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기량 계산식 (1) 실내에 발열이 있을 경우 실내에 H의 발열이 있을 때, 실온율 tR로 유지하기 위한 필요 환기량 Q는 Q =H /Cpγ(tR-tS) 여기서 Q : 필요 환기량(㎥/h) H : 실내의 발열량(㎉/h) Cp : 공기의 비열(㎉/㎏℃) γ : 공기의 비중량 TR : 실온(℃) ts : 급기 또는 침입 공기의 온도(℃) |
(2) 수중기의 발생이 있는 경우 실내에 L의 증기 발생이 있을 때 , 실내의 절대 습도를 XR로 유지하기 위한 필요 환기량은 Q는 Q = L /γ(XR-XS) 여기서 L : 실내의 수증기 발생량(㎏/h) XR : 실내의 절대 (㎏/㎏ dry air) XS : 급기 또는 침입 공기의 절대 습도(㎏/㎏ dry air) |
◈ 4.1.2 환기 방식 (1) 자연 환기 공기의 압력차 또는 온도차에 의한 자연력을 이용한 환기방식 (2) 기계환기 강제로 기계의 힘에 의하여 환기를 하는 방식 ① 제 1종 기계환기법 : 급기→송풍기, 배기→송풍기 ② 제 2종 기계환기법 : 급기→송풍기, 배기→자연 ③ 제 3종 기계환기법 : 급기→자연, 배기→송풍기
- ▣ 환기 설비 소요량
-
- ◈ 소요 환기량
표 4.2 필요 환기량
- 작 업 실
| - 무 창 공 장
| - 실 내
- 주 차 장
| - 주 차 장
| - 극장·영화관·연예장
- 관람장·공회당·집회장
| - 지 하 건 축 물
|
- 환 기 량
- 30㎥/h인
| - 35㎥/h인 또는 15㎥/㎡·h 바닥면적
| - 환기회수가 10회/h이상
| - 외기 25㎥/㎡·h 이상
| - 외기75㎥/㎡·h 객석면적공조할때는 전풍량 75㎥/㎡·h
- 외기량 25㎥/㎡·h
| - 30㎥/㎡·h 바닥면적을 공조할때는
- 외기량 10㎝/㎡·h
|
- 조건
| - 1인당의 기적이
- 바닥 위 4m이내, 10㎥ 또는 창면적이 바닥면적의 1/20이상일 것
|
| - 가창의
- 크기가 바닥면적의 1/10
| - 주차면적이 500㎡이상 창크기가
- 바닥면적의 1/10일때
| - 객석 바닥면적이 400㎡이상 또는 지하흥행장(제 1종 또는 제2종) 지상150㎡이하
- (제1, 제2, 제3종)
| - 바닥면적 100㎡이상의 층(제1종) 1000㎡이하의 층
- (제 1종, 제2종)
|
- ◈ 송풍기의 종류와 특징
- ⊙ 송풍기의 종류와 특징
-
- 송풍기의 종류
| -
- 적용과 특징
|
- 다익형 (시로코형)
| - 사용압력이 10∼125㎜Aq의 범위로서 풍량이 1000㎥/h에서 100000㎥/h 정도 까지
- 저속 덕트용에쓰이며 크기는 작다.
|
- 터보형 (사일런트형)
| - 압력이 125∼250㎜Aq, 풍량은 1대당 5000∼80000㎥/h, 고속 덕트용에 쓰이며 저소음
- 효율은타종에 비하여 매우 좋다. 크기는 크다.
|
- 리매어스형
(리밋트로우형)
| - 압력이 10∼150㎜Aq로서 보통 80∼150㎜Aq의 범위에 쓰이며 오우버로우트 되지 않는
- 것이 특징이다.
|
- 익형 (에어포일형)
| - 터보형과 같은 특징을 갖지만 크기는 터보형보다 작다.
|
- 디스크형
| - 가정용 환기팬은 압력 0∼1.0㎜Aq, 별도의 환풍기(0∼5A㎜q)도 있다.
|
- 프로펠러형
(가이드베인유)
| - 유압의 것으로서 0∼55㎜Aq의 압력 범위, 원통형으로서 적용성이 있지만 다익형에 비해
- 비싸다.
|
- 프로펠러형
- (가이드베드무)
| - 유압의 것으로서 0∼19㎜Aq의 압력범위, 효율이 떨어지므로 소음이 크다.
|
- ▣ 덕트설비
- ◈덕트의 배치계획
- (1) 덕트내에 흐르는 풍속에 따른 분류
- ① 저속덕트방식 : 덕트내 풍속이 10∼15m/sec이하
- ② 고속덕트방식 : 덕트내 풍속이 20∼25m/sec
- 풍속이 빠르면 덕트 저항이 커지고 압력이 높아지므로 고압 덕트방식이라고도 하며, 소음, 진동이 생겨나므로 이를
- 감소시키는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 (2) 수직 덕트 방식
- ① 각층의 층고를 낮게 할 수 있다.
- ② 수직 덕트 공간은 증대된다.
- ③ 개개의 수직덕트 공간을 제한받는 일이 많아 대규모건물에는 부적당하나 호텔의 객실이나 집합주택의 거실과 같이
- 개실 단위가 많은 건물에 주로 사용된다.
- ④ 고속 수직 덕트방식이 채용되는 일이 있다.
- (3) 수평 덕트 방식
- ① 수직덕트가 집중적으로 배치되므로 수직 덕트의 공간 면적이 개별수직 덕트 방식보다 적어도 된다.
- ② 기준층 바닥 면적이 넓은 건물에는 수평 덕트 방식이 일반적이다.
- ③ 충고가 낮은 건물에는 보를 관통시켜 덕트를 설비하여야 하므로 덕트의 지름을 작게 해야 하며, 따낸 보의 보강비,
- 동력비 등이 가산되어야 한다.
- (4) 덕트 배치방식에 따른 분류
- ① 간선덕트방식 : 가장 간단하고 설비비가 싸고 덕트 스페이스가 적어도 된다.
- ② 개별덕트 방식 : 공기 취출구마다 덕트를 단독으로 설치하는 방식, 풍량조절이 용이하고 멀티죤 방식에 주로 사용된다.
- ③ 환상덕트방식 : 덕트끝을 연결하여 환상으로 만드는 형식, 말단 공기 취출구의 압력조절이 용이하다.
- ◈ 덕트의 재료 및 시공
- (1) 덕트의 재료
- 아연 철판이 사용되지만 납, 도급판, 염화비닐판 지제원통, 콘크리트 글라스울 성형판 등이있다.
- (2) 덕트의 이음
- 그림 9.4 같은 접이음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seaming machine의 보급에 의해 피츠버그 사이밍, 조립이 더욱 용이한
- 버튼 펀치스냅 시이밍 등이 사용되고 있다.
- (3) 덕트의 접합부
- 보강을 겸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각선상의 주름을 잡는 다이아몬드 브렌스, 보강 앵글 또는 프레스홈 등으로 강성을 크게
- 하기도 한다.
- 표 5.1 덕트의 두께, 유속 15/ms이하, HASS 406
- 장방형
- 덕트방변
| - 두 께
| - 원형덕트
- 지 름
| - 두 께
| - 스파이럴
- 덕트지름
| - 두 께
|
- (㎜)
| - (㎜)
| - NO
| - (㎜)
| - (㎜)
| - NO
| - (㎜)
| - (㎜)
| - NO
|
- 150∼300
- 310∼750
- 760∼1500
- 1510∼2250
- 2260∼
| - 0.50
- 0.60
- 0.80
- 0.90
- 1.20
| - 26
- 24
- 22
- 20
- 18
| - 150∼500
- 510∼750
- 760∼1000
- 1010∼1250
- 1260∼
| - 0.50
- 0.60
- 0.80
- 0.90
- 1.20
| - 26
- 24
- 22
- 20
- 18
| - 200
- 210∼600
- 610∼800
- 810∼1000
- 1010∼
| - 0.50
- 0.60
- 0.80
- 0.90
- 1.20
| - 26
- 24
- 22
- 20
- 18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