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펌] 페란티현상에 대한 파급에 대하여 ?(1) 페란티 현상시 문제점

페란티현상에 대한 파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송전단은 수전단보다 전압이 높아야 하지만, 계통에 콘덴서에 의해 역율 과보상으로 인한 수전단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여기에대해서 파급효과와 미치는 영향에대해서 잠시 몇자 적어보겠습니다.

1)일반적으로 빌딩 및 공장 부하의 대부분은 저항과 유도성리액턴스로 구성되므로 지역율이 되며,지역율의 부하는 무효전류를

여분으로 계통에 흐르게 하여 전력을 유효하게 사용하지못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계통에 콘덴서를 설치하지만, 이 또한 역율 과보상시는 부하변동에 대한 페란티 현상이 나타나므로 여러

가지문제점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대책방안을 제시해보겠습니다.

2)페란티 효과

▶부하의 역율은 일반적으로 높은 역률이므로 상당히 큰 부하가 걸려있을 경우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늦어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또한 중부하시에는 늦은전류가 송전선이나 변압기의 저항 및 리액턴스에 흐르면 수전단 전압은 송전단 전압도 낮아집니다.

이것이 일반적인데

★경부하와 무부하시는 충전전류는 영향이 커져서 선로에 90°가까운 앞선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즉 페란티 현상이라고합니다.

이것을 단위길이당의 정전용량이 클수록 송전기기가 길수록 이 현상이 심해집니다.

3)페란티현상시 문제점

▶역율개선전보다 피상전력이 증가합니다.

▶수전설비용량이용을 극대화 할수없고 전류증가로 인한 선로손실 및 전압이 상승하고,보호계전기의 오동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콘덴서의 부속기구인 직열 리액터가 과열하게 됩니다.

▶조작용 유입개페기나 차단기의 용량이 커야하고,주차단기는 진상전류차단에 대한 문제점을 초래합니다.

▶수전단 현상이 높아지는현상이 반복되면 전력계통이 붕괴되거나 전압변동이 심하게됩니다.

4)대책 및 해결책

①전력계통에서의 대책

▶콘덴서,분로리액터,동기조상기를 사용하여,무료전력을 일정범위로 유지하여 적정 전압유지,전력손실경감등을

도모해야합니다.

▶분로리액터는 케이블이나 초고압 계통의 선로의 정전용량에 의한 진상 무효전력또는 경부하시 일반수용가로부터의

진상 무효전력 과잉으로 인한 전압상승방지용입니다.

②수전설비의 대책

▶부하가 급변하는 수전설비의 제어의 필요하다,즉 부하용량이 급변하는 수전설비에서는 경부하시에는 앞선전류에 의한

과보상으로 문제점이 발생하여 콘덴서의 제어가 필요하게됩니다.

▶콘덴서 자동제어의 종류와선택

-특정부하 개폐신호에 의한 제어:특정부하이외는 무효전력기의 일정한 경우 선택합니다.

-프로그램제어:1일 부하변동이 거의 일정한 경우에 선택합니다.

-전압제어:전원 임피던스가 커서 전압변동이 큰 경우에 적용합니다.

-역율제어:역율검출회로의 측정값과 초기 설정치와 비교하여 콘덴서 투입,제어

-무효전력제어:무효전력측정값과 설정값을 비교 콘덴서 투입,제어

-전류제어:전류의 크기와 무효전력 관계가 일정한 경우 선택가능합니다.

♠위의 방법중 모든 부하조건에 적용할수 있는 무효 전력제어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고있습니다.

전기박사 땡추님!!답변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