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의 행복
독화 청각장애 독화지도
전정섭
2011. 6. 26. 19:08


독화는 말의 시각적인 수용이다. 독화라는 말이 사용되기 이전에는 독순이란 용어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독화를 할 때에는 조음운동시 나타나는 음소의 구형 뿐만아니가 화용적 맥락 독화고제와 유관한 안면표정, 손짓, 몸짓, 상황 등과 같은 비음성 단서도 활용하며, 음성단서도 활용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독화란 용어 사용!
1. 독화 관련 변인
청각장애아동의 독화력은 그들의 언어발달 수준, 독화학습 경험, 청력 손실도, 정서적 특성과 같은 개인내적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독화단서의 특성, 독화과제의 제시방법,독화과제의 제시상황등이 독화 과제와 어떻게 관련되느냐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즉 화자의 조음운동에 의해 나타나는 시각단서는 중복되어 있어서 변별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지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고, 전언에 수반되어 제시되는 화자의 안면표정, 손짓, 또는 몸짓, 전언에 관련된 상황 등의 적절성이 독화력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
*독화 단서의 활용은 독화자의 지적 요인에 포함된 특정능력과도 관련될 수 있다. 예컨대 어휘력, 언어 이해력, 추리력이 높은 아동은 낮은 아동에 비해 독화과제의 구조적 특성인 통사구조 및 화용적 맥락을 효과적인 독화단서로 더 잘 활용하며, 지각속도, 공간지각력이 높은 아동은 시각단서를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다.
목차
없음
관련단어
청각장애, 독화지도, 청각장애아교육
www.shop-dwg.co.kr 구인, 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