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펌프

펌프 설치시기술적특성

1.기술적특성

-프란자 3개가 수평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내부펌프킷트(변환킷트)를 간단히 교체시켜 줌으로써 6가지 상이한 용량(압력과 토출량)으로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음
-발브는 수평으로 내장됨
-윤활유 점적 주입식 V형 압력패킹
-비말 주유식 크랭크 장치
-펌프는 뿔리에 벨트를 걸어 작동시키거나 프랙시블 죠인트로 직결시켜 작동시키거나,P.T.O. 축과 연결시켜 작동한다.

2.조립특성

펌프의 주요구성 부품은 아래와 같음

-크랭크장치
-펌핑시스템(프란자, 압력패킹, 시린더)
-접액부분(펌프헤드)

크랭크 장치는 펌프구동장치를 포함한 타원체형 주강 펌프 케이싱으로 구성됨

-가스질화경화 열처리한 특수강 크랭크축에 2중 롤러림 구비된 자체조절 베어링이 장치됨
-마찰 방지용 특수베어링 3개로 구비된 분리형 연결롯트
-표면 처리된 타원형 주강 피스톤 가이드

이러한 부속품에는 펌프 케이싱 오일로 비말주유됨

펌프시스템은 세라믹으로 코팅된 스테인레스스틸 프란자와 패킹 서포트된 압력패킹과 씨린더로 구성됨 .
타원체형 주강 접액 부분은 스테인레스스틸로 되어 있는 흡입/배출발브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3.펌프에 관한 일반사양

홍림통상의 모든 프란자펌프는 정상 실내온도에서 필타로 걸러낸 맑은 물을 펌프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표준규격 펌프는 맑은 물을 통과 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된 특수펌프인 경우 거의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더욱더 많은 케비테이션(진공부분)이 생성되어 패킹과 발브를 파손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물 온도에 관해서는 아래사항을 주시하라.

-40℃이하의 물 온도를 실내온도로 간주되어 펌프 작동에 이상적이다.

-물의 온도가 40℃에서 60℃일 경우 아래사항을 준수하라.
1.원심펌프를 설치하여 고압펌프로 물을 주입시켜라. 원심펌프의 물 토출량은 고압펌프 토출량의 2배 이상이어야 하며 압력은 1-3바(45 p.s.i.)이다.
2.펌프의 R.P.M.을 최소한 30%이상 줄여서 펌프가 느리게 회전하도록 하라.
3.펌프 구동 연결축 옆에 표시된 화살표대로 크랭크축이 회전하는가를 확인하라.

-표준규격펌프는 물의 온도가 60℃이상이면 적절하지 못하다. 60℃이상의 물을 통과 시키고자 할 때 본사 기술부와 의논하여 특수 재질로 된 펌프를 별도제작 해야 한다.

4. 펌프설치

펌프는 4개의지지대로 받혀준 견고하고 완벽한 평면 베이스에 고정시켜 설치한다.
펌프작동시 최대 허영경사도는 정확한 비말 주유를 보장하기 위해서 5도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베이스프레임은 충분히 견고하게 제작하여, 펌프와 모타/엔진간의 센타를 정확하게 맞춰서 일렬로
설치해야 하며, 펌프 작동시 발생한 토크로 인해 동력전달 커플링 축이 휘어지지 않도록 정확히
설치해야 한다.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회전방향
펌프 헤드쪽에서 펌프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펌프의 회전방향은 좌측의 경우 시계방향, 우측의 경우 시계반대 방향 입니다. 이와같이 회전방향으로 펌프 설치가 불가능하면 본사 기술부와 의논하라.

배관
고압세척설비로부터 펌프의 진동을 고립시키기 위해서 흡입 및 배출라인 양쪽에 펌프와 근접하여
프랙시블 호스(유연성호스)를 약 1m 이내로 연결시켜 준다.
썩숀라인(흡입관)쪽의 플렉시블 호스는 작동시 진동으로 인해 오그라 들지 않도록 한다.

펌프의 물 공급

프란자 펌프 속에서 처음으로 저절로 물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물탱트의 위치가 반드시 펌프헤드 위치보다 높게 설치되어야 한다. 물이 펌프 위쪽에서 아래 방향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설치해야지 그렇지 않고 펌프가 펌프보다 밑에 있는 물을 위쪽으로 빨아올리도록 설치하면 케비테이션(공동화현상)이 펌프 내에
발생하여 프란자,압력패킹,발브,펌프헤드까지도 심한 손상을 가져온다.

특히, 연속동작이나 흡입라인이 길 때나 뜨거운 물(65℃까지)을 통과시킬 때는 반드시 고압펌프 앞에
원심펌프를 달아주어서 고압펌프로 물을 밀어 넣어줘야 한다.

이 원심펌프의 토출물량은 고압펌프 토출량의 배 이상으로 하고 압력은 1-3바로 고압펌프는 최대용량으로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이 원심펌프는 최대용량으로 작동시켜야 한다.

흡입라인

흡입라인을 잘 설치해야 펌프수명이 연장된다.
흡입라인 설치시는 아래 사항을 준수하라.

1. 배관내경은 최소한 펌프 흡입구 이상으로하고, 이 흡입라인이 길 때는 압력이 떨어질 것을 감안하여
흡입구경보다 더 큰 것으로 해도된다.
2. 흡입라인은 일정하게 아래 펌프 방향으로 설치해 내려가서 관내에 있는 어떠한 공기방울도 항상
탱크 위 방향으로 자연히 올라가도록 설치하다.
3. 흡입라인에는 90도엘보나 T자 엘보를 써도 안되며, 중간에 내경이 줄어든다거나 여러 가지
다른 구경의 파이프로 이어나가서는 절대 안된다.
4. 펌프가 정지시에도 흡입 관내에는 항상 물이 꽉 차있어야 하며 관내에 공기가 차있도록 설계해서는 안된다.
5. 흡입라인에는 외부로부터 절대 에어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사방 완전 밀폐 되어야 한다.
6. 흡입라인 연결시 고압호스를 사용하지 말것
7. 흡입라인에 90도엘보나 고압어답터나 고압 쓰리웨이 포웨이 니플 등을 사용하지 말것
8. 스탠딩발브,체크발브,기타 어떤 원웨이 발브도 설치하지 말 것
9. 물받이 탱크를 설치시,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고려하고, 탱크 최소수위로 물이 내려갔을 때탱크 배출구로 에어가 들어가면 펌프 내에 공동화 현상이 생겨서 펌프가 훼손된다.
10.펌프 흡입에 언로우더/릴리프 바이패스 발브를 절대로 연결시키지 말 것.
11.물받이 탱크 설치시 바이패스 라인을 탱크로 직결하여 바이패스 라인에서 힘차게 들어오는 물과 탱크 내의 물이 소용돌이쳐서 물속에 공기방울이 탱크 배출구를 통해 펌프로 들어가면 펌프내에 케비테이션(공동화현상)이 생겨 펌프가 상하기 때문에 주의하라.
탱크 속에 중간 칸막이를 해서 완충지역을 만들어 주면 좋다.
12.이 흡입라인을 펌프 흡입구로 최종 연결하기 전에 흡입 관속에 어떠한 이물질도 없도록 관내 세척을 깨끗이 한 다음 연결하라. 그렇지 않으면 관속에 숨어있던 쇠 조각등 이 물질이 펌프로 들어가 펌프 내부를 파손 시킨다.


필 타

모든 펌프에서 적절한 필타를 달아 주어야 한다. 이 필터는 가능한 펌프 가까운 쪽 흡입라인에 설치하여 언제든지 쉽게 접근하여 수시로 청소 할 수 있게 설치해 줘야한다.

1. 필타 용량은 펌프 물 토출량의 3배 이상이어야 한다.
2. 필타 구경은 펌프 흡입구경보다 반드시 더 커야 한다.
3. 필터는 50-80메쉬(360-200마이크론)으로 할 것

주의사항 : 필타보호를 위해서 수질, 필터링 정도, 사용시간등을 고려하여, 필타를 정기적으로 수시 점검 세척해야 한다.

배출라인

배출라인 배관시 아래사항을 주의하라.

1. 고압세척설비로부터 펌프의 진동을 고립시키기 위해서 펌프 가까운 쪽에 견고한 프렉시블 호스를
약1m 이내로 연결시켜 준다.
2. 어떤 작업 여건에서도 안전도가 최대한 보장되도록 고압호스와 고압호스 배관 부품만을 사용하라.
3. 적절한 릴리프 발브를 배관라인에 설치하라.
4. 글리세린이 주입된 압력계만을 사용하라.
5. 배출라인 설계시 관의 길이와 관의 직경으로 인해서 노즐쪽에 압력이 약간 떨어지는 경우를 고려하여 설계하라.
6. 배관라인상에 필요시 진동방지기를 설치하여 펌프의 진동을 감소시킬수도 있다
7. 언로우더 발브로 펌프의 압력을 제어시킬 경우에는 언로우더 발브와 노즐사이에 진동방지기를
설치해 주기를 권한다.

펌프작동절차

가. 펌프 스타트전 점검사항

-흡입라인이 펌프로 반드시 연결되어야 한다.
펌프를 절대로 공회전 시키지 말것
-흡입라인쪽에 절대로 에어가 새어들어가지 않도록 완전 밀폐 배관해야 한다.
-펌프와 수원(물탱크)사이에 설치된 어떠한 on-off 발브는 반드시 열어 놓아야하며
항상 펌프로 물이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해야한다.
-펌프 토출 라인쪽은 완전히 열어놓고 펌프 내에 차 있는 에어가 쉽게 빠져나가고 펌프에 즉시
물이 차도록 해 줘야 한다.
-흡입/토출 라인쪽의 모든 연결부분은 완전히 밀폐되어 에어가 절대 새어 들어가지 못하게 해야 한다.
-모타/엔진과 직결시는 연결 죠인트 부분의 수평(센타)를 정확히 맞추고 벨트 연결시는 벨트가
-타이트 해야하며, 가능하면 경사지지 않도록 완전 수평으로 설치해야 한다.
-정확한 오일 레벨을 확인하라.

주의 : 펌프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고 세워두었다가 다시 사용할 경우 흡입 및 배출 발브에 스케일이
생겨서 펌프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고 있는지 확인하라.

. 펌프스타트

-펌프와 모타는 부하가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 스타트해야 한다. 압력조절발브를 0에 놓거나,
혹은 완전히 바이패스 되도록 해 준다.
-최초로 펌프를 스타트할 때나, 혹은 배관을 완료한 후에는 펌프 회전 방향을 반드시 점검하라.
-펌프 작동시 펌프 회전속도 초과여부를 확인하라.
-펌프에 압력을 올리기 전에 펌프 전체에 오일이 완전히 번지도록 약간 돌려 줘라.
-펌프를 정지 시키기전에, 압력조절발브로 또는 덤프디바이스로 압력을 풀어주고 R.P.M.을 최소로
줄여라.(디젤엔진 작동시)

주의 : 피딩펌프(원심펌프) 사용시는 정확한 흡입 압력 유지시에 한해 고압펌프를 스타트하라.

5.펌프 문제점 점검

펌프가 스타트 된 다음 소리가 나지 않을 때는

-펌프에 물이 들어가지 않을 체 공회전하고 있다.
흡입라인이 비어있다.
발브가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다.
배출라인이 닫혀있고 펌프 헤드 안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펌프에 물이 안들어 오고 있다.

펌프가 노킹할 때

-흡입라인에 공기가 차있다.
-펌프에 물이 충분히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원심펌프를 추가로 달아줘야 한다.)
-흡입라인의 규격이 너무 작다.
-흡입라인에 엘보,벤드 및 연결부분에 병목현상이 생겨서 물이 잘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인레트 필타 내부가 너무 더럽다.
-인레트 필타가 너무 작다.
-피딩펌프(설치했을 때)의 압력과 물 토출량이 너무 작다.
-펌프에 물이 충분히 들어가지 않고 있거나 최초의 배관라인 쪽이 닫혀있다.
-발브가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어 펌프에 물이 안들어가고 있다.
-발브가 너무 낡았다.
-압력패킹이 너무 낡았다.
-압력조절발브에 이상이 있다.
-동력전달장치에 문제가 있다.
-R.P.M. 이 너무높다.

펌프가 필요한 물량을 배출하지 못하고 있을 때

-펌프에 충분히 물을 밀어넣지 못하고 있다.
-R.P.M.이 너무낮다.
-압력조절발브에 의해서 물량이 초과하여 바이패스하고 있다..
-발브가 너무 낡았다.
-압력패킹으로 부터 물이 너무 많이 새어나오고 있다.

펌프압이 안올라갈 때

-노즐구멍이 너무 크다.
-R.P.M.이 너무 낮다.
-압력패킹으로부터 물이 너무 많이 새어 나오고 있다.
-압력조절발브에 의하여 혹은 발브가 잘못되어 물이 너무 많이 바이패스되고 있다.
-발브가 너무 낡았다.

펌프로 부터 물이 너무 많이 새어내릴 때

-압력패킹이 너무 낡았다.(정상마모 혹은 너무 많은 케비테이션에 의해)
-프란자가 너무 낡았다.

펌프가 과열되었을 때

-펌프회전방향이 틀렸다.
-펌프에 과부하가 걸렸다.(압력초과 혹은 R.P.M. 초과)
-펌프에 오일이 너무 적거나 펌프에 안맞는 오일을 넣었다.
-오일에 물이 들어 갔다.
-벨트가 너무 탄탄하거나 직결시에 모타와 펌프의 동력 전달 장치에 센타가 안 맞는다.
-펌프의 설치 경사도가 너무 높다.

파이프가 진동 혹은 노킹할 때

-흡입라인에 공기가 차있다.
-발브가 떨어지지 않는다.
-압력조절발브에 이상이 있다.
-바이패스라인이 너무 작다.
-동력전달상태가 비 정상적이다.

[출처] [본문스크랩] 펌프 설치시


http://cafe.daum.net/SHOP-DWG
www.shop-dwg.co.kr
buckssss@nate.com
전정섭
친구추가 해주세요.

'펌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압식자동급수장치  (0) 2009.11.04
부스타자동급수장치  (0) 2009.11.04
로브플렉스 펌프/식품용(Sanitary)  (0) 2009.11.03
로브플렉스 펌프 식품용  (0) 2009.11.03
펌프의 흡입구경 및 소요동력계산  (0) 2009.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