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기설비 소요량 1. 장소별 환기 소요량 작업실 | 무창 공장 | 실내 주차장 | 주차장 | 극장·영화관·연예장 관람장·공회당·집회장 | 지 하 건 축 물 | 환기량 30㎥/h | 35㎥/h인 또는 15㎥/㎡·h 바닥 면적 | 환기 회수가 10회/h 이상 | 외기 25㎥/㎡·h 이상 | 외기75㎥/㎡·h 객석면적 공조할때는 전풍량 75㎥/㎡·h 외기량 25㎥/㎡·h | 30㎥/㎡·h 바닥면적을 공조할때는 외기량 10㎝/㎡·h | 조 건 | 1인당의 기적이 바닥위 4m이내, 10㎥ 또는 창면적이 바닥면적의 1/20이상 일 것 |
| 가창의 크기가 바닥 면적의 1/10 | 주차면적이 500㎡이상 창크기가 바닥면적의 1/10일때 | 객석 바닥면적이 400㎡이상 또는 지하흥행장 (제 1종 또는 제2종) 지상150㎡ 이하 (제1, 제2, 제3종) | 바닥면적 100㎡이상의 층(제1종) 1000㎡ 이하의 층 (제 1종, 제2종) |
2. 송풍기의 종류와 특징 송풍기의 종류 | 적용과 특징 | 다익형 (시로코형) | 사용압력이 10∼125㎜Aq의 범위로서 풍량이 1000㎥/h에서 100000㎥/h 정고까지 저속 덕트용에 쓰이며 크기는 작다. | 터보형 (사일런트형) | 압력이 125∼250㎜Aq, 풍량은 1대당 5000∼80000㎥/h, 고속 덕트용에 쓰이며 저소음 효율은 타종에 비하여 매우 좋다. 크기는 크다. | 리매어스형 (리밋트로우형) | 압력이 10∼150㎜Aq로서 보통 80∼150㎜Aq의 범위에 쓰이며 오우버로우트 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익형 (에어포일형) | 터보형과 같은 특징을 갖지만 크기는 터보형보다 작다. | 디스크형 | 가정용 환기팬은 압력 0∼1.0㎜Aq, 별도의 환풍기(0∼5A㎜q)도 있다. |
덕트설비 계획
1. 환기량 계산식
(1) 덕트내에 흐르는 풍속에 따른 분류
① 저속덕트방식 : 덕트내 풍속이 10∼15m/sec이하 ② 고속덕트방식 : 덕트내 풍속이 20∼25m/sec
풍속이 빠르면 덕트 저항이 커지고 압력이 높아지므로 고압 덕트방식이라고도 하며, 소음, 진동이 생겨나므로 이를 감소시키는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2) 수직 덕트 방식
① 각층의 층고를 낮게 할 수 있다. ② 수직 덕트 공간은 증대된다. ③ 개개의 수직덕트 공간을 제한받는 일이 많아 대규모건물에는 부적당하나 호텔의 객실이나 집합주택의 거실과 같이 개실 단위가 많은 건물에 주로 사용된다. ④ 고속 수직 덕트방식이 채용되는 일이 있다.
(3) 수평 덕트 방식
① 수직덕트가 집중적으로 배치되므로 수직 덕트의 공간 면적이 개별수직 덕트 방식보다 적어도 된다. ② 기준층 바닥 면적이 넓은 건물에는 수평 덕트 방식이 일반적이다. ③ 충고가 낮은 건물에는 보를 관통시켜 덕트를 설비하여야 하므로 덕트의 지름을 작게 해야 하며, 따낸 보의 보강비, 동력비 등이 가산되어야 한다.
(4) 덕트 배치방식에 따른 분류
① 간선덕트방식 : 가장 간단하고 설비비가 싸고 덕트 스페이스가 적어도 된다. ② 개별덕트 방식 : 공기 취출구마다 덕트를 단독으로 설치하는 방식, 풍량조절이 용이하고 멀티죤 방식에 주로 사용된다. ③ 환상덕트방식 : 덕트끝을 연결하여 환상으로 만드는 형식, 말단 공기 취출구의 압력조절이 용이하다.
2. 덕트의 재료 및 시공
(1) 덕트의 재료 아연 철판이 사용되지만 납, 도급판, 염화비닐판 지제원통, 콘크리트 글라스울 성형판 등이있다.
(2) 덕트의 이음 접이음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seaming machine의 보급에 의해 피츠버그 사이밍, 조립이 더욱 용이한 버튼 펀치스냅 시이밍 등이 사용되고 있다.
(3) 덕트의 접합부 보강을 겸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각선상의 주름을 잡는 다이아몬드 브렌스, 보강 앵글 또는 프레스홈 등으로 강성을 크게 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