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프에서 전동기의 용량을 구하는 식은
1. P =9.8QH / ηt
P : 전동기 용량[KW] η :효율(%) t :시간(SEC)
k : 여유계수 H : 전양정Q : 유량 (㎥)
2. P =0.163 KQH / η
P : 전동기 용량[KW] η :효율(%)
k : 여유계수 H : 전양정Q : 유량 (㎥/min)
3. P =γKQH / 102η
(P =γKQH / 6120η)===>유량이 분당일 경우
P : 전동기 용량[KW] η :효율(%)
k : 여유계수 H : 전양정Q : 유량 (㎥/sec)
γ : 비중량 (물의비중량 1000 kgf /㎥)
※ 유량의 단위를 꼭 확인 (1 [lpm] = 10^-3 [㎥/min])
1HP = 746 w (745.???) (9.8??? ===>소숫점끝자리까지 정확해야 일치 함)
위도 (φ) | 중력 (gal) | 위도 (φ) | 중력 (gal) |
0° | 978.031846 | 50° | 981.069480 |
5° | 978.071066 | 55° | 981.506554 |
10° | 978.187550 | 60° | 981.916949 |
15° | 978.377830 | 65° | 982.288125 |
20° | 978.636113 | 70° | 982.608720 |
25° | 978.954716 | 75° | 982.868902 |
30° | 979.324019 | 80° | 983.060682 |
35° | 979.732888 | 85° | 983.178162 |
40° | 980.168966 | 90° | 983.217728 |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표준중력 )
수동력 Lw : 이론동력 - 폄프로 부터 물이 받아야 할 동력
Lw=γQH [kg.m /min]
γQH/ 6120 [kw]
γQH/ 4500 [ps]
H : 전양정Q : 유량 (㎥/sec)
γ : 비중량 (물의비중량 1000 kg /㎥)
축동력Lp : 동력을전달해주기위해 필요한 펌프의 축동력
Lp =γQH/ ηp(펌프효율)
모타동력Lm = 실제전동기 동력
Lm =(γQH (1+ α)) /( 60 * 102 ηp(펌프효율). ηt (전달효율))
(( Lm =0.163γQ.H (1+ α)/ηp.ηt))
Lm: 전동기 동력[KW]ηp : 펌프효율 ηt : 전달효율
H: 전양정(m) Q : 유량 (㎥/min) γ : 비중량 (물의비중량 1000 kgf /㎥)
α : 여유율 ( 10~20%)--> 1.1~1.2
펌프의 회전수와 특성
회전수의 변화가 20% 이내일때 적용가능
Q1/Q2 = N1/N2
H1/H2 = (N1/N2)^2
L1/L2 = (N1/N2)^3
회전수 N , 토출량 Q , 양정 H, 축동력 L
Q2 = Q1 (N2/N1) (D2/D1)^3
Q2 : 변경 후 유량, Q1 : 변경 전 유량(㎥/min)
H2 = H1 (N2/N1)^2 (D2/D1)^2
회전수는일정이상 대폭증가시키면 캐비테이션현상이 발생하기때문에 고양정의 경우
다단펌프를 이용
H2 : 변경 후 양정, H1 : 변경 전 양정(m)
P2 = P1 (N2/N1)^3(D2/D1)^5
P2 : 변경 후 축동력, P1 : 변경 전 축동력(KW)
N2 : 변경 전 회전수 N1 : 변경 전 회전수(rpm)
D2 : 변경 후 관경 D1 : 변경 전 관경 (MM) ----->임펠러 지름
위식과 같이 동력은 회전수를 줄이는 방법과 회전날개의 관경을 축소하는 방법으로
동력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1) 펌프구경과 토출배관경
2) 펌프의 관로저항
Hf = λ ( ℓ + ℓe)/ d *v^2 / 2g
3)
'펌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수펌프비교표 (0) | 2009.11.09 |
---|---|
진공 펌프에 관하여 (0) | 2009.11.09 |
진공펌프 성능 자가진단 방법 및 진공 오일 교체 시기 (0) | 2009.11.09 |
부스터 펌프 시스템 (0) | 2009.11.09 |
펌프, 온수분배기외 (0) | 2009.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