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저압 수배전반용 무정전 활선 절연저항 측정기술 ? 절연개폐장치 진단기술

전정섭 2011. 6. 12. 09:22
Ⅰ. 머리말전력수요의 증가에 따라 변전설비는 점차 대용량화·고전압화되는 추세이며, 또 도시의 공장 밀집지대 또는 도심지에 위치하고 있는 변전설비는 대지가격의 상승등으로 필요한 면적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그밖에 도심의 먼지, 공해 등에 따른 오염에 대한 안전문제에 대해서도 심각한 고려를 필요로 하고 있다.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근래에는 가능한 한 소형의 고전압 변전설비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변전소를 구성하는 개??기구 중에서도 높은 절연성을 갖는 SF6 가스절연 개폐장치( SF6Gas Insulated Swich-gear: GIS)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GIS는 차단기, 단로기, 모선, 접지 개폐기, 변성기를 SF6가스로 충진된 탱크내에 완전히 밀폐 내장하고 있으므로 종래 변전설비와 같이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고, 설치면적이 크게 줄어들며, 환경과의 조화, 고신뢰성, 안전성, 설치공기의 단축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 신설되는 설비는 거의 GIS형태로 표준화되어 급속한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가스절연개폐장치는 본래 무정비(無整備), 무점검(無點檢)을 목적으로 설비된 기기이지만, 만일 내부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종래의 기기와 비교하면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설비 특성상 용기(Enclosure)안에 밀폐되어 있는 개폐장치 내부의 기기가 충분한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가의 확인 및 내부의 이상징후의 조기발견과 고장개소의 확인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감시진단기술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따라서 본고에서는 GIS열화 및 이상현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GIS에 적용되고 있는 보수점검 방법을 기술하며, 현재 연구개발 및 실제 적용중인 GIS감시진단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Ⅱ.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열화와 이상현상GIS의 이상현상을 고려하면 통상 운전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열화(熱火)와 제조나 설치과정의 불완전 상태에 의한 이상(異狀)으로 대별된다.열화요인을 4가지로 나누면 전기적요인, 열적요인, 기계적요인, 환경요인이 있는데 대개가 운전중 발생되는 전기적 요인에 의한 열화가 주(主)이다.

1. 전기적요인에 의한 열화절연물의 전기적 파괴는 부분방전열화, Treeing열화 및 Tracking열화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부분방전 열화에는 절연물 중에 존재하는 이물 혹은 열응력 등에 의한 내부 부분방전열화, 주의 환경과의 밀접한 관련에 의한 전극금속과 접축면 금속과의 외부 부분방전열화의 2종류가 있다. 내부 부분방전열화는 Void, Particle등이 고전계(高電界)의 영향을 받아 미약한 Pulse방전을 발생시킴으로서 Tracking진전을 일으켜 절연파괴에 이른다.외부 부분방전열화는 주위환경에 따라 각각 달리 나타나는데 펄스성 방전이 반복하여 발생, Tracking 혹은 Treeing 현상으로 진전되어 파괴된다. 또한 방전개소에 공기가 유통하지 않는 경우 방전에 의한 오존, 질소산화물 등이 발생, 화학적으로 열화를 촉진시킨다. 부분방전열화를 V-T특성으로 나타내면 >;그림1<;과 같이 어느 일정 과전시간이 경과된 후 코로나 개시전압이 직선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림1<;에서 제1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은 코로나 개시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될 때 부분방전열화가 축적되어, 제2영역의 코로나 전압부근에까지 이른다.>;그림1 부분방전 열화의 V-T 특성<;Treeing열화는 절연물중에 침상 Void 혹은 부분방전열화에 의한 전계집중부에서 발생된다. 처음에는 수지상으로 진정된 후 파괴에 이르는데 Treeing열화의 V-T특성은 전압 의존성이 상당히 높다. Treeing열화는 절연물 표면의 오손, 흡습, 결로 등에 의하여, 표면 절연저항이 저하되고 누설전류가 급증, 미소 발광 방전 및 국부적인 온도상승으로 폴리머가 용해, 분해되어 고전로(高電路)가 형성되어 곧바로 절연파괴에 이른다. 내부의 부분방전 열화와 Tracking열화는 사용 환경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실제현장에서 발생되는 절연불량의 대부분은 Treeing 혹은 외부 부분방전열화에 기인한다. >;표1<;은 전기적 원인에 의한 열화현상의 종류 및 원인을 나타낸다.

>;표1 전기적 요인에 의한 절연열화의 종류<;

열 화 현 상

열 화 요 인

발 생 개 소

부분방전열화

이물 및 Void

절연물내(내부코로나)금속의 접촉면(외부코로나)

Treeing

전계집중, 이물, 부분방전

절연물 내부

Tracking

오손, 결로, 흡습

절연물의 표면

Crack

내부응력, Heat Cycle외력

절연물 내부

2. 기타요인에 의한 열화열적 열화로는 과부하, 외부환경의 요인에 의하여 운전중 온도가 상승되면 전기절연재료의 열분해 내지 열팽창 등으로 인하여 절연물 중에 Void가 생성되어 절연이 저하되는 현상으로 열적열화는 전기적, 기계적 및 환경요인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절연열화가 진전된다.기계적 열화는 차단기 내부응력, 진동, 충격, 피로 등의 여러 가지 주위 환경, 특히 온도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열변형온도를 초과시킬 때 60%정도까지 열화정도가 저하된다. 내부응력은 수지의 경화과정에서 재료합성의 불균일성으로 열팽창계수의 차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즉 사용중 Heat Cycle이나 과대한 외력이 그 원인인 경우가 많다.환경적 열화는 특수한 환경(고온, 저온, 부식성가스 염수 및 습기)에 따라 직접적인 열화요인이 될 수 있다.GIS열화의 부위로는 접촉부(소모, 마찰), 가스(수분, 분해생성물), 절연물, 패킹, 가스킷 등의 Seal 재료, 윤활재료, 제어회로 부품 등이다.제조나 설치과정시의 불완전상태에 의한 이상 현상의 경우는 제조/설치 단계의 용접, 납땜질 불량, 미소금속이물질(Particle)의 용기내 잔류, 조작기계부불량, 각종 연결부 볼트, 너트의 풀림이나 탈락, 조작진동에 의한 부품의 탈락 등이다.GIS 고장원인에 따른 진전과정과 진행결과를 정리하면 >;표2<;와 같다.

>;표2 GIS 이상원인 및 진전결과<;

설 비

이 상 원 인

진 전 상 황

결 과

GIS tank부

패킹노화, 불량, 발청,용접납땜 불량, 애관 파손

부분방전

절연파괴

가스배관부

배관 파손나사볼트의 헐거움

가스누설가스압 저하

절연파괴

절연부

가스중수분량증가Particle

결로(結露)이상진동이음부분방전

절연파괴

절연지지부

절연부파손

부분방전

절연파괴

도체연결부

나사볼트류의 조임부족,헐거움

국부과열도체용단

절연파괴지락고장

도체부

접촉자 마모치수 부정확

국부과열접촉자 용단

절연파괴

조작기구부

패킹 불량, 노화고저압간 누유(漏油)유펌프파손조작기구 고착, 불량조작기구 탈락

누유(漏油), 누기(漏氣)유압저하이상진동차단시간 증대조작불완전

조작불능차단불능

Ⅲ. 현행 보수점검 및 진단기술열화, 이상으로 인한 불량개소를 조기에 발견하고 사고·장해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기기의 성능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 설비의 보수·점ㅅ검의 목적이다.현재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순시점검방법은 한국전력공사 변전소 운전 및 순시점검지침, 기기점검보수기준에 의하여 >;그림2<;와 같이 행하여 지고 있다.>;그림2 점검과 보수의 종류 및 주기<;이중 순시란 운전상태에 기기를 외부에서 점검, 검사하는 것으로 주로 사람의 오감(五感)에 의하여 열화·이상에 의한 불량을 발견하는 것이다.또 점검이란 정기적 또는 임시로 공구, 기계, 측정기등을 이용하여 기기 정지상태에서 성능시험을 통해 구성부품의 이상여부, 열화정도를 파악하여 불량부품의 교환 조정을 하는 것이다.그러나 현재 실시하고 있는 이들 순시, 점검으로는 부품의 열화정도, 이상을 조기에 검출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고 하는 점에서 반드시 충분하지 않다.>;표3<;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요부인 차단기의 진단항목과 진단방법을 나타낸다. 이들 진단항목의 대부분은 기기의 정지가 필요하고, 또 측정결과의 판정에 숙련을 요구하는 것도 있다.현재 시행되고 있는 이와 같은 순시·점검 또는 진단은 지금까지 설비 신뢰도 향상에 공헌한 역할이 크다. 그러나 변전분야 환경의 변화, 즉 변전소와 무인화, 노후화 설비의 증대, 기기의 대용량화, 밀폐화 그리고 부족한 보수요원 등의 현상 때문에 기기 자체의 무보수, 무점검화 지향과 더불어 설비 내부를 분해하지 않고 운전상태 또는 단시간 정전으로 기기의 이상을 검출하는 외부 진단기술의 수요가 높아져 개발, 실용화되고 있다.

>;표3 GIS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요 진단항목과 진단방법<;

진 단 항 목

진 단 방 법

진 단 목 적

누설전류측정

직류전압을 인가하고 1분후와 10분후의 전류값의 비를 측정

절연물의 흡습열화

절연저항 측정

메가 또는 진류전압을 인가하여 저항값을 측정

오손, 트래킹에 의한 열화

개폐동작특성 시험

시간측정기 또는 오실로그래프에 의해 투입/개극시간을 측정

제어계, 기구계의 불량

접촉저항 측정

주회로에 통전하여 단자부의 전압 강하를 측정

접속부의 접촉불량

접촉부의 온도감시

Thermo-Tape, 적외선 온도계 등에 의해 통전부의 온도를 측정

접속부의 국부과열

절연,소호매체의특성조사

SF6가스내의 수분함유량을 수분계로 측정 SF6가스내 분해 가스의 유무를 가스검지관으로 체크 절연유의 파괴전압측정 내전압시험에 의한 진공밸브의 진공도 체크 절연 및 차단성능의 열화

제어회로 시험

제어회로를 살려 온/오프 조작, 각구 동작의 확인

동작시퀸스의 불량

Ⅳ. 가스절연개폐장치 감시진단 기술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각종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외부진단기술이 각방면에서 연구되고 각종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표4<;는 현재 사용중이거나 연구개발 중인 가스절연개폐장치내 이상현상에 대한 감시, 측정기술에 대하여 정리한 것이다.가스절연개폐장치내 이상 현상은 『부분방전→부분방전의 계속에 의한 절연저하→절연파괴』에 이르는 모드를 상정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음(音), 진동(振動), 분해가스가 부수적으로 발생한다.이와 같은 상태에 이르기 전에 이상을 포착하는데는 이상상태가 경미한 단계에서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신호검출의 가능성이나 감시항목수로부터 생략하여 어느정도 이상이 진전되어 검출하기 쉬어진 단계에야 목표를 정하여 검출하게 되는 것이 실제적이다.가스절연개폐장치의 진단 및 감시기술은 ①GIS의 절연성능, ②도체접속부의 통전성능, ③개폐기기의 개폐성능, ④고장점의 표정기술등 4개 항목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각각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표4 가스절연개폐장치내 감시항목과 측정<;

항목

감시의 현상

측정장치

이상

점검시

이상시

활선

정지

절연기능

내부부분 방전이상음(파)가스중 수분증가가스분해절연 저하지락Arc 전류 증가

코로나 검출기Sonic센서(금속이물검출)밀도스위치가스leak 검출기수분계가스검지관(檢知管)자동가스분석장치절연저항계충격압력 검출기진동검출기지락전류 검출기전류측정기

△○△△△△△

○○○○○○

○○○○

○○○○○○○○○

통전성능

온도이상 증대가스압 상승주회로저항 증가접촉상태 불량(전극소모량)

Thermo meter압력계주회로저항계코로나검출기X선진단법

△○

○○

○○

○○○○○

기계적성능

개폐시간 증대가동부의 마찰력/풀림증대동작회수 과잉구조변형/부품의 결합유면저하

개폐시간측정기저속구동법X선진단법회수계(回數計)X선진단법유면계

△○○

○○

○○○

○○○○○

1. 절연성능가. 부분방전절연기능을 진단하는 방법은 부분방전의 검출방법과 도전성 이물 검출방법에 의하여 절연성능을 진단할 수 있는데 부분방전의검출방법으로서 다음의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1) 전자파 검출법가스절연개폐장치 내부사고는 절연파괴에 이르기 전에 대부분 부분방전 과정을 거치게 된다. 어떤 결함에 의하여 GIS Enclosure내에 부분방전(Partial discharhge)이 발생하게 되면 고주파 전압과 전류, 음향신호, 빛 분해가스, 전자파 등이 발생하게 된다.전자파 검출법은 운전자가 외부에서 안테나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파를 검출함으로서 GIS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검출하는기술이다.부분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는 주파수 대역이 저주파에서 ㎓대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중 약300㎒이상의 전자파를 검출할 수 있도록 측정설비를 구성한다.변전소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전자파 노이즈가 약 300㎒이하이므로 현장에서 노이즈에 대한 문제점을 많이 극복할 수 있다.적용 센서로는 UHF 내장용 Coupler, Slot Antenna, Corona 센서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림3<;은 UHF이용기술의 개념도를 보여주는 것이다.현재 이 방법은 선진국의 경우 현장에 적용하여 신뢰도가 확보된 수준까지 기술개발이 되어 있다.>;그림3 UHF 기술 개념도<;2) 절연스페이서법GIS 내부도체를 지지하고 있는 Spacer내부 외주측에 도전성Ring을 삽입하여 Spacer를 정전용량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내부전극인 도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신호를 외부전극에 연결된 측정회로를 통하여 검출하는 방법이다.>;그림4<;와 같이 GIS의 절연스페이서 내에 내장된 전극과 탱크 플랜지부에 측정용 탐침(探針)을 접촉시켜 부분방전펄스를 검출하고지시계로 판독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더욱이 오실로스코프에 의한 정밀펄스 파형 관측에 따라 부분방전 부위의 발생부위의추정도 가능하다.>;그림4 코로나 검출기에 의한 측정<;3) 외피전극법GIS내부에서 부분방전 발생시에 고주파 전류가 탱크에 흐르게 되고 탱크 전위가 과도적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탱크와 접지간에 생기는 미소한 전위차를 고주파 광대역 프로브(탐침)로 검출하고, 잡음제거회로에서 처리하여 외래 노이즈를 줄여 GIS내부의부분방전만을 추출한다.절연스페이서법, 탱크외압검?z버과 함께 측정기는 소형/경량/가반식으로서 운전중이라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4) 진동·음향 검출법기계적 부분방전 검출법으로 GIS내부에서 부분방전에 의한 기계적인 미소진동을 탱크외벽에 부착한 고감도의 진동 가속도계로 검출하는 방법이다. 가속도계로 검출한 신호는 평균화 처리 등에 의해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부분방전에 의한 진동가속도가 식별된다.GIS탱크내에 미소금속 이물질이 있을 경우 이물질은 탱크내 표면의 전계에 대응한 정전력을 받아 이동하고 탱크내 표면과 충돌하며 이때, 탱크벽에 발생하는 미약한 초음파를 검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고 그 원리도는 >;그림5<;와 같다.>;그림5 초음파 검출기<;5) 화학적 검출법GIS내부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면 미소한 분해가스와 생성물이 발생한다. 이 분해가스량은 간단히 알 수 있는 방법으로서 정색반응법을 이용한 분해가스 검출장치(가스Checker)가 개발되어 있는데 분해가스에 의하여 검출소자가 변색되고 이 변색을 유지하는 시간으로서 분해가스의 농도를 알 수가 있다.또 변전소에서의 정밀한 가스분석을 위하여 Gas Chromatograpy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여러 가지 성분의 혼합시료를가스분석하여 부분방전 발생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이다.6) 전자 Coupling법부분방전 전류인 고주파 펄스가 접지선에 흐르는 상용주파 전류에 중첩되어 나타나며, 접지선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FerriteCore에 코일을 감고 이것에 의해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부분방전 주파수 대역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방식이다.7) GPT법모선도체에 연결된 PT 1차권선의 표유 Capacitance를 매개체로 하여 흐르는 펄스전류를 전자 Probe로 검출하는 방식이다.나. 내부 미소금속이물 검출가스절연개폐장치내에 금속이물이 존재할 때 이런 재질 및 형상이 다른 금속 이물이 전계내에 충돌시 진동주파수가 서로 다른 원리를 이용하여 검출주파수 대역이 다른 2종의 센서(AE 및 ACC센서)에 의해 충돌 주파수를 검출하고 그 출력비를 이용하여 이물을식별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내 미소금속이물 유무를 알 수가 있다.센서는 Enclosure내부에 또는 구획별로 이동 취부할 수 있으며 진단장치로부터의 출력은 검출신호 유무 및 금속이물로부터 신호인지, 노이즈인지를 판별하여 진단한다.적용센서로는 초음파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다.2. 통전성능 이상의 진단내부도체의 통전성능 이상에 의한 국소과열이나 탱크, 애자표면의 온도변화에서 검출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것은 적외선 카메라에 의한 비교화상으로부터 온도분포의 패턴을 구하고 국소과열의 위치와 온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실제의 기기에서 종종 측정치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현장에서 GIS내부의 접촉자 상태나 볼트의 풀림, 실드등 내부구조물의 탈락 이상 등을 조사하는 방법으로서 X선 촬영에 의한 내부투시법이 실용화되어 있다. 내부투시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접촉자의 주위에 X선 흡습의 부재를 배치하지 않는 등 구조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일본의 Hictachi 시스템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통전이상시 접촉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탱크외부에서 검출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고, Nissan사에서는 과열발생에 대하여 가스압력센서를 이용 10분마다 압력과 외기온도를 측정하여 1시간전 측정치와 비교하여 압력변환분을 산출하고 온도를 보정한 후 기준치와 비교, 기준치 이상 상승하면 과열로 판정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3. 개폐성능 이상의 진단개폐기기는 통상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성능의 이상 검출은 어려우나 개폐동작 불량에 의한 고장 발생률이 높아 매우 중요한 진단항목중 하나이다.정기점검시와 같이 주접점의 개폐시간이 직접 측정되는 경우에는 동작시간의 변화로부터 조작기구부와 가스중의 동작부분에 대하여 윤활불량, 변형파괴, 나사풀림 등의 이상이 추정되며, 운전중인 경우에는 주접점과 연동되는 보조접점의 개폐시간을 측정하거나 광(光) Slid신호로 동작시간을 측정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고, 또 동작시 마그네트코일에 흐르는 제어전류의 크기를 측정하여 동작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개폐기기의 스트로크측정에 의한 진단법은 정보량이 많고 확실한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쉽게 스트로크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조면의 연구도 현실적으로 실행되고 운전상태에서 측정할 수 있는 기기도 있다. 또 차단기의 접점소모량 진단법으로서 개폐특성과 차단전류정보와의 조합에 의한 누적차단전류감시를 실시함으로서 접점의 남은 수명추정도 가능하게 되고 있다.개폐기기의 동작감시의 적용예로서 개폐 지령전류를 CT로 검출하여 지령후 동작시간을 광Slid 신호로 측정하거나, 조작기구 회전구동축에 디스크를 부착하여 0, 10, 90, 100% 관통홀을 만들고, 발광소자와 수광(受光)소자를 배치하여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4. 가스누기 감시가스누기의 검출은 반도체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가스압력이 Diaphragm에 가해져 봉입액이 주입된 센서에 전달되어 반도체 확산 게이지의 저항체가 Piezo저항효과에 의해 변화하여 이것을 Bridge회로로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시 또는 주기적으로 감시하거나 가스압력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보상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누기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5. GIS의 고장점 표정방법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만일 GIS내부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현재의 보호릴레이시스템에서는 그 보호범위가 넓기 때문에 고장점을 특정하기에는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공급지장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하여서는 릴레이 시스템과는 별도의 방법으로서의 고장점 표정수단이 바람직하다. 지락(내부아크)에 수반되는 현상을 적절한 센서로 검출하고 릴레이정보와 조합하여 효과적인 지락점 표정(標定)을 실시할 수가 있다. 센서를 선택할 때는 감지방법이 특징이나 GIS의 구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그림6<;에 표시한 것처럼 내부아크에 의한 충격압력파의 도착 시간차를 검출하여 고장점을 찾는 방법이 있다. 이는 표정원리에서 알 수 있듯이 상당히 긴GIS모선에 복수의 충격압력릴레이(SP릴레이)를 배치, 최초에 신호가 온 SP릴레이를 트리거하여 시간계측을 하는 것으로서 고장점을 표정하는 방법이다.>;그림6 고장점 표정원리<;

Ⅴ. 맺음말지금까지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열화와 이상현상 및 이를 감시하기 위한 진단기술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향후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사용의 확대와 더불어 이에 대한 외부 진단기술은 더욱 더 중요해지는 동시에 적용이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예상된다. 국내에서도 송전전압 격상사업의 일환으로 765㎸ 변전소내에 적용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실정이다.그러므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예방진단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진단의 신뢰성 향상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부분방전의 검출감도 향상을 위한 외래 노이즈의 억제, 제거방법의 확립◎ 계산기를 이용하여 검출감도 향상을 위하여 집적(集積)과 해석의 효율화(시간단축 등)◎ Expert System을 이용한 진단시스템의 개발 등이 앞으로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진단, 감시 대상인 기기는 처음부터 센서를 내장하고 감지하기 쉬운 구조로 하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보호·제어시스템 및 운전, 보수지원, 설비관리시스템을 일체화한 종합적인 인텔리전트 시스템의 구성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참고문헌

변전설비 진단기술 개발 연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1998 송변전설비의 고장예측 진단기술의 개발과 발전방향, 한국전력공사 서울 연수원, 1997 일본전기학회, 전기설비의 진단기술, 1994 전기설비의 무정전 점검방법 연구, 한국전기연구소 개폐기기의 설비진단, 전기기술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