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클린룸(CLEANROOM)이란 오염제어(Contamination control)를 하고 있는 한정된 공간에서의 부유 미소입자, 부유 미생물이 한정된 청정도 레벨 이하로 관리되고, 또 그 공간에 공급되는 재료, 약품, 물 등에 대해서도 요구되 는 청정도가 유지되어 필요에 따라서 관리를 하고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 ||||||||||||||||||||||||||||||||||||||||||
![]() | ||||||||||||||||||||||||||||||||||||||||||
| ||||||||||||||||||||||||||||||||||||||||||
![]() | ||||||||||||||||||||||||||||||||||||||||||
바이오클린룸(BIOLOGICAL Clean Room)은 원래 미국의 아폴로 계획에 따라 개발된 기술이다. 지구상의 미생물을 우주에 확산시키는 것을 방지하던가, 우주의 미생물이 지구에 감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했으나, 점차 병원의 무균실, 고품질을 요하는 제조공정의 청정화에 대한 수요와 결부되면서 발전되어 왔다. 개념적으로 실내의 온,습도 및 압력제어를 유지함과 동시에 생물입자 및 미생물 입자를 제어하는 밀폐시스템이며, 종래의 공기조화설비에 미생물의 수를 제어하는 데 중점을 둔다. ICR과 달리 비교적 적은 공간 중심으로 구성되는 바이오 클린룸은 대량의 외기, 주 공조 설비와 별도 국소배기시설, 생산공간 내에서 환경적 차이로 인하여 많은 벽(Barrier) 이 설치되며, 요구되는 청정도의 범위가 ICR보다 넓다. BCR 적용 범위는 크게 확장 되고 있다. 근년 각광을 받고 있는 나노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바이오기술(의료분야, 실험동물 시설분야, 의약품 분야, 식품가공 분야, 생물위험방지 분야) 과 ICR간에 기술적 융합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이며, 그 융합을 위한 고리의 역할은 바로 나노기술이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
| ||||||||||||||||||||||||||||||||||||||||||
![]() | ||||||||||||||||||||||||||||||||||||||||||
| ||||||||||||||||||||||||||||||||||||||||||
![]() | ||||||||||||||||||||||||||||||||||||||||||
|
'공조,냉방,냉동,냉장 '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w & ch/w system (0) | 2010.03.18 |
---|---|
공기조화란? (1) | 2010.03.17 |
열량별 단가비교 (0) | 2010.03.16 |
LPG와 액체연료 일반비교 (0) | 2010.03.16 |
공조장비(응축기) (0) | 201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