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산업재해 관리가 부실한 사업장 339곳을 지난 3일 공개했다. 이 가운데 건설현장은 모두 73곳이 포함됐다.이번에 공표된 사업장은 ▲2009년도 같은 업종 규모별 평균재해율 이상인 사업장 중 재해율 상위 10% 이내인 사업장(재해자 2명 이하 제외) 295곳 ▲2009년도에 산업재해로 사망재해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으로 사망만인율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상인 사업장 41곳 ▲2007~2009년 기간 중 산재발생 보고의무를 2회 이상 위반해 사법조치를 받은 사업장 1곳 ▲2009년도에 중대산업사고 1건 이상이 발생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으로 행정·사법조치를 받은 사업장 2곳 등이다.산재다발 사업장 295곳 중 건설현장은 48곳이었다. 특히 지자체 건설현장 다수가 산재다발 사업장에 포함된 동시에 현장 규모별 최고 산재율을 기록한 사업장도 모두 지자체 사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299인 건설현장에서는 부산시 금정구청 실버로드 조성사업 현장, 300~499인 현장은 부산시 사하구청 희망근로사업 현장, 500~999인 현장은 화성시청 희망근로산업 현장이 같은 규모 건설현장 중 산업재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그 외 건설업종 산업재해 다발현장 중 16%(8곳)가 지자체 사업현장인 것으로 나타나 지자체 공공공사 현장의 안전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망재해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은 60%(24곳)가 건설현장이었다.고용노동부 김윤배 산업안전보건정책관은 "최근의 트렌드는 기업 이미지에 따라 기업의 성패가 갈리고 있다" 며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은 기업 이미지 형성의 최소 필요조건이므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의 노력이 더욱 요구되는 시점" 이라고 밝혔다.
-2010.08.06 대한건설기계신문-
www.shop-dwg.co.kr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건축 과정 소통하는 정부대표 블로그 (0) | 2011.06.08 |
---|---|
계약 및 설계변경 해설 계약 및 설계변경 해설 (0) | 2011.06.08 |
공정관리 [건설경영]공정관리 (0) | 2011.06.08 |
공사발주 HAND BOOK (기획에서 관리까지) 미국의 정부조달 품질관리제도 (0) | 2011.06.08 |
건설현장의 건축민원 위험도평가 및 예방대책 조달청, 해빙기 31개 건설현장 안전점검 (0) | 201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