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기 및 닥트설비,창호

정압,동압,전압

정압,동압,전압

공기가 덕트의 내부를 통과할 때 직관부분에서는 공기와 관벽사이에 마찰에 따른 저항이 생기고 흰곳이나 분기부분에서는 공기의 소용돌이 때문에 저항이 생긴다. 이것들의 저항에 따라 공기의 압력은 하류로 갈수록 감소한다. 공기의 압력에는 동압(動壓)과 정압(靜壓)이 있고 이두가지 합이 전압(全壓)이 된다.

동압 또는 속도압(Velocity Pressure)
바람이 있을 때 나뭇가지가 흔들리거나 吹出口앞에 매단 리본이 나부끼는 것은 동압에 의한다고 생각해도 좋다.
이와같이 바람의 속도에 따라서 생기는 압력을 동압 또는 속도압 이라 하며,
이것을 Pv로 나타내면
Pv = v2/2g*γ
여기에 Pv=동압(㎏/㎡ 또는 mmAq) v=속도(m/s) g=중력가속도(m/sec2)
γ=공기의 비중량(㎏/㎥)이 되나,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위해
g=9.80m/s, γ로서는 20℃의 공기비중량 1.2㎏/㎥을 대입해서,
Pv=v2/2*9.8*1.2
=v2/16.3
Pv=(v/4.03)2 가 된다.

정압(Static Pressure)
덕트의 한끝을 봉하고, 한쪽에서 송풍기로 공기를 보낼때에 생기는 압력도 정압이며,
이때는 한족이 봉해져 있으므로 덕트속에는 공기의 유동이 없고, 이와같이 공기유동이 없을때에도 생기는 압력이므로 정압이라 한다.
급수배관의 수압시험을 할때의 배관속의 압력도 정압이다.

전압(Total Pressure)
이 압력은 덕트내의 정압에 기류의 동압이 가해진 압력을 말한다. 즉
전압=정압+동압
전압을 Pt(mmAq)로 표시하면
Pt=Ps+Pv 또는 Pt=Ps+(v/4.03)2
따라서 동압은
Pv=(v/4.03)2=Pt-Ps가 되고
전압과 정압을 재면 그차에서 동압Pv 혹은 풍속v를 구할 수가 있다.

쉽게 말하면,
입으로 풍선을 불 때 일정 크기에 모양을 유지 하고 있을때의 압력을 정압,
그 일정크기의 풍선에 조그만 구멍을 냈으때 바람이 빠져나올 때의 압력을 동압,
구멍난 풍선의 일정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 입으로 불어댈 때의 압력을 전압.

대개, 덕트계통에서의 정압이라 함은 송풍기의 정압를 말하는 것이고,
송풍기의 정압이라 함은 엄밀히 말하자면 시스템 부하량인 전압인 것이다.
이부분을 초심자들이 이해가 어려운 부분인데,
송풍기의 정압(mmAq)값이란 덕트 시스템 전반에 걸친 마찰저항값이며, 압력 손실 값이기도 한 것이다.
엄밀히 말해서 덕트에서의 정압은 의미가 없다.
덕트란 공기의 흐름을 목적으로한 설비이기 때문에, 정지 공기의 압력이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홴의 정압이라함은 덕트시스템의 전압을 말하는것이지 덕트시스템의 정압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덕트시스템 전압에 맞는 홴을 선정할때의 같은 압력을 송풍기의 정압이 얼마가 된다는 말은 덕트시스템 의 정압+동압 인것이다.

출처 : 그린에어테크

정압과 동압을 이해하기

동압과 정압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의 그림과 전압과의 관계를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다시말해 정압은 탁구공이 더이상움직이지 않고 떠있게 만드는 힘이며

동압은 탁구공이 원하는 위치로 갈수 있도록 속도로 조절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출처] 정압과 동압을 이해하기 (archidata)

'환기 및 닥트설비,창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풍기의 종류 적용과 특징  (0) 2011.11.30
닥트의 단면 형태별 크기(CM) 및 닥트 판 두께 (mm)  (0) 2011.11.29
마이타공식  (0) 2011.11.28
t.a.b.덕트누기시험  (0) 2011.11.28
환기시스템  (0) 201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