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

재사용 가설기자재 성능기준에 관한 지침

재사용 가설기자재 성능기준에 관한 지침
Home <; 안전교육자료 <; 건설안전지침┌───────────────────────────────────────┐│ 코드개요 ││ ││ 작성자 : 최 순 주 ││ ││ 제·개정 경과 ││ - 1995년 9월 건설안전분야 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1995년 10월 총괄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1998년 5월 건설안전분야 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1998년 9월 총괄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2000년 6월 건설안전분야 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2000년 8월 총괄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2001년 6월 건설안전분야 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2001년 8월 총괄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2002년 11월 건설안전분야 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2002년 12월 총괄기준제정위원회 심의 ││ ││ 관련규격 및 자료 ││ - 일본 가설공업회, 경년가설재의 관리에 관한 기술기준과 해설 ││ ││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7조(방호조치를 하여야 할 유해 또는 위험기계· ││ 기구 등) ││ - 노동부고시 제2001-50호(위험기계·기구 방호장치 성능검정규정) ││ ││ 코드적용 및 문의 ││ 이 코드에 대한 문의는 한국산업안전공단 중대산업사고예방실 ││ (TEL 032-5100-682, FAX 032-512-8315)로 연락하여 주십시오. ││ ││ 공표일자 : 2002년 12월 23일 ││ ││ 제 정 자 : 한국산업안전공단 이사장 ││ │└───────────────────────────────────────┘재사용 가설기자재 성능기준에 관한 지침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제27조(방호조치를 하여야 할 유해 또는 위험 기계·기구 등)의 규정에 의거 추락 및 붕괴 등의 위험방지를 위하여 재사용 가설 기자재의 성능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가설기자재 성능검정규격에 합격하여 1회 이상 사용하였거나 신품 이라도 오랜 기간의 보관 등으로 강도저하의 우려가 있는 가설기자재에 대하여 적용한다.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가) "재사용 가설기자재"라 함은 현장에서 1회 이상 사용하였거나 또는 사용 하지 않은 신품이라도 오랜 기간의 현장 보관으로 강도의 저하 우려가 있는 가설기자재를 말한다. (나) "관리"라 함은 가설기자재 재사용 가부판단을 위한 판정, 정비, 수리, 성능 시험, 폐기 등 일련의 행위를 말한다. (다) "정비"라 함은 재사용 가설기자재에 부착된 콘크리트 등의 불순물 제거, 기자재의 구성부품(나사·볼트·너트 등)에 대한 기름칠, 변형(휨·비틀림 등)된 기자재의 교정, 손상된 부품의 교환과 수리(용접·도장·도금 등)를 하는 행위로서, 재사용하기 이전에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와 복원을 위한 일체의 행위를 말한다. (라) "모집단"이라 함은 동일한 종류와 형식으로 부재별 판정기준 2급으로 분류된 재사용 가설기자재 전체를 말한다. (마) "있음" 이라 함은 판정기준상 일부 부품의 교체나 정비를 통해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녹슬음의 경우 녹슬음이 진행되어 두께가 감소되었다고 판단되는 정도를 말한다. (바) "현저함"이라 함은 판정기준상 부식으로 인한 두께의 감소, 교정불가능, 교정이 되어도 사용상 무리가 따르는 정도의 상태를 말한다. (2)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이 지침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 하고는 산업안전보건법, 동법시행령, 동법시행규칙, 산업안전기준에관한규칙 및 노동부 고시에서 정하는 바에 의한다.4. 등급기준 재사용 하고자 하는 가설기자재는 변형·손상·녹슬음 등의 정도에 따라 사용등급 은 재사용하고, 시험등급 은 성능시험 결과에 따라 사용의 가부를 판단하며, 폐기등급 과 시험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폐기한다. 다만 약간의 교정 및 부품의 교체로 사용이 가능한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사용등급 : 변형·손상·녹슬음 등이 없거나 약간 있더라도 강도상 영향이 거의 없고, 일부 변형 등은 부품의 교환과 약간의 교정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해당 가설 기자재 판정 기준 1급에 모두 합당한 등급. (2) 시험등급 : 녹슬음·변형·균열·휨 등의 손상이 상당한 상태이거나, 내구년 한이 지난 것으로 성능시험 결과에 따라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로서, 해당 가설기자재 판정 기준 1급 또는 2급에 합당하고, 3급에 해당하는 것이 없는 등급. (3) 폐기등급 : 주요한 구조부분의 변형·손상·녹슬음 등이 현저하여 수리가 불가 능한 상태로서 해당 가설 기자재 판정 기준 3급에 어느 하나라도 해당하는 등급.5. 판정시기 보관장소에서 현장으로 반입할 때 재사용 여부를 판단한다.6. 성능시험 (1) 시험등급 의 가설 기자재 재사용 가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2) 시험의 방법 및 결과(강도·처짐량 등)는 가설기자재 성능검정규격의 시험 방법 및 기준에 따르며, 해당 가설기자재 규격기준에 따라 재사용 가부를 판정한다.7. 시험체의 선정 (1) 시험체는 시험등급으로 판정된 가설기자재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선정한다. (2) 시험체는 해당 시험항목에 대해 5개 이상을 선정한다.8. 표지 성능시험 결과 재사용으로 판정된 경우 잘 보이는 곳에 재사용 가 의 표시를 한다.9. 파이프 써포트 9.1 파이프 써포트 파이프 써포트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1<;과 같다. >;그림 1<; 파이프 써포트 "PDF 파일참조" >;표 1<; 파이프 써포트의 판정기준┏━━━━┯━━━━━━━┯━━━━━━┯━━━━━━┯━━━━┓┃부 재 │항 목 │1 급 │2 급 │3 급 ┃┃ │ │ │ │ ┃┣━━━━┿━━━━━━━┿━━━━━━┿━━━━━━┿━━━━┫┃받이판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바닥판 ├───────┼──────┼──────┼────┨┃ │ 용접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 두께 │5.4mm 이상 │5.4mm 미만 │- ┃┗━━━━┷━━━━━━━┷━━━━━━┷━━━━━━┷━━━━┛┏━━━━┯━━━━━━━━┯━━━━━━━━┯━━━━━━━━┯━━━━━━━━┓┃부 재 │항 목 │1 급 │2 급 │3 급 ┃┣━━━━┿━━━━━━━━┿━━━━━━━━┷━━━━━━━━┿━━━━━━━━┫┃내 관 │ 휨 │주) >;표 2<; 참조 │ ┃┃ ├────────┼────────┬────────┼────────┨┃ │ 균 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깊이 4mm 미만 │깊이 4mm 이상 ┃┃ ├────────┼────────┼────────┼────────┨┃ │ 핀 구멍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 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지지 핀 │ 휨(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연결재이상 │없 음 │있 음 │탈락 또는 손상 ┃┃ ├────────┼────────┼────────┼────────┨┃ │ 직경 │11mm 이상 │11mm 미만 │- ┃┠────┼────────┼────────┼────────┼────────┨┃조절나사│ 나사부의 마모 │없 음 │있 음 │현저함 ┃┃(암나사)├────────┼────────┼────────┼────────┨┃ │ 균열 │없 음 │- │있 음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핸들부의 파손 │없 음 │있 음 │탈락 또는 손상 ┃┠────┼────────┼────────┼────────┼────────┨┃조절나사│ 나사부의 마모 │없 음 │있 음 │현저함 ┃┃(숫나사)├────────┼────────┼────────┼────────┨┃ │ 균열 │없 음 │- │있 음 ┃┃ ├────────┼────────┼────────┼────────┨┃ │ 구멍의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캡의 이상 │없 음 │있 음 │탈락 또는 손상 ┃┠────┼────────┼────────┼────────┼────────┨┃외 관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깊이 7mm 미만 │깊이 7mm 이상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 두께 │2.0mm 이상 │2.0mm 미만 │- ┃┠────┼────────┼────────┼────────┼────────┨┃기 타 │ 전체 진폭 │최대사용길이의 │- │최대사용길이의 ┃┃ │ │ 1/55 이하 │ │1/55 초과 ┃┗━━━━┷━━━━━━━━┷━━━━━━━━┷━━━━━━━━┷━━━━━━━━┛ 주) 녹슬음이 현저한 경우라도 교체하면 1급으로 분류한다. 주) 내관의 최대사용길이에 따른 휨의 허용크기 미만의 경우 1급으로하며, 그 이상이면 2급으로 한다. >;표 2<; 내관의 최대사용길이에 따른 휨의 크기┏━━━━━━━━━━━━━━━━┯━━━━━━━━━━━━━━━━┓┃최대사용길이(mm) │휨의 허용크기(mm) ┃┣━━━━━━━━━━━━━━━━┿━━━━━━━━━━━━━━━━┫┃3,500 이상 4,000 미만 │6 ┃┠────────────────┼────────────────┨┃3,100 이상 3,500 미만 │5 ┃┠────────────────┼────────────────┨┃2,200 이상 3,100 미만 │4 ┃┠────────────────┼────────────────┨┃2,200 미만 │3 ┃┗━━━━━━━━━━━━━━━━┷━━━━━━━━━━━━━━━━┛ 9.2 보조지주 보조지주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3<;과 같다. >;그림 2<;  보조지주 "PDF 파일참조" >;표 3<; 보조지주의 판정기준 ┏━━━┯━━━━━━┯━━━━━━━┯━━━━━━━┯━━━━━━━┓┃부 재 │항 목 │1 급 │2 급 │3 급 ┃┣━━━┿━━━━━━┿━━━━━━━┿━━━━━━━┿━━━━━━━┫┃받이판│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바닥판├──────┼───────┼───────┼───────┨┃ │ 용접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5.4mm 이상 │5.4mm 미만 │- ┃┠───┼──────┼───────┴───────┼───────┨┃주 관 │ 휨 │ 주) 참 조 │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 │없 음 │깊이 4mm 미만 │깊이 4mm 이상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삽입관│ 휨(손상) │없 음 │2.0mm 미만 │2.0mm 이상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용접 떨어짐│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주) 주관의 최대사용길이에 따른 휨의 허용크기 이하인 경우 1급으로 하며, 초과하면 2급으로 한다. >;표 4<; 주관의 최대사용길이에 따른 휨의 허용크기┏━━━━━━━━━━━━━━━━━┯━━━━━━━━━━━━━━━━━┓┃최대사용길이(mm) │휨의 허용크기(mm) ┃┣━━━━━━━━━━━━━━━━━┿━━━━━━━━━━━━━━━━━┫┃1,500 이상 1,800 이하 │5 ┃┠─────────────────┼─────────────────┨┃1,200 이상 1,500 미만 │4 ┃┠─────────────────┼─────────────────┨┃1,150 이상 1,200 미만 │3 ┃┗━━━━━━━━━━━━━━━━━┷━━━━━━━━━━━━━━━━━┛10. 강관틀비계용 부재 10.1 주틀 주틀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5<;와 같다. >;그림 3<; 주틀 "PDF 파일 참조" >;표 5<; 주틀 판정 기준┏━━━━┯━━━━━━━━━━┯━━━━━━━┯━━━━━━━┯━━━━━━━━┓┃부재 │항 목 │1 급 │2 급 │3 급 ┃┣━━━━┿━━━━━━━━━━┿━━━━━━━┿━━━━━━━┿━━━━━━━━┫┃기둥재 │ 휨 │없 음 │5mm 미만 │5mm 이상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 │없 음 │길이3mm 미만 │깊이 3mm 이상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 ├──────────┼───────┼───────┼────────┨┃ │ 교차가새핀의 이상 │없 음 │있 음 │탈락 또는 손상 ┃┠────┼──────────┼───────┼───────┼────────┨┃횡가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보강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 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기 타 │ 용접부의 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10.2 교차가새 교차가새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6<;과 같다. >;그림 4<; 교차가새 "PDF 파일 참조">;표 6<; 교차가새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가새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깊이 5mm 미만 │깊이 5mm 이상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 열 │없 음 │- │있 음 ┃┃ ├────────┼────────┼────────┼───────┨┃ │ 핀구멍 │지름 15mm 이하 │지름 15mm 초과 │- ┃┠────┼────────┼────────┼────────┼───────┨┃힌지핀 │ 손 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주) 녹슬음이 현저한 경우라도 교체하면 1급으로 분류한다. 주) 손상항목의 현저함 은 부식이 진행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파단되는 경우를 말한다. 10.3 띠장틀 띠장틀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7<;과 같다 >;그림 5<;  띠장틀 "PDF 파일 참조">;표 7<; 띠장틀의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띠장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 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깊이 3mm 미만 │깊이 3mm 이상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버팀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깊이 3mm 미만 │깊이 3mm 이상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0mm 이상 │2.0mm 미만 │- ┃┠────┼────────┼──────┼───────┼────────┨┃조 임 │ 균 열 │없 음 │- │있 음 ┃┃철 물 ├────────┼──────┼───────┼────────┨┃ │ 리벳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7.2mm 이상 │7.2mm 미만 │- ┃┃ ├────────┼──────┼───────┼────────┨┃ │ 이탈방지 이상 │없 음 │- │있 음 ┃┠────┼────────┼──────┼───────┼────────┨┃기 타 │ 용접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변형, 뒤틀림 │없 음 │있 음 │현저함 ┃┗━━━━┷━━━━━━━━┷━━━━━━┷━━━━━━━┷━━━━━━━━┛ 주) 녹슬음 이 현저한 경우라도 교체하면 1급으로 분류한다.11. 작업발판 작업발판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8<;과 같다. >;그림 6<; 작업발판 "PDF 파일 참조" >;표 8<; 작업발판의 판정기준┏━━━━┯━━━━━━━━━━┯━━━━━━┯━━━━━━┯━━━━━┓┃부 재 │항목 │1급 │2급 │3급 ┃┣━━━━┿━━━━━━━━━━┿━━━━━━┿━━━━━━┿━━━━━┫┃바닥재 │ 균 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10mm 미만 │10mm 이상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1.1mm 이상 │1.1mm 미만 │- ┃┠────┼──────────┼──────┼──────┼─────┨┃보 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수평재 │ 균 열 │없 음 │- │있 음 ┃┃ ├──────────┼──────┼──────┼─────┨┃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조 임 │ 균 열 │없 음 │- │있 음 ┃┃철 물 ├──────────┼──────┼──────┼─────┨┃ │ 리벳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 단판형 │7.2mm 이상 │7.2mm 미만 │- ┃┃ │ ├────┼──────┼──────┼─────┨┃ │ │ 상자형 │3.0mm 이상 │3.0mm 미만 │- ┃┠────┼─────┴────┼──────┼──────┼─────┨┃기 타 │ 용접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 등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12. 선반지주 선반지주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9<;와 같다. >;그림 7<; 선반지주 "PDF 파일 참조" >;표 9<; 선반지주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수평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수직재 ├────────────┼─────┼──────┼────┨┃경사재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두께 │ 강관 │1.7mm 이상│1.7mm 미만 │- ┃┃ │ ├─────┼─────┼──────┼────┨┃ │ │ 강관이외 │1.6mm 이상│1.6mm 미만 │- ┃┠────┼──────┴─────┼─────┼──────┼────┨┃부 착 │ 설치부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철 물 ├────────────┼─────┼──────┼────┨┃ │ 볼트,너트,핀 등의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설치부 판두께 │3.0mm 이상│3.0mm 미만 │- ┃┃ ├────────────┼─────┼──────┼────┨┃ │ 볼트의 직경 │9.0mm 이상│9.0mm 미만 │- ┃┠────┼────────────┼─────┼──────┼────┨┃기 타 │ 용접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난간기둥 받침 또는 │없 음 │있 음 │현저함 ┃┃ │ 탈락방지판 이상 │ │ │ ┃┃ ├────────────┼─────┼──────┼────┨┃ │ 신축형 수평삽입재 │없 음 │있 음 │현저함 ┃┃ │ 이탈방지 볼트 이상 │ │ │ ┃┗━━━━┷━━━━━━━━━━━━┷━━━━━┷━━━━━━┷━━━━┛13. 단관비계용 강관 단관비계용 강관의 판정기준은 >;표 10<;과 같다. >;그림 8<;  단관비계용 강관 "PDF 파일 참조" >;표 10<; 단관비계용 강관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강 관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14. 외줄비계용 작업발판 및 그 지지철물 외줄비계용 작업발판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11<;과 같다. >;그림 9<; 외줄비계용 작업발판 "PDF 파일 참조" >;표 11<; 외줄비계용 작업발판 판정기준┏━━━━┯━━━━━━━━━┯━━━━━━┯━━━━━━━━━┯━━━━━━━━━┓┃부 재 │항 목 │1 급 │2 급 │3 급 ┃┣━━━━┿━━━━━━━━━┿━━━━━━┿━━━━━━━━━┿━━━━━━━━━┫┃바닥재 │ 균열 │없 음 │보방향 10mm 미만 │보방향 10mm 이상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1.1mm 이상 │1.1mm 미만 │- ┃┠────┼─────────┼──────┼─────────┼─────────┨┃보 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1.1mm 이상 │1.1mm 미만 │- ┃┠────┼─────────┼──────┼─────────┼─────────┨┃수평재 │ 균열 │없 음 │중앙부 10mm 미만 │중앙부 10mm 이상 ┃┃ ├─────────┼──────┼─────────┼─────────┨┃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1.1mm 이상 │1.1mm 미만 │- ┃┠────┼─────────┼──────┼─────────┼─────────┨┃갈고리형│ 균열 │없 음 │- │있 음 ┃┃철물 ├─────────┼──────┼─────────┼─────────┨┃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이탈방지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5.4mm 이상 │5.4mm 미만 │- ┃┠────┼─────────┼──────┼─────────┼─────────┨┃지지철물│ 조임부분의 본체 │없 음 │체결시벌어짐 │체결시 벌어짐 ┃┃ │및 덮개의손상 │ │2mm 미만 │2mm 이상 ┃┃ ├─────────┼──────┼─────────┼─────────┨┃ │ 볼트, 너트, 핀 │없 음 │있 음 │현저함 ┃┃ │등의 손상 │ │ │ ┃┃ ├─────────┼──────┼─────────┼─────────┨┃ │ 본체부의 판두께 │4.3mm 이상 │4.3mm 미만 │-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기 타 │ 용접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등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주) 갈고리와 부착철물의 휨은 현저함 이라도 교체 가능한 경우는 1급으로 분류한다.15. 이동식비계용 주틀 및 각륜 15.1 이동식비계용 주틀 이동식비계용 주틀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12<;와 같다. >;그림 10<;  이동식비계용 주틀 "PDF파일 참조" >;표 12<; 이동식비계용 주틀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기둥재│ 휨 │8mm 미만 │8mm 이상 │-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연결부 삽입관 │2mm 미만 │2mm 이상 │- ┃┃ │ 찌그러짐(패임) │ │ │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1mm 이상 │2.1mm 미만│- ┃┃ ├─────────┼──────┼─────┼────┨┃ │ 교차가새핀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횡가재│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1mm 이상 │2.1mm 미만│- ┃┠───┼─────────┼──────┼─────┼────┨┃보강재│ 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기 타│ 용접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15.2 각 륜 각륜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13<;과 같다. >;그림 11<;  각륜 "PDF파일 참조" >;표 13<; 각륜 판정기준┏━━━━━━━┯━━━━━━━━┯━━━━┯━━━━┯━━━━┓┃부 재 │항목 │1급 │2급 │3급 ┃┣━━━━━━━┿━━━━━━━━┿━━━━┿━━━━┿━━━━┫┃주 축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이탈방지 장치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포 크 │ 균열 │없 음 │- │있 음 ┃┃ ├────────┼────┼────┼────┨┃ │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차축 구멍 마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차바퀴 │ 균열(손상) │없 음 │- │있 음 ┃┃(타이어·휠) ├────────┼────┼────┼────┨┃ │ 타이어 마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휠의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차 축 │ 손 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제동장치 │ 손 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조절나사 │ 손 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기 타 │ 용접 균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주) 제동장치의 손상항목 현저함 은 제동장치를 조작한 상태에서 쉽게 움직이는 상태를 말함16. 벽연결용 철물 벽연결용 철물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14<;와 같다. >;그림 12<;  벽연결용 철물 "PDF파일 참조" >;표 14<; 벽연결용 철물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주 재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조절나사부 마모 │없 음 │있 음 │현저함 ┃┠───────┼─────────┼─────┼─────┼────┨┃조임철물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3.0mm 이상│3.0mm 미만│- ┃┠───────┼─────────┼─────┼─────┼────┨┃부착철물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탈락 또는 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기 타 │ 용접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 등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 주) 주재의 변형 항목의 현저함 은 길이 조절이 원할치 못함을 말한다. 주) 부착철물이 클램프인 경우에는 클램프 판정기준을 참조한다.17. 연결철물 17.1 강관틀비계용 주틀의 암록 강관틀비계용 주틀의 암록 판정기준은 >;표 15<;와 같다. >;그림 13<; 암록 "PDF파일 참조" >;표 15<; 암록의 판정기준┏━━━━━━━┯━━━━━━━━┯━━━━━━━━┯━━━━━┓┃항 목 │1급 │2급 │3급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균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핀구멍 │지름 15㎜ 이하 │지름 15㎜ 초과 │- ┃┃ │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판두께 │2.8mm 이상 │2.8mm 미만 │- ┃┃ │ │ │ ┃┗━━━━━━━┷━━━━━━━━┷━━━━━━━━┷━━━━━┛ 주) 변형항목의 현저함 은 상부와 하부에 부착할 수 없는 정도의 변형을 말한다. 17.2 단관비계용의 단관조인트 단관비계용의 단관조인트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16<;과 같다. >;그림 14<; 단관비계용의 단관조인트 "PDF파일 참조" >;표 16<; 단관비계용의 단관조인트 판정기준┏━━━━━┯━━━━━━━━┯━━━━━━┯━━━━━━┯━━━━┓┃부 재 │항 목 │1급 │2급 │3급 ┃┣━━━━━┿━━━━━━━━┿━━━━━━┿━━━━━━┿━━━━┫┃삽입관 │ 휨,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이음관 │ 용접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 주) 삽입관 변형 항목의 현저함 은 삽입부의 변형이 심하여 단관 등에 접합이 곤란한 경우를 말한다.18. 클램프 클램프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17<;과 같다. >;그림 15<;  클램프 "PDF파일 참조" >;표 17<; 클램프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본 체│ 변 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덮 개├───────────┼─────┼─────────┼─────────┨┃ │ 균 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체결시 개폐부 벌어짐 │1mm 미만 │1mm 이상-2mm 미만 │2mm 이상 ┃┃ ├───────────┼─────┼─────────┼─────────┨┃ │ 핀의 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조임부의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3.0mm 이상│3.0mm 미만 │- ┃┠───┼───────────┼─────┼─────────┼─────────┨┃볼 트│ 너트작동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너 트├───────────┼─────┼─────────┼─────────┨┃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볼트부분 핀의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볼트의 직경 │9.0mm 이상│9.0mm 미만 │- ┃┠───┼───────────┼─────┼─────────┼─────────┨┃기 타 │ 접합리벳 변형(벌어짐)│없 음 │직교형 0.5mm 미만 │직교형 0.5mm 이상 ┃┃ │ │ ├─────────┼─────────┨┃ │ │ │자유형 3mm 미만 │자유형 3mm 이상 ┃┃ ├───────────┼─────┼─────────┼─────────┨┃ │ 기름 등의 부착여부 │없 음 │있 음 │현저함 ┃┗━━━┷━━━━━━━━━━━┷━━━━━┷━━━━━━━━━┷━━━━━━━━━┛19. 받침철물 19.1 고정형 받침철물 고정형 받침철물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18<;과 같다. >;그림 16<;  고정형 받침철물 "PDF파일 참조" >;표 18<; 고정형 받침철물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받침관│ 균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받침판│ 변 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5.4mm 이상 │5.4mm 미만 │- ┃┠───┼──────────┼──────┼──────┼─────┨┃기 타│ 받침관,받침판의 │없 음 │있 음 │현저함 ┃┃ │ 접합부 이상과 변형 │ │ │ ┃┗━━━┷━━━━━━━━━━┷━━━━━━┷━━━━━━┷━━━━━┛ 19.2 조절형 받침철물 조절형 받침철물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19<;와 같다. >;그림 17<; 조절형 받침철물 "PDF파일 참조" >;표 19<; 조절형 받침철물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나사봉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나사부의 변형 │없 음 │- │있 음 ┃┠────┼─────────┼──────┼──────┼────┨┃받침판 │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5.4mm 이상 │5.4mm 미만 │- ┃┠────┼─────────┼──────┼──────┼────┨┃기 타 │ 조절너트의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용접의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의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 주) 나사봉 휨 항목의 현저함 은 교정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20. 달비계용 부재 20.1 달기체인 달기체인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0<;과 같다. >;그림 18<;  달기체인 "PDF파일 참조">;표 20<; 달기체인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링 │ 균열 │없 음 │- │있 음 ┃┃ ├─────────┼──────┼──────┼────────┨┃ │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단경 │9mm 이상 │9mm 미만 │- ┃┃ ├─────────┼──────┼──────┼────────┨┃ │ 장경 │42mm 이하 │42mm 초과 │- ┃┃ ├─────────┼──────┼──────┼────────┨┃ │ 직경 │5.7mm 이상 │5.7mm 미만 │- ┃┃ ├─────────┼──────┼──────┼────────┨┃ │ 용접 떨어짐 │없 음 │- │있 음 ┃┠────┼─────────┼──────┼──────┼────────┨┃후 크 │ 균열 │없 음 │- │있 음 ┃┃ ├─────────┼──────┼──────┼────────┨┃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개구부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4.0mm 이상 │4.0mm 미만 │- ┃┃ ├─────────┼──────┼──────┼────────┨┃ │ 탈 락 │없 음 │- │있 음 ┃┠────┼─────────┼──────┼──────┼────────┨┃기 타 │ 체인늘어남 │없 음 │5% 미만 │5% 이상 ┃┃ ├─────────┼──────┼──────┼────────┨┃ │ 콘크리트등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 20.2 달기틀 달기틀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1<;과 같다. >;그림 19<;  달기틀 "PDF파일 참조" >;표 21<; 달기틀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보재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달기재 │ │ │ │ ┃┃난간기둥├───────────┼─────┼────────┼───────┨┃ │균 열 │없 음 │- │있 음 ┃┃ │ │ │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깊이 3mm 미만 │깊이 3mm 이상 ┃┃ │ │ │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기 타 │난간설치용 클램프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 ├───────────┼─────┼────────┼───────┨┃ │달기재 교차핀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 ├───────────┼─────┼────────┼───────┨┃ │철골 연결부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 ├───────────┼─────┼────────┼───────┨┃ │용접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21. 안전난간 기둥 안전난간 기둥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2<;와 같다. >;그림 20<; 안전난간 기둥 예 "PDF파일 참조" >;표 22<; 안전난간 기둥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전 체 │ 변형·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 등의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각부 용접부 │ 균 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구조물 체결부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난간 기둥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상부난간대 및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중간대 체결부 │ │ │ │ ┃┠────────┼───────────┼─────┼────┼────┨┃볼트·너트·핀 │ 탈락·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22. 통로용 작업발판 통로용 작업발판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3<;과 같다. >;그림 21<; 통로용 작업발판의 예 "PDF파일 참조" >;표 23<;통로용 작업발판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전 체 │ 휨·비틀림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 등의 부착│없 음 │있 음 │현저함 ┃┠───────┼──────────┼────┼────┼────┨┃각부 용접부 │ 균열·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바닥재 │ 균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미끄러짐 방지 │ 마모 │없 음 │있 음 │현저함 ┃┠───────┼──────────┼────┼────┼────┨┃수평재, 보재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보강재 │ 균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23. 철골용 클램프 철골용 클램프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4<;와 같다. >;그림 22<; 철골용 클램프접합부 등의 측정 예 >;그림 23<; 철골용 클램프 예 "PDF파일 참조" >;표 24<; 철골용 클램프의 부재별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전체 │ 접합볼트 등의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부착물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연결부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본체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연 │· ├───────────┼──────┼─────────┼────┨┃결 │덮개 │ 균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부 │ ├───────────┼──────┼─────────┼────┨┃ │ │ 체결시 덮개의 벌어짐 │1mm 미만 │1mm 이상 2mm 미만 │2mm 이상┃┃ │ ├───────────┼──────┼─────────┼────┨┃ │ │ 덮개핀의 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덮개의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판 두께 │3.0mm 이상 │3.0mm 미만 │- ┃┃ ├───┼───────────┼──────┼─────────┼────┨┃ │볼트 │ 너트의 작동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너트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핀의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볼트의 직경 │9.0mm 이상 │9.0mm 미만 │- ┃┠──┼───┼───────────┼──────┼─────────┼────┨┃체 │본체 │ 변형 (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결 │ ├───────────┼──────┼─────────┼────┨┃부 │ │ 균열 │없 음 │- │있 음 ┃┃ ├───┼───────────┼──────┼─────────┼────┨┃ │볼트 │ 변형 (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 │ 볼트의 직경 │11.0mm 이상 │11.0mm 미만 │- ┃┗━━┷━━━┷━━━━━━━━━━━┷━━━━━━┷━━━━━━━━━┷━━━━┛24. 피벗형 받침철물 피벗형 받침철물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5<;와 같다. >;그림 24<; 피벗형 받침철물의 종류와 부재 명칭 (조절형)(삽입형)(고정형) "PDF파일 참조" >;표 25<; 피벗형 받침철물 판정기준┏━━━━━━━━━┯━━━━━━━━━━┯━━━━━━┯━━━━━━┯━━━━┓┃부재 │항 목 │1급 │2급 │3급 ┃┣━━━━━━━━━┿━━━━━━━━━━┿━━━━━━┿━━━━━━┿━━━━┫┃ 전 체 │ 변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각부 접합부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 등의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 구 좌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5.4mm 이상 │5.4mm 미만 │- ┃┠─────────┼──────────┼──────┼──────┼────┨┃ 조절형 │ 너트의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나사봉·조절너트)├──────────┼──────┼──────┼────┨┃ │ 나사봉의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나사부의 이상 │없 음 │- │있 음 ┃┠─────────┼──────────┼──────┼──────┼────┨┃ 지주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고정식·삽입식)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 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 장부재(삽입식)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받침판(고정형) │ 변형(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판두께 │5.4mm 이상 │5.4mm 미만 │- ┃┗━━━━━━━━━┷━━━━━━━━━━┷━━━━━━┷━━━━━━┷━━━━┛25. 이동식 비계용 난간틀 이동식 비계용 난간틀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6<;과 같다. >;그림 25<; 이동식 비계용 난간틀의 부재 명칭 "PDF파일 참조" >;표 26<; 이동식 비계용 난간틀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 전체 │ 휨·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용접부의 균열·떨어짐│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 등의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지주재 및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난간재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1.7㎜ 이상 │1.7㎜ 미만│- ┃┠──────┼───────────┼──────┼─────┼────┨┃교차가새 등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체결부 등 │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폭목재 │ 두께 │1.7mm 이상 │1.7mm 미만│- ┃┗━━━━━━┷━━━━━━━━━━━┷━━━━━━┷━━━━━┷━━━━┛26. 측벽용 브라켓 측벽용 브라켓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7<;과 같다. >;그림 26<; 측벽용 브라켓의 부재 명칭 "PDF파일 참조" >;표 27<; 측벽용 브라켓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 전체 │ 휨·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용접부의 균열·떨어짐│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 등의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 수평재 │ 휨 │없 음 │있 음 │현저함 ┃┃ 수직재 ├───────────┼──────┼──────┼────┨┃ 경사재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강관 두께 │ 3.3mm 이상 │ 3.3mm 미만 │- ┃┃ ├───────────┼──────┼──────┼────┨┃ │ 강관 외의 두께 │ 2.0mm 이상 │ 2.0mm 미만 │- ┃┠────────┼───────────┼──────┼──────┼────┨┃ 부착철물 │ 설치부의 이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볼트·너트 등의 이상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부착 강판 두께 │ 6.0mm 이상 │ 6.0mm 미만 │- ┃┃ ├───────────┼──────┼──────┼────┨┃ │ 볼트의 직경 │ 16mm 이상 │ 16mm 미만 │- ┃┠────────┼───────────┼──────┼──────┼────┨┃ 기둥의 │ 변형(수직도 및 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탈락방지 철물 ├───────────┼──────┼──────┼────┨┃ │ 수직길이 │ 30mm 이상 │30mm 미만 │ - ┃┃ ├───────────┼──────┼──────┼────┨┃ │ 주변 용접부 │없 음 │있 음 │현저함 ┃┗━━━━━━━━┷━━━━━━━━━━━┷━━━━━━┷━━━━━━┷━━━━┛27. 방호선반 방호선반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8<;과 같다 >;그림 27<; 방호선반 "PDF파일 참조" >;표 28<; 방호선반의 부재별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 전체 │ 휨·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용접부의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 등의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 틀 │ 다형강의 두께 │3.2mm 이상 │3.2mm 미만 │- ┃┠──┬─────┼──────────┼──────┼──────┼─────┨┃보 │강관 │ 두께 │2.1mm 이상 │2.1mm 미만 │- ┃┃ ├─────┼──────────┼──────┼──────┼─────┨┃ │와이어로프│ 직경 │9.0mm 이상 │8.4mm∼9.0mm│8.4mm 미만┃┠──┴─────┼──────────┼──────┼──────┼─────┨┃가새 │ 강관두께 │2.1mm 이상 │2.1mm 미만 │- ┃┠────────┼──────────┼──────┼──────┼─────┨┃바닥판 │ 강판두께 │1.2mm 이상 │1.2mm 미만 │- ┃┃ ├──────────┼──────┼──────┼─────┨┃ │ 처짐 │11.0mm 미만 │11.0mm 이상 │- ┃┠────────┼──────────┼──────┼──────┼─────┨┃상·하 브라켓 │ 강판두께 │4.5mm 이상 │4.5mm 미만 │- ┃┃ ├──────────┼──────┴──────┴─────┨┃ │ 클램프 │ 18. 클램프 기준에 의함 ┃┗━━━━━━━━┷━━━━━━━━━━┷━━━━━━━━━━━━━━━━━━━┛28.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 아코디온식 롱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29<;와 같다. >;그림 28<;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 "PDF파일 참조" >;표 29<;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의 부재별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 전체 │ 휨·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용접부의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콘크리트 등의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문 │ 행가레일(각형강관) │ 2.2mm 이상 │ 2.2mm 미만 │- ┃┃ ├──────────┼──────┼───────┼───┨┃ │ 하부레일(각형강관) │ 2.2mm 이상 │ 2.2mm 미만 │- ┃┠─────┼──────────┼──────┼───────┼───┨┃ 창 살 │ 창살(각형강관) │ 2.1mm 이상 │ 2.1mm 미만 │- ┃┃ ├──────────┼──────┼───────┼───┨┃ │ X재(평철) │ 3.0mm 이상 │ 3.0mm 미만 │- ┃┃ ├──────┬───┼──────┼───────┼───┨┃ │ 수직재 │ 두께 │ 2.1mm 이상 │ 2.1mm 미만 │- ┃┃ ├──────┼───┼──────┼───────┼───┨┃ │ 수평재 │ 두께 │ 3.0mm 이상 │ 3.0mm 미만 │- ┃┃ │ │ │ │ │ ┃┗━━━━━┷━━━━━━┷━━━┷━━━━━━┷━━━━━━━┷━━━┛29.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 공사중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30<;과 같다. >;그림 29<;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 "PDF파일 참조" >;표 30<;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의 부재별 판정기준┏━━━━┯━━━━━━━━━━━━━━┯━━━━━━━┯━━━━━━┯━━━━┓┃부재 │항목 │1급 │2급 │3급 ┃┣━━━━┿━━━━━━━━━━━━━━┿━━━━━━━┿━━━━━━┿━━━━┫┃ 전 체 │ 휨·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찌그러짐(패임)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열 │없 음 │- │있 음 │┃ ├──────────────┼───────┼──────┼────┤┃ │ 용접부의 떨어짐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콘크리트 등의 부착 │없 음 │있 음 │현저함 ┃┠────┼──────────────┼───────┼──────┼────┨┃ 수직재 │ 외부 수직재의 두께 │4.0mm 이상 │4.0mm 미만 │- ┃┃ ├──────────────┼───────┼──────┼────┨┃ │ 중간 수직재의 두께 │2.1mm 이상 │2.1mm 미만 │- ┃┠────┼──────┬───────┼───────┼──────┼────┨┃수평재 │ 상부난간대 │ 각형강관두께 │2.1mm 이상 │2.1mm 미만 │- ┃┃ │ ├───────┼───────┼──────┼────┨┃ │ │ 높이 │ 900.0mm 이상 │900.0mm 미만│- ┃┃ ├──────┼───────┼───────┼──────┼────┨┃ │ 중간난간대 │ 강관두께 │2.1mm 이상 │2.1mm 미만 │- ┃┃ │ ├───────┼───────┼──────┼────┨┃ │ │ 강관직경 │38.0mm 이상 │38.0mm 미만 │- ┃┃ │ ├───────┼───────┼──────┼────┨┃ │ │ 높이 │ 450.0mm 이상 │450.0mm 미만│- ┃┃ ├──────┼───────┼───────┼──────┼────┨┃ │ 폭 목 │ 두께 │2.1mm 이상 │2.1mm 미만 │- ┃┃ │ ├───────┼───────┼──────┼────┨┃ │ │ 높이 │10.0mm 이상 │10.0mm 미만 │- ┃┠────┼──────┴───────┼───────┼──────┼────┨┃ 스크류 │ 직경 │16.0mm 이상 │16.0mm 미만 │- ┃┗━━━━┷━━━━━━━━━━━━━━┷━━━━━━━┷━━━━━━┷━━━━┛30. 강관틀 비계용 주틀의 연결핀 강관틀 비계용 주틀의 연결핀 각 부분의 판정기준은 >;표 31<;과 같다. >;그림 30<; 강관틀 비계용 주틀의 연결핀 "PDF파일 참조" >;표 31<; 강관틀 비계용 주틀 연결핀의 부재별 판정기준┏━━━━┯━━━━━━━┯━━━━━━┯━━━━━━┯━━━━━━┓┃부 재 │항 목 │1급 │2급 │3급 ┃┣━━━━┿━━━━━━━┿━━━━━━┿━━━━━━┿━━━━━━┫┃전 체 │ 변 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균 열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삽입관 │ 변 형 │없 음 │있 음 │현저함 주1) ┃┃이음관 ├───────┼──────┼──────┼──────┨┃ │ 녹슬음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관두께 │2.2mm 이상 │2.2mm 미만 │- ┃┃ ├───────┼──────┼──────┼──────┨┃ │ 삽입길이 │95.0mm 이상 │95.0mm 미만 │- ┃┠────┼───────┼──────┼──────┼──────┨┃핀 │ 핀의 손상 │없 음 │있 음 │현저함 ┃┃ ├───────┼──────┼──────┼──────┨┃ │ 핀구멍 직경 │16.0mm 이하 │16.0mm 초과 │- ┃┗━━━━┷━━━━━━━┷━━━━━━┷━━━━━━┷━━━━━━┛ 주1) 삽입관 변형 항목의 현저함 은 삽입부의 변형이 심하여 주틀에 조립이 곤란한 경우를 말한다.

出處: http://blog.naver.com/cmsong4000?Redirect=Log&logNo=70008339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