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유분진 : 0.15 mg/m3이하
(2) CO : 10ppm 이하(0.001%이하)
(3) CO2 : 1000ppm 이하(0.1%이하)
(4) 기류속도 : 0.5m/s 이하
(5) 상대습도 : 40~70%
(6) 17℃~28℃(건축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적인 경우임)
2. 실내공기 오염의 원인
실내라는 폐쇄된 공간에서 생활하다 보면, 실내 공기질의 악화는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불가피하게 일어난다.
(1) 온·습도의 상승
인체나 난방기, 조명 등으로부터의 방열·방습
(2) 산소의 감소, CO2가스의 증가
사람의 호흡, 끽연, 연소기구의 연소 등에 의해 산소가 소비되고 CO2가 배출됨
(3) 각종 냄새의 증가
체취, 담배연기냄새, 조리냄새 등
(4) 부유분진의 증가
① 사람의 활동에 의해 의복, 작업대상물, 바닥 등으로부터 발생한 먼지가 시내에 부유
② 이 중 0.3~5μ 정도의 먼지는 숨을 내쉴 때 다시 폐 밖으로 나옴
(5) 세균의 증가
세균은 주로 먼지(특히 유기성 분진)에 부착되어 부유하는데,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경우 감염의 원인이 됨
(6) CO가스의 발생
CO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시 발생하며, 인체에 치명적 영향을 미침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이 산소의 300배 → CO중독 유발)
(7) 각종 건축자재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1) 라돈가스(radon gas)
① 라돈가스는 콘크리트, 석고보드 등의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된다.
② 미세한 입자형태로 먼지에 부착되어 폐에 흡입되며, 폐질환 발생의 원인이 된다.
2) 휘발성 유기용제 (VOCS : Volatile Organic Compounds)
①유기용제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벤젠, 토루엔, 크실렌이 대표적 유해물질이다.
②이들의 발생원은 건축자재(비닐타일, 단열재 등), 접착제, 코킹제, 페인트, 가구등이다.
③이들의 호흡기로 흡입되면 눈, 코, 인후 등에 자극증상이 발생하며, 저농도에서도 장기간 노출되면, 빈혈, 혈액응고 장애가 발생한다.
④특히 이들은 백혈구를 파괴하여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저하시켜 암 발생의 원인이 된다.(발암성 물질)
3) 석면(asbestos)
①석면은 내화성, 내열성이 좋고, 단열성, 흡입성이 우수하여 실내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②침상(針狀)구조의 석면이 호흡기를 통해 폐내에 흡입되면 배출이 잘 되지 않아 각종 질병, 호흡장애를 일으킨다.
3. 실내오염물질의 제거 방법
실내오염물질은 크게, 부유미립자, 유독가스, 부유미생물의 3종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부유미립자 : 여과 또는 정전효과에 의해 제거 → 에어 필터(air filter), 전기집진기
(2) 유독가스 : 활성탄에 의한 흡착 또는 흡수액에 의한 세정 → 활성탄 필터 등
(3) 부유미립자 : 고성능 에어 필터 (HEPA) → 병원 수술실, 의약품공장 등(BCR)
출처 : | 제일공조냉동 |
'환기 및 닥트설비,창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댄포스-주택환기시스템 (0) | 2012.02.08 |
---|---|
알폼슬리브와환기자재자료집 (0) | 2012.02.07 |
국소환기 (0) | 2012.02.06 |
brainch_main_hole_현도및계산법 (0) | 2012.02.06 |
환기시스템의 점검과 성능 (0) | 201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