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오옴법(Ohmic method)단락 전원으로부터 고장점 까지의 각 임피던스 값을 전부 오옴(Ω) 값으로 환산하여 단락 전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전압(V), 전류(A), 전력(kVA), 임피던스(Ω)등의 단위로 나타내어 본래의 양 그대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ㆍ 퍼센트 임피던스 법(% Impedance)각 임피던스를 기준량, 기준 전압에 대한 임피던스로 환산하고, 전기 예산에 필요로 하는 양을 퍼센트로 표시한 후에 오옴의 법칙을 그대로 적용합니다.
<;ㆍ 단위법(Per unit)적당히 선정된 기준 용량을 1.0으로, 계통내의 제량을 이 값과 관련하여 10진법의 비교로써 표시한 것으로, 페센트 임피던스 법과는 단위법을 100배한 값을 적용한 것만이 다릅니다.
단락전류 계산방법 (System Of Measuying For Shart-Circuit Current)한국전기안전공사 적용방법입니다.)■ 기본 전제1) 전원 Source 임피던스를 “0”으로 간주하고 단순히 변압기 임피던스, 케이블 임피던스만 고려하였음.2) 전동기 부하에 대한 고려는 개략적인 값이지만 운전중인 정격전류의 4배를 더한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함.3) 방사상 배전방식을 기본으로 하였음.4) 단락사고 전류에 영향을 주는 발전기, 동기전동기등이 있는 계통이 뱅킹 또는 네트워크 배전방식의 경우는 별도 계산방법에 의할 것.■ 단락전류 계산시의 사고점 기준1) 주 차단기(그림①차단기)ㆍ 변압기 2차측에서 배전반 모선까지의 전로가i)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인 경우 : 당해전로 밀단 모선에서 발생한 단락전류의 값ii) 나도체인 경우 : 주차단기의 부하측 단자에서 발생한 단락전류의 값<;2) 간선(휘다)용 차단기(그림②차단기)i)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인 경우 : 분전반 주 차단기 전원측에서 발생한 단락전류의 값ii) 나도체인 경우 : 간선용차단기의 부하측 단자에서 발생한 단락전류의 값
<;3) 분전반 주 차단기ㆍ 분전반 주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에서 발생한 단락전류의 값
<;4) 분기차단기(그림④차단기)ㆍ 분기 회로에 제 1아우트레트(제1부하점)에서 발생한 단락전류의 값
■ 단락전류의 계산법 - 변압기 정격 : 3이상 - 케이블 : 10M, 8㎟ ■ 계산예 1) 계통 구성도2) 변압기 및 선로 임피던스(IEEE DATA) 구 분변압기3상선로(Ω/㎞)220 ㎟38 ㎟RX0.01370.09890.47740.03320.09380.10473) 차단용량 계산 가) 주 차단기 (① MCCB 400A) Rt = Rt + R1 = 0.0137 + 0.0989 × 0.001 × 20 = 0.015678 Xt = Xt + X1 = 0.0332 + 0.0938 × 0.001 × 20 = 0.035076 전동기로 부터의 단락전류 유입량을 변압기 2차 정격전류의 4배로 계산하면 304A × 4 = 1,216A 따라서, 주차단기의 차단용량은 5,710 + 1,216 + 6,926A 나) 간선(휘다)용 차단기 (② MCCB 100A) R2 = R1 + R1 = 0.015678 + 0.4771 × 0.001 × 30 = 0.029991 X2 = X1 + X1 = 0.035076 + 0.1047 × 0.001 × 30 = 0.038217 전동기로 부터의 단락전류 유입량 (1,216A)을 고려하면 간선 (휘다)용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4,516 + 1,216 = 5,732A짱님이 설명을 잘 해 주었는데 현장에서 이렇게 하시면 머리가 백발이 됨니다..
현장실무 간단히 계산하는 방법...
먼저 변압기 Z%임피던스 데이터를 준비한다..
3상 100KVA4.47,3상 200KVA4.98,3상 300KVA5, 3상 500KVA5.04 , 3상 1000KVA6
** 회사마다 변아기 임피던스 값이 다름 참고만 하시길**
배운 공식에 대입만 하면OK (2차 전압이 표기가 안되어 있어서 380V 라 가정하고 계산함)
단락전류 =( (300,000/(380*1.732))*100 ) / 5%= 9.1KA 주 차단기600A 의 단락전류는 9.1KA 이상 사용하시면 되구요..
분기 차단기의 임피던스는 넘~ 작아서 무시해도 무방함.
결론은 분기 2P 차단기라 하셨는데, 명판에 전압에 따른 단락전류가 표기 되어 있습니다 ,
거기서 220V 경우표를 보시고 9.1KA 이상되는것으로 선택 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소개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락전류 비댕칭 계수[X/R 비] ? 비대칭계수와 X/R비와의 관계(비대칭 단락전류) (0) | 2011.06.12 |
---|---|
[펌] 고장전류계산 및 보호계전기정정관련 ? 고장전류 계산방법((Fault Current) (%Z법, 옴법, 단위법)) (0) | 2011.06.12 |
차단기 용량산정 ? 배선용차단기의 용량산정 (0) | 2011.06.12 |
변압기효율이떨어지는이유/HID램프 5종류 램프효율 (0) | 2011.06.12 |
부등율/조명설비 절약방법 ? 조명설비의 에너지 절약 기술(2004년 3월) (0) | 201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