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 전기박사 / sipalsekki님 http://cafe.naver.com/power119/1840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나 전동기의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열화라 하며 케이블의 열화형태는 다양하지만 재료가 받는 요인에 따라서 열열화, 전압열화, 기계스트레스에 의한 열화, 환경열차, 복합요인에 의한 열차등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또한 전선피복 손상되어 절연파괴되어지는것도 기존제품의 미달로 열화가 될수있습니다. 1)케이블 열화의 종류 및 원인의열화 형태로는 수트리 열화, 전기트리 열화, 부분방전 열화, 트래킹 열화(tracking) 이 있습니다. ▶수트리 열화 : 시공불량에 의한 침수,국소 고전계(내외도의 고르지 못함, 절연체의 Void, 이물질) ▶전기트리 열화 : 내외도의 고르지 못하고,절연체내 이물질에서의 국소 고전계 ▶부분방전 열화 : 제조 불완전에 대한 절연체내 보이드, 절연차폐층간의 공격, 시공불량에 의한 외상 ▶트래킹 열화(tracking) : 표면 누설전류에 의한 주울열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건저하여 국부방전 발생 2) 열화진단법 ㉮ 부분 방전법 tanS법과 동일하게 절연체에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때 절연체내 흠이나 공극이 있으면 그 주변이 절계집중 현상으로 부분 냉전이 발생한다. 이때의 방전 전하량을 측정하여 절연체의 열화를 조사한다. ㉯ tanS법(유전정전법) ▶ 절연체에 교류전압 V를 인가하면 이상적인 절연체일 때 전류는 흐르지 않으나 실제로는 절연체 열화 정도에 따라 전류가 흐른다. 절연이 양호한 경우 전류는 인가 전압보다 90°앞서지만 절연열화가 진행될수록 90°보다는 적어진다 ▶ 판정방법 ·0.1%이하 : 양호 ·0.1∼5% : 요주의 ·5%이상 : 불량 ㉰직류절연법(누설전류법) ▶ 직류전압을 절연물에 인가하며 흐르는 전류의 대소나 전류의 변화로서 열화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 고압케이블에 직류고전압을 급격히 인가하면 그림과 같이 흡수전류, 변위전류, 누설전류가 흐르다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누설전류만 흐른다. ▶고압케이블에 누설전류가 흐르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설전류가 증가하거나 불규칙 하게 된다. ▶ 수트리 점검에 유효하고 간단히 측정할 수 있어 현장시험에 적합하다 ▶ 판정기준 ·0.1 ㎂이하 : 양호 ·0.1 ∼1㎂ : 요주의 ·1㎂ 이상 : 불량 ㉱ 절연저항계 법 ▶ 열화의 초기 단계를 가장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판정기준 -절연체 ㉠CV케이블 500[㏁]-line이하 BN케이블 10[㏁]-line이하 : 위험 (단말분의 점검을 실행하여 재측하고 마찬가지로 제때 케이블의 교환을 고려한다.) ㉡CV케이블 500∼2000[㏁]-line이하 BN케이블 100[㏁]-km미만 : 요주의 (단말부분의 점검을 실행하여 재측하고 마찬가지로 6개월 또는 1년후 측정해야 한다.) ㉢CV케이블 2000[㏁]-line이상 BN케이블 100[㏁]-km이상 : 계속사용가능 (다음 정기 검사때까지 사용가능) -시조 ㉠CV케이블 1[㏁]-line이상 BN케이블 0.5[㏁]-line이상 : 요처리 (시즈 파손가능선이 있고 즉시 보수 처리 해야한다.) ㉡CV케이블 1[㏁]-line이상 BN케이블 0.5[㏁]-line이상 : 계속사용가능 (다음정기 검사때 까지 사용가능) 이처럼 열화에 대한 판정기준은 명확히 자료처럼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공장이나 정밀,전자를 취급하는 공장에 쓰이거나, 제품성능이 저하되면 막대히 손실을 입는 경우에 사용하지만, 일반 소규모에 취급곳에는 적용 안 되는 곳도 있습니다.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소개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소개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압기 여자 돌입전류 영향 ? 플랜트 전기 엔지니어의 다락방`>플랜트 전기 엔지니어의 다락방 (0) | 2011.06.12 |
---|---|
보호 계전기 정정방법... ? 보호계전기 정정방법 (0) | 2011.06.12 |
[펌] SC ( static condenser : 진상콘덴서 ) 진상콘덴서 강의용 090501 (0) | 2011.06.12 |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압 변류기(KSC 1707) ? 계기용 변압 변류기 (0) | 2011.06.12 |
지중케이블 열화 원인 ? 지중전력 케이블 설비 고장현황 (0) | 201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