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환경 | 오염물질 배출시설과 격리, 인접도로의 자동차 배기가스 및 먼지가 차단되는지 입지 선정 및 단지 계획 및 배치 | 시공단계에서도 목표로하는 공기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실내공기환경의 개념확립 | 개념 설정 |
건물 일반 | 연돌효과 및 일사등에 의해 오염가중을 즐일 수 있는 주동형태 및 구조결졍 | 시공 중 발생하는 건축부산물 등의 철저한 관리를 통해 현장공기환경 제어 | 현장 관리 |
건물 성능 | 환기설비의 운용 시 열손실 등에 대비한 기밀성, 단열성등의 확보 | 반입된 자재에 오염물이 부착되어 선정된 자재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필요 | 자재 보관 |
평면 계획 | 오염물질의 정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환기경로를 확보할수 있는 실 배치 | 선정된 자재의 정정한 시방법, 접착제의 사용량, 건조기간 등의 충분한 검토가 필요 | 시공 방법 |
자재 선정 | 설정한 목표에 적합한 성적서 및 인증을 받은 자재선정 및 적합성 검토 | 선정자재의 적정한 시공확인 및 환기설비를 가동하여 실내공기 환경 체크 | 성능 검사 |
환기 계획 | 실내공기의 예상농도를 기반으로 한 목표농도의 달성을 위한 환기구 및 환기설비 및 설치검토 | 완공 후 입주시까지 실내공기의 오염농도를 줄일 수 있는 BAKE-OUT 등의 실시 | 유지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