관은 실외기와 실내기간을 연결하는 고압배관,저압배관,분기관을 말한다.

3. 용접부의 산화를 막기 위해 질소주입을 행한다.

질소브로잉은 질소 봄베로부터 공급압력을 1~2Kg/㎠.G로 유지하여

봄베밸브로 유량을 4~6ℓ/min(손으로 흐르는 것을 느껴질 정도)가

흐르도록 한다.

① 실외기의 고압관,저압관에 질소통을 연결한다.

② 질소를 미소하게 흘리며 용접작업을 실시한다.

B. 냉매배관 표면의 이슬맺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방인경우 저압배관만,

,난방인경우 고,저압배관을 하기표에 준하여 보온한다.

배관관경

보온재(t)

고무발포(EPDM)

아티론(PE)

1 3/4”(44.5)

19

25

1 1/2”(38.1)

19

25

1 1/4”(31.8)

13

19

1 1/8”(28.6)

13

19

1”(25.4)

13

19

7/8”(22.2)

13

19

3/4”(19.05)

10

13

5/8”(15.88)

10

13

1/2”(12.7)

10

13

3/8”(9.52)

10

13

1/4”(6.35)

10

13

C. 배관 세척 방법

1. 배관은 실외기와 실내기간을 연결하는 고압배관,저압배관을 말한다.

2. 배관내의 이물질, 습기 등을 제거할 목적으로 수행한다.

3. 실외기의 고압관에 질소통을 연결하고 30kg/cm2G이상의 압력으로 배관내를

세척한다.

4. 실외기의 저압관에 질소통을 연결하고 30kg/cm2G이상의 압력으로 배관내를

세척한다.

D 기밀검사

1. 배관용접 및 세척작업후 아래와같은 순서로 기밀시험을 실시한다.

① 질소 봄배 및 압력계를 냉매배관 입구에 연결한다.

② 질소를 다음과같이 가압한다.

- STEP 1 ; 3.0Kg/㎠.G 가압, 3분이상 → 누설이 없을 것.

- STEP 2 ; 15.0Kg/㎠.G 가압, 3분이상 → 누설이 없을 것.

※ STEP 1, 2는 큰 누설부분 발견이 가능하다.

- STEP 3 ; 28.0Kg/㎠.G 가압, 24시간 → 누설이 없을 것.

※ 28.0Kg/㎠.G 가압시 시간이 짧을 경우 작은 누설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24시간 방치한다.

2. 기밀시험 완료후 누설이 없을시 질소를 10.0Kg/㎠.G 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차후 작업시까지 이물질 혼입 방지를 위하여 방치한다.

E 진공 및 냉매충진 작업

1. 배관(고압배관,저압배관,분기관), 실내기 연결부의 누설 검사와 공기 및

수분을 제거할 목적으로 수행한다.

2. 실외기와 고압배관,저압배관을 연결한다.

3. Manifold 게이지와 진공펌프를 고압 또는 저압 써비스 포트에 연결한다.

4.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배관계통의 진공을 -755mmHg이하로 떨어뜨린다.

5. 1시간 진공을 유지하여 진공도를 관찰하고 -755mmHg 유지하면 합격이다.

6. 정량의 냉매를 주입한다.

7. 실외기의 써비스 포트를 개방시켜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냉매를 연통시킨다.

3-2. 응축수 배관공사

1. 응축수 배관은 경질염화비닐관(PVC)을 사용한다.

2. 배관은 운반이나 보관중에도 이물질의 침투를 막기 위해서

양 끝단을 CAP이나 TAPE등으로 밀봉하여 보관한다.

3. 응축수 배관 구배는 1/100이상이 되도록 유지한다.

4. 주응축수 배관의 SIZE는 하기표에 준하여 선정한다.

실내기용량

드레인관경

5kw 미만

20 A

5kw ~ 10kw

25 A

10.1kw ~ 20kw

30 A

20.1kw ~ 50kw

40 A

50.1kw 이상

50 A

5. 응축수 배관은 배관표면에 이슬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보온을 한다.

보온재 재질은 Polyethylene foam 10mm이상으로 한다.

6. 응축수 배관 지지대는 배관경이 VP40미만은 1.5M간격으로,

VP40이상은 2.0M간격으로 지지하며, 수직관이 경우는 약 2.5M간격으로

한다.

7. 응축수 배관공사 완료후 반드시 확인작업을 실시하여 배수상태 및

누수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3-3. 전기 배선 작업 (현장별 조건 상이)

A. 실외기 전원 (전원은 정격전압의 ±10%이내야 한다.)

1. 실외기가 단상 전원인경우 1상 220V 60Hz, 삼상 전원인경우 3상4선식의

380V/60Hz를 사용토록 한다

2. 단상누전차단기는 2.5HP 및 3.5HP는 25A로 하고, 3상4선식 누전차단기는 5HP

6HP는 20A로 하고, 8HP 및 10HP는 40A로 하고, 14HP 및 16HP는 60A로

하고, 18HP, 20HP, 22HP는 75A로 하고, 24HP, 26HP, 28HP, 30HP는 100A로

하고, 32HP 및 34HP는 125A로 한다.

3. 2.5HP 및 3.5HP 단상용 전원선은 배선길이가 20m미만까지는 2.0㎟(3Wire)를

사용하고, 20m이상 50m까지는 3.5㎟(3Wire)를 사용한다.

4. 상부토출 3.5HP 및 4.5HP 3상용 전원선은 배선길이가 20m미만까지는 2.0㎟

(4Wire)를 사용하고 20m이상 50m까지는 3.5㎟(4Wire)를 사용한다.

5. 전면토출 5HP 및 6HP 3상용 전원선은 배선길이가 20m미만까지는 3.5㎟

(4Wire)를 사용하고 20m이상 50m까지는 5.5㎟(4Wire)를 사용한다.

6. 상부토출 5HP 및 7.5HP 3상용 전원선은 배선길이가 20m미만까지는 3.5㎟

(4Wire)를 사용하고 20m이상 50m까지는 5.5㎟(4Wire)를 사용한다.

7. 8HP 및 10HP의 3상용 전원선은 배선길이가 20m미만까지는 5.5㎟(4Wire)

를 사용하고 20m이상 50m까지는 8㎟(4Wire)를 사용한다.

8. 14HP 및 16HP의 3상용 전원선은 배선길이가 20m미만까지는 14.0㎟(4Wire)를

사용하고 20m이상 50m까지는 22㎟(4Wire)를 사용한다.

9. 18HP, 20HP 및 22HP의 3상용 전원선은 배선길이가 20m미만까지는 22.0㎟

(4Wire)를 사용하고 20m이상 50m까지는 38㎟(4Wire)를 사용한다.

10. 24HP, 26HP, 28HP 및 30HP의 3상용 전원선은 38.0㎟(4Wire)를 사용한다.

11. 32HP 및 34HP의 3상용 전원선은 38.0㎟(4Wire)를 사용한다

12. 실외기 접지선은 1.6㎜(1Wire)이상 사용한다.

13. 전원선 연결후, 실외기 단자에 확실하게 접속되어있는지 확인한다.

14. 접지선은 접지단자에 연결한다.

15. 접지선은 가스관, 수도관, 피뢰침, 전화 접지선에 접지하지 않는다.

접지공사가 불완전할 경우는 감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B. 실내기 전원

1. 전원은 단상 220V/ 60Hz로 한다.

2. 실내기 전원 및 접지선은 실외기에서 공급받는다.

3. 실내기 전원선은 2.0㎟(CV,3Wire 접지선포함)이상 사용한다.

5. 전원선, 접지선은 연결후, 실외기 단자에 확실하게 접속되어있는지 확인

할 것.

6. 접지선은 접지단자에 연결한다.

7. 실내기 전원선,접지선은 냉매배관과 함께 배선공사를 한다.

C. 실내-실외기 통신선

1. 통신선은 실외기에서 공급받는다.

2. 통신선은 1.25㎟(VCTF,2Wire)이상 사용한다.

3. 통신선 연결후, 실내기 / 실외기 단자에 확실하게 접속되어있는지 확인한다.

4. 통신선은 실내기 전원선과 구별하여 PF-전선관에 넣어 배선공사를 한다.

3-4. 본체설치공사

A. 실외기

1. 연소성 가스의 누설위험이 없고, 휘발성 물질이 없는 곳에 설치한다.

2. 뜨거운 바람 및 실외기 소음이 이웃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3. 실외기의 중량과 진동을 충분히 견딜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다.

- 실외기 설치면의 수평을 확인하고, 필요시 보강대를 설치한다.

- 실외기 운전중 진동방지를 위하여 진동 흡수용 Rubber를 사용한다.

4. 통풍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보수 및 점검을 위한 서비스 공간이

확보되는 장소에 설치한다.

B. 실내기

1. 실내기 공기유통이 보장되는 곳에 설치한다.

2. 응축수 배관이 용이한 곳에 설치한다.

3. 보수 및 서비스를 위해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4. 실내기 설치를 위한 기초볼트를 사용한다.

- 천정이 실내기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위험이 있을시는 반드시 실내기 설치전에 보강한다.

5. 실내기가 수평으로 설치되었는지를 반드시 획인한다.

- 실내기가 수평으로 설치되지 않을시 응축수가 실내로

넘칠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수평으로 설치한다.

3-5. 시운전

1. 전원투입전 전원연결의 오결선 여부를 확인한다.

2. 사용전압이 정격전압인지 확인한다.

3. 실외기 서비스 밸브를 OPEN한다.

4. 고압부와 저압부에 압력게이지를 연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