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에어로플렉스(Aeroflex)의 기술적 성능 |
독립기포구조
| EPDM을 기본재료로 발포를 통해 재료 내부에 무수한 독립기포(Closed-Cell)를 형성하고 있다. 동시에 독립기포구조는 우수한 방습력을 지니고 있어 내부에 공기 차단막을 형성하며 비록 재료표면이 손상된다 하더라도 전체적인 공기 차단성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개방구조(Open-Cell)의 암면이나 유리면은 표면의 알루미늄 은박 등 또 다른 방습층에 의존하여 공기를 차단하고 있으며 일단 알루미늄 은박등의 마감재에 손상이 있을시 습기의 침투방지력을 상실해 좋은 보온효과를 얻을 수 없다.
|
밀도
| 발포 고무단열재의 열전도율은 표면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한다. 독립기포와 EPDM 성분의 비례에 따라 최적의 열전도율 밀도범위(60~100kg/m3)가 존재한다. 만일 밀도가 증가하고 EPDM 성분이 늘어나면 재료 강도가 다소 증가할 수 있으나, 열전도율은 그에 따라 감소한다.
|
열전도율
| 열전도율은 평균온도에 따라 변화하고 모든 종류의 보온재는 열전도율 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보온재의 사용 중 열전도율은 항상 초기의 열전도율 보다 크다. 특히, 저온관 보냉에 있어서 보냉관내,외벽 양측은 항상 온도차와 습도차가 발생한다. 그래서, 수증기 분압차의 지속적인 작동하에 수증기는 어쩔 수 없이 보온재의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데 물의 열전도율(0.56W/m.K)은 보온재의 초기 열전도율의 10배나 되기 때문에 보온재를 사용하는 가운데 점차 높아져 초기 열전도율에 의거해 선정한 보온두께는 결로 방지된다. 개방구조(Open-Cell)의 암면이나 유리면은 시공초기에 문제가 없어 보이나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결로 된 누수의 영향으로 보온효과를 상실하게 된다. 보온재의 사용수명에는 투습/방습력이 지극히 중요하고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수증기 팽창저항계수
| 수증기 팽창저항계수 μ(뮤)는 보온재의 방습력을 가늠하는데 쓰인다.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틸렌(P.S), 그리고 폴리우레탄(P.U)같은 보온재는 바로 생산된 제품의 경우에는 낮은 열전도율 값을 갖는데, 열전도율 값은 μ factor 및 흡수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 보온재들은 보통 3개월에서 2년정도 사용 후 보온재의 μ값이 약해진다. 이로 인해 주위의 습한 공기에서 수분을 흡수하게 되고 보온재 전체의 열전도율도 증가시킨다. 수분을 흡수하고 나면 보온재로서의 효율성이 급속히 떨어진다. 폭넓은 적용온도-200c~175c)로 급수.급탕.환탕.소화.난방.중온수.냉온수.증기. 응축수 및 방열 브라인 배관, 냉동 냉매배관과 특히 이중온도 라인에 매우 이상적인 보온재질이다. |
연소성(난연성)
| 미국 및 유럽에서는 중요한 요소로서 화염 확산성 및 낮은 연기밀도(유독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특히, 유럽(EN,BS규정)에서는 화염확산에 많은 기준을 두고 있으며 미국(ASTM E-84기준)에서는 화염확산은 물론 연기밀도와 매연농도에서도 강한 기준을 표준화하고 있다. Aeroflex는 미국의 ASTM E-84 기준(25/50)을 통과하여 비화염확산성(20)과 저연기밀도(25) 및 무독성 제품으로 공인 받았으며 건축물자재의 요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제품으로 입증되었다. * ASTM C 534 Type I(Tubing) Type II(Sheet) 일반적인 NBR/PVC 재질들은 높은 비율의 PVC를 함유하여 환경에도 해를주고 유독성 비식을 일으키는 HCN등의 유독가스를 만들어낸다. 반면에, Aeroflex는 고품질의 난연재료와 연기량이 적은 무독성 합성고무(EPDM)를 원료로하여 연소시 불똥이 전혀 없으며 인체에 유해한 독가스를 방출하지 않는 HCN FREE 재질이다. |
표면의 열전달율
| 보온재의 표면 열전달율은 복사와 방사율을 종합한 값으로서 표면의 거칠기, 색깔, 광택정도,풍속, 온도등의 영향을 받는다. Aeroflex는 원재료에 카본블랙(Carbon Black)을 첨가하여 발포 과정 중 표면의 거칠기와 광택등을 조절하는데 이는 표면의 열전도율을 높이는데 있다. 온도가 일정할 때 표면 열전달율 α가 높을수록 열전도율 λ가 낮을수록 보온 두께는 얇다.
|
유연성
| Aeroflex는 360° 유연하여 자유자재로 구부러지는 부드러운 보온재이나 일반 재질들은 안쪽곡선 부분의 벽 두께가 얇아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신축성이 낮아 보통 복잡하게 구부러진 파이프에 설치를 할수 없어 구부러진 부분에 넣으려면 더 큰 규격의 튜브를 사용한다.
|
내구성, 내후성
| Aeroflex의 수명은 15년 이상이며 고온 및 강한 자외선에 노출 사용될 경우 그 수명은 다소 짧아질 수 있으나 옥외 노출시에도 또다른 형태의 보호덮개가 불필요하다. 반면, 기타 타 보온재의 재질은 NBR / PVC의 혼합물로 자외선에 좋은 재질이나 옥외에서 태양에 노출시켜 설치할 경우(사용수명 1 ∼ 3년) 페인트, PVC 테이프, 금속이나 플라스틱 자켓과 같은 덮개를 사용하지 않으면 경화되어, 매우 짧은 기간에 표면의 균열이 생기고 수명은 급속도로 짧아질 수 있다.
|
내부식성
| 대부분의 고무계 보온재는 고무를 발포하는데 Sulfur(황)를 사용한다. 만약, Sulfur(황)가 생성과정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않으면 제품 속의 잔여물(Residuum)이 통과재반응을 하여 동관의 부식을 일으키나, 한번 부식이 생기면 동관을 검게 변하게 하며 표면이 갈라져 결국 균열이 생기고 유체의 누출을 일으킨다. Aeroflex는 무시할만한 양의 Sulfur를 함유하는 발포 매체를 사용한다. Aeroflex 생산과정중의 발포 시스템은 거의 완전하게 화학성분을 분해하여 동관의 부식을 예방하여 동관 원래의 붉은색과 부드러움을 유지한다. 또한, DIN1988에 의거 음용수 배관설비에 엄격히 규제되는 내용으로 오오스트 나이트계 스테인레스관에는 CI(염소)함유량이 0.05%이하이고, 동관에는 NH3(암모니아)가 0.2%이하의 기준을 두고 있으며, Aeroflex는 PVC(Poly vinyl Chloride)가 함유되지 않은 순수한 EPDM 재질로 매우 안정적인 값을 유지한다. |
|
|
※ 고무발포 보온·보냉공사 표준시방 |
1. 일반사항 | 본 시방은 배관, 덕트, 냉난방겸용 시스템에어컨 및 기기류의 결로방지, 동파방지 보온 및 보냉공사에 적용하며 PVC가 함유되지 않은 탄성계 EPDM합성고무 재료를 발포한 독립기포구조(Closed Cell Structure)형태의 단열성을 위해 질기지 않은 가벼운 흑색 성분으로 ISO9001, ISO14001 친환경성, OHSAS18001 안전보건인증을 취득한 품질 또는 동등품 이상으로 시공한다. | |
2. 보온재와 보조재 | 2-1 보온재의 사양
1)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재료로 발포한 탄성계 독립기포 구조 형태의 흑색제품. 2) ASTM C 534 Type Ⅰ(Tubing), Type Ⅱ(Sheet) 규격제품. 3) ASTM E-84(UL 723, ANSI/NFPA No.255, UBC No.8-1)에 의거 CLASS A 또는 아라비아 숫자인 CLASSⅠ으로 분류되는 난연성능 1등급인 화염학산 25/ 연기밀도 50 이하인 난연제품. 4) ASTM E-96에 의거 방습성 0.10perm-in 이하인 제품. 5) ASTM D-1056에 의거 흡수율(무게당) 3%이하인 제품. 6) ASTM D-1667에 의거 밀도 60∼100Kg/㎥규격 제품. 7) ASTM C-177 또는 ISO 8497에 의거 열전도율 0.035W/mK at 0℃인 제품. 8) DIN 52615에 의거 μFactor(수증기팽창저항계수)10,000의 값을 가진 발포체가 크지 않은 조밀한 제품. 9) DIN 1988 Part 7에 의거 내부식성 제품 : Cl성분 0.05%이하, NH3성분 0.2%이하. 10) 옥외 노출시 기후와 자외선 등에 변형이 없는 PVC가 함유되지 않은 EPDM 제품.
2-2 보온재의 검사
상기 조건들을 만족하는 자재를 사용해야한다.
2-3 보온재에 사용되는 외장재, 보강재는 반드시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료를 선정하고, 보온재는 다음 사항을 표시해야한다.
1) 보온통 및 보온판 상기보온재의 검사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제품명이 반드시 표시되어 있는 튜브(150A이하), 매트형 제품.
2) 접착제 819K 흑색접착제를 사용한다.
3) 외부 마감재 외부 마감재가 필요 없으며 배관 식별을 위해 2m간격으로 점착처리 되어진 50mm폭 해당 색상띠로 각각 마감. 옥외 시공시 햇빛에 강한 EPDM재질로 반드시 시공해야한다. | 3. 보온공사 | 3-1 배관보온
1) 사용온도 파이프 표면온도가 -57℃∼125℃까지 상시 사용가능한 제품. 단, -57℃이하 또는 125℃이상은 본사 영업부에 연락바랍니다.
2) 연관작업 (1) 접착제가 마감되어질 모든 부위의 수분을 제거해야 하며 오염된 상태에서의 시공은 금한다. (2) 용도별 배관 식별을 위하여 2m 간격으로 색상별 표식띠를 감아준다. (3) 특별히 금속표면의 부식을 막기 위해 코팅을 해야 할 때 819K 접착제를 병용한다. (4) Hanger, Saddle등은 파이프가 단열재를 받쳐 주기에 충분한 크기 이여야 하며, 충분한 단열재 두께 및 목재 블록이나 콜크 같은 받침 시설이 삽입 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고려하여 위치가 선정되어야 한다. (5) 모든 배관 마감은 시공시 서로 수평일 경우 2"(50.8mm), 근접 시설물에 대해 1"(25.4mm)의 공간을 둔다. (파이프의 온도가 0℃이하 일 때는 특별한 공간배치가 요구된다.)
3) 급수, 급탕, 소화, 냉각수, 냉온수의 피복 시공방법
| 재 료 | 시공순서 | 1. EPDM고무발포 튜브, 매트
2. 819K 흑색접착제
3. 접착부위 난연보강 테이프
| 1. 배관경 150A까지는 원통형 튜브형태로 그대로 끼우거나 튜브를 절개후 이음매와 절개된 모든 부위에 접착제 마감.
2. 배관경 200A이상 대구경은 매트를 사용하여 접착제 마감.
3. 절개 후 접착 부위에 난연보강테이프를 추가 조치할수 있다. |
| ※ 결로발생 방지를 위해 속비닐 등 추가 조치가 불필요 함. | 4) 급수, 급탕, 소화, 냉각수, 냉온수의 피복 시공방법
| 재 료 | 시공순서 | 1. EPDM고무발포 10M코일튜브
2. 819K 흑색접착제
3. 접착부위 난연보강 테이프
| 1. 동파이프에 그대로 끼워서 이음매는 접착제 마감.
2. 난연 보강테이프를 2m간격으로 전선케이블을 묶어 마감완료.
|
| ※ 냉난방 겸용에 적용(-57℃∼125℃)가능한 내열성이 간한 EPDM 재료이어야 함. | 5) 증기, 응축수관(91∼125℃)의 피복 시공방법
| 재 료 | 시공순서 | 1. SSH 튜브, 매트
2. 접착부위 난연보강 테이프
| 1. 배관경 150A까지는 원통형 튜브형태로 그대로 끼우거나 튜브를 절개후 이음매와 절개된 모든 부위에 난연 보강테이프로 처리한다.
2. 난연 보강테이프를 2m간격으로 전선케이블을 묶어 마감완료.
3. 절개 후 접착 부위에 난연보강테이프를 추가 조치할수 있다. |
| 3-2 밸브의 피복 시공방법
| 재 료 | 시공순서 | 1. EPDM고무발포 매트
2. 819K 흑색접착제
| 1. 밸브의 형태에 따라 재단.(도면 상세도 참조)
2. 재단되어진 다양한 EPDM 매트로 각각의 이음매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체 마감. |
| 3-3 덕트의 피복 시공방법
| 1) 각형덕트
| 재 료 | 시공순서 | 1. EPDM고무발포 매트형 롤 보온판 (표면에 접착제처리된 판형롤상태의 것)
2. ㄷ형 후렌지 보온재
3. 819K 흑색접착제
| 1. 덕트 4면에 Ⅹ자 형태로 접착제 도포.
2. 보온판을 한번에 말아 감싸서 부착 마감, 또는 4면을 재단하여 부착마감.
3. 후렌지 부분을 마감. |
| ※ 보온두께 19mm 이상의 보온공사는 4면을 각각 재단 부착마감 함. | 2) 스파이럴 원형덕트
| 재 료 | 시공순서 | 1. EPDM고무발포 매트형 롤 보온판
2. 흑색접착제 | 1. 200A이상 배관의 피복시공과 동일
|
| 3.4 보온두께의 공통사항
1) 보온두께는 고무발포 고유의 검정색 보온재만의 두께를 말하며 다른 색소가 함유된 재료의 두께는 포함하지 않는다. 2) 결로 및 동파방지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의 보온두께는 두가지 중에서 큰쪽의 시방을 적용한다. 3) 보온두께는 시공장소의 조건이 현저하게 다른 경우는 그 조건에 따라 산정 되어지는 것에 따른다. 4) 보온과 보냉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의 보온두께는 두가지 중에서 두께가 큰 쪽의 시방을 적용한다.
| 4. 보온두께 | 4-1 덕트의 보온두께
| | ※ 내부온도 12∼40℃, 주위온도 30℃, 상대습도 70% 환경이며 이외의 온습도 조건의 경우에는 별도 산출한다. | 4-2 배관의 보온두께
| 배관의 종류 | 배관경 | 보온두께 | 보온재 | 급배수,우수,소화수관 (15℃) | 15A - 80A | 13mm *(19mm) | EPDM고무발포재질 | 100A 이상 | EPDM고무발포재질 | 냉수 (5℃) | 15A - 80A | 19mm *(25mm) | EPDM고무발포재질 | 100A 이상 | EPDM고무발포재질 | 시스템에어컨냉매관 (-57∼125℃) | 가스관 6.35 - 38.1 | 13mm | EPDM고무발포재질 | 액관 6.35 - 38.1 | EPDM고무발포재질 | 빙축열 브라인관 (-5℃) | 15A - 80A | 50mm | EPDM고무발포재질 | 100A 이상 | EPDM고무발포재질 | 급탕,온수,난방관 (61∼90℃ 저압 저온) | 15A - 80A | 19mm | EPDM고무발포재질 | 100A 이상 | EPDM고무발포재질 | 지역난방 배관 (91∼125℃ 고압 중온) | 15A - 150A | 25mm | EPDM고무발포 SSH재질 | 200A 이상 | 38mm | EPDM고무발포 SSH재질 | 쏠라시스템 배관 (125∼175℃) | 15A - 80A | 25mm | EPDM고무발포 SSH재질 | 100A 이상 | 50mm | EPDM고무발포 SSH재질 |
| - Note 1) 결로방지를 위한 두께산출 기준은 주위온도 30℃,상대습도70% 일반조건이다. 2) *표시되어진 괄호 안의 두께는 30℃,80%로 통풍이 잘 되지 않은 환경조건의 경우이다. 3) 우수관은 결로방지용 보온임.(오피스텔 및 아파트 천정우수관은 소음방지 25mm 보온) 4) 지하주차장은 25mm,옥상 물탱크실,옥탑,휀룸내 소화 및 급수 배관은 50mm로 방동 보온 한다. 5) 매립배관 방로보온재는 내열성능이 우수한 EPDM재료로 암모니아성분(NH3)이 0.2%이하인 두께. 6mm 이상의 동관의 부식에도 안정적인 제품(온돌바닥 급수,급탕배관 방로보온). 6) 125∼175℃ 쏠라시스템관에 적용되는 내열성 기준은 상시적인 운용조건이 아닌 간헐적으로 가동되는 환경조건이다. 지역난방 중온수관 및 증기관 보온은 무기질재료(유리면,암면등)를 1차 피복 표면온도를 감소시킨 후, SSH로 2차 마감하여 열손실과 분진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 4-3 밸브의 보온두께
밸브류는 EPDM고무발포 매트를 이용 자체로 마감한다. | | ※ 케이싱이나 또다른 카바 마감 없이 EPDM매트 자체로 완성되기에 형상유지를 위하여 25mm두께가 적정함. | 4-4 기기의 보온두께
1) 결로 방지용 보온재 두께 - 급수탱크류의 결로방지를 위한 보온재 및 보온두께는 다음에 따른다. (1) 일반적인 조건 : EPDM고무발포재 매트 25mm (탱크내 수온 15℃, 주위온도 30℃, 상대습도 85%) (2) 다습한 장소 조건 : EPDM고무발포 매트 50mm (탱크내 수온 15℃, 주위온도 30℃, 상대습도 90%)
2) 보온용 보온재 두께 - 온수헤더, 열교환기, 저탕탱크 및 팽창탱크의 보온재 및 보온 두께는 다음에 따른다. (1) 내부온도 100℃, 주위온도 20℃, 표면온도 40℃ 이하 : 고온용 SSH 50mm
3) 보냉용 방지용 보온재 두께 (1) 냉동기의 보온재 및 보온두께 : EPDM고무발포재 50mm (내부온도 5℃, 주위온도 30℃, 상대습도 85%) (2) 냉수, 냉온수용 펌프, 헤더, 탱크류의 보온재 및 보온두께 : EPDM고무발포보온재 50mm (내부온도 5℃, 주위온도 30℃, 상대습도 85%) (3) 공기조화기의 보온재 및 보온두께 : 25mm (내부온도 12℃∼40℃, 외부온도 5℃∼33℃, 상대습도 70%) (4) 송풍기의 보온재 및 보온두께 : 25mm (내부온도 12℃∼40℃, 외부온도 5℃∼33℃, 상대습도 70%) | 4-5 옥외시공
1) 옥외 시공시 사용수명은 5년 이상이나 추가 보호조치가 필요할 경우에 다양한 색상의 에어로코트(AEROCOAT)로 보강 마감한다. 2) 옥외 시공시 보온·보냉·동파방지두께는 배관경, 상대습도, 관내온도, 외기온도에 따라 별도 결정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