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소환기의 효과는 환기에너지의 저감뿐만 아니라 공조에너지의 저감과도 직결된다.
(2)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치해서는 아무리 에너지를 소비하여도 실내공기를 정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국소환기는 에너지 절약과 더불어 환경성능을 높이는 데도 중요한 수단이 된다.
2. 적용장소에 따른 국소환기 방법
(1) 주방환기
어느 건물에서나 주방의 공조와 환기를 어떻게 조정하는가가 설계상 문제인데,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주방은 식당(홀)보다 약간 부압이 되게 하여 → 환기용 공기의 일부를 식당으로부터 흡입.
②환기용 공기는 후드근방에서 단독계통에 의해 공급받아 배기가스, 조리연기, 냄새 등이 확산되지 않게 한다.
③작업영역에는 국소공조(spot cooling)을 적용 → 최소 에너지로 조리환경 조성
(2) 변소, 끽연실 등
공조용 급기 공기량보다 많은 량을 배기(국소배기)하여 실내를 부압으로 만들어 냄새가 사무실 등으로 확산되는 것 방지
(3) 실험실 드래프트 챔버(draft chamber)
① 실험실의 드래프트 챔버는 다량의 배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것을 실내의 공기로 충당하려면 다량의 외기도입이 필요하므로 외기부하가 너무 커진다.
② 드래프트 챔버로부터의 환기는 열적·질적으로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열회수도 가능하지 않다.
③ 따라서 그림과 같은 국소환기 시스템을 이용해서 공조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고 국소환기할 필요가 있다.
(4) 고열 공장
고열발생 공장 등에서는 작업장 전체를 공조하려면 대량의 에너지가 소비되므로 국소냉각(spot cooling) 방식이 적용된다.
'환기 및 닥트설비,창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폼슬리브와환기자재자료집 (0) | 2012.02.07 |
---|---|
실내공기 오염원인 및 제거방법 (0) | 2012.02.07 |
brainch_main_hole_현도및계산법 (0) | 2012.02.06 |
환기시스템의 점검과 성능 (0) | 2012.02.02 |
펌프,송풍기 (0) | 201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