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펌] [수변전 설비] 전력용 콘덴서 ? [펌] [수변전 설비] 전력용 콘덴서

블로그 <; 도루묵의 작은세상 http://blog.naver.com/sunkyeung/120010937348

전력용 콘덴서(SC: static capacitor)에 대해서..

전력용 콘덴서는 선로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전력용 콘덴서를 진상용 콘덴서라고도 한다.

1) 콘덴서의 부속기기

가) 방전 코일(DC: discharging coil) 콘덴서를 회로에서 개방하였을 때 전하가 잔류함으로써 일어나는 위험의 방지와 재투입할 때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의 방지를 위하여 방전장치가 사용된다. 방전장치에는 방전코일과 방전저항의 2종류가 있으며, 보통 대용량은 방전코일이 사용되고, 소용량에는 방전저항이 많이 사용된다. 방전 장치는 고압의 경우 개폐 후 5초 이내에 50[V]이하로 하고 저압의 경우는 3분에 75[V] 이하로 방전시킬 수 있는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콘덴서가 부하와 직결(전압강하 보상용)하여 똑같이 개폐될 경우에는 부하의 회로를 통하여 방전할 수 있으므로 방전장치가 불필요하다. 나) 직렬 리액터(SR: series reacter) 역률 개선용으로 콘덴서를 사용하면 회로의 전압이나 전류 파형의 왜곡을 확대하는 수가 있고, 때로는 기본파 이상의 고조파를 발생하는 수가 있다. 이러한 고조파의 발생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콘덴서 투입시 돌입전류를 억제하기 위하여 콘덴서용 직렬 리액터를 설치한다. 직렬 리액터 용량은 콘덴서 용량의 6[%]정도이고, 대체로 뱅크 용량이 500[kVA] 이상인 경우에 설치한다. 2) 콘덴서의 용량을 구하는 방법 전력부하는 일반적으로 저항 R과 유도성리액턴스 XL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압과 전류는 그 임피던스에 의해 cos θ 만큼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이를 역률이라 한다.

그리고, 수전 변압기의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한 콘덴서 용량을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용량 산정은 다음 표와 같다.

변압기 용량[kVA]

콘덴서 용량[kVA]

500 이하

변압기 용량 × 5[%]

500 ∼ 2000

변압기 용량 × 4[%]

2000 이상

변압기 용량 × 3[%]

콘덴서의 용량산정

예제)

어떤 공장에서 정격용량 300[kVA]의 변압기에 역률 70[%]의 부하 300[kVA]가 접속되어 있다. 지금 합성 역률을 90[%]로 개선하기 위하여 전력용 콘덴서를 접속한다면 부하는 몇[kW] 증가시킬 수 있겠는가?

[답] 역률 개선 전의 유효전력 P1= 300×0.7 = 210[kW]

역률 개선 후의 유효전력 P2= 300×0.9 = 270[kW]

따라서 270-210 = 60[kW]의 부하 용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