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펌프

Plant shut-down work

출처:http://blog.daum.net/huhss/50989

요즘 공장 shut down 작업을 준비하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화학공장은 공장을 끄게되면 일이 많아지거든요. 언듯 들으면 이해가 잘 안가실 수도 있는데 그 이유를 설명드리죠.

화학공장은 기본적으로 특별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는한 하루 24시간, 1년 365일 계속 운전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막대한 돈을 투자하여 건설한 공장을 운전하지 않는 날이 많으면 많을 수록 앉아서 손해를 본다는 것은 앞서 말씀드린 바 있으니까 (7호 참조) 아마 이해하시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장기간 쉬지않고 계속 운전하는 경우 기기의 노후화가 일어나는 것은 어쩔 수 없어 이를 정비하기 위해 매년 일정기간을 정해 정비를 위한 계획가동정지를 하게 됩니다.
(계획가동정지기간은 대개 봄철에 계획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앞서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만 "공장이 운전되고 있을 때 일이 더 많지 공장을 꺼 놓았을 때 어떻게 일이 더 많아지냐"라는 의문을 가지신 분들이 많을줄로 압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서 실상은 그 반대입니다.

- 화학공장의 운전이라는 것은 한번 steady-state상태에 맞춰놓게 되면 특별한 외란이 없는 한 공장운전을 위해 별다른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운전중에는 특별히 일이 많아지지 않습니다.
현장운전원의 경우 자신의 근무시간에 맞춰 정기적으로 patrol을 도는 것을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여유있게 근무할 수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 계획 가동정지는 그 동안 계속된 운전에 피로도가 높아진 설비를 보수하는 데 촛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에 비해 시간은 그리 여유있지 못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많은 인원을 투입하여 부지런히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부담이 있지요.
실제 가동정지에 들어가게 되면 잠깐 휴식을 취할 시간도 없이 하루종일 현장을 누비며 돌아다녀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 정비작업을 위해서는 이를 위한 구매업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필요한 부속품, 자재구매가 보수기간 전에 완료되지 않으면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되는데 백화점에 가서 마음에 드는 물건 사는 것 처럼 쉬운 일은 아니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기 때문에 미리부터 필요한 자재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제대로 된 물건을 적기에 납품받을수 있도록 준비를 해야 합니다.
뿐만아니라 작업을 위해 중장비를 임대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 데 대개 화학공장의 정비작업이 비슷한 시기에 몰려 있기 때문에 이를 확보하는 것도 자재구매에 못지않게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현장에는 수 많은 설비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어느 설비부터 정비에 들어갈 것인지 작업 순서를 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공장의 특성에 따라 어느 설비는 언제부터 정비작업이 가능하다는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이죠.
계획이 잘 작성되면 짧은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정비작업이 진행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 말 안해도 잘 아실걸로 생각됩니다.

- 공장을 꺼 나가는 작업 자체도 매우 중요합니다. 체계적으로 수립된 방법에 따라 공장을 꺼 나가는 경우 loss도 줄일 수 있고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데 비해 그렇지 않은 경우 공장을 가동정지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engineer들은 평소에는 운전에 직접 동원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공장 가동정지를 실시하는 동안에는(정비작업을 마치고 공장을 start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퇴근도 못하고 계속 입회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정상운전과정에서는 배우지 못한 많은 process관련 지식을 습득하기도 하는데 나름대로 고생한 것에 대한 보답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현장의 기기들은 대개 두꺼운 보온재로 싸여 있기 때문에 실제 모양을 볼 수 있는 기회가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기기 내부의 구조를 살펴보는 것도 공장운전중에는 불가능하지요. 화학공장에 대해 좀 더 깊이있게 알고 싶어하는 사람에게 이러한 정비기간은 기회일 수 있습니다.
설비가 가동정지되어 있는 기회를 이용하여 설비 내부의 구조를 들여다 볼 수도 있고 (물론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평소 운전되던 중 이상한 현상을 보이던 설비에 대해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부지런한 사람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법. 기기를 open하는 schedule을 잘 파악하고 있다가 시간맞춰 현장에 나가 평소 들여다 보고 싶던 설비의 내부구조를 살펴본다던지 필요하다면 사진을 촬영하여 향후 운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전하게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감독하는 것도 정비기간중 해야하는 매우 중요한 업무중 하나입니다. 대개 짧은 시간동안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외부업체사람을 고용하여 현장에 투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회사사정에 밝지 못한 외부인들에게 적절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작업이 제대로 진행될 수는 없을 겁니다.

- 무사히 정비작업을 마치고 공장이 다시 재 가동에 들어간 후에도 할 일이 남아있습니다. 정비기간동안 현장에서 확인한 내용을 정리하고 사진도 첨부하고 직전의 정비작업때 기록도 비교/참조하여 report를 작성하는 것이 바로 그것인데요, 현장에서 확인한 기기의 상태를 감안하여 앞으로 공장을 어떤 식으로 운전해야 하겠다는 방안을 마련하는 소중한 자료가 됩니다.

이 글에서 나열하지 못한 내용도 없지않아 많이 있을 겁니다만 성공적으로 정비작업을 마치는 것은 향후 trouble 없이 안정적으로 공장을 운전하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Plant shut-down work


http://cafe.daum.net/SHOP-DWG
www.shop-dwg.co.kr

buckssss@nate.com
전정섭
친구추가 해주세요.

'펌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프설계  (0) 2009.11.03
1.진공펌프의 용량 계산방법  (0) 2009.11.02
Process Flow Diagram (PFD) 이란?  (0) 2009.11.02
Piping & Instrument Diagram(P&ID) 이란?  (0) 2009.11.02
Pump 설계 Check Point  (0) 2009.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