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후드 형식 선정,
공정에 적합한 후드를 선택 또는 설계한다
2단계: 제어풍속 결정
발생원에서의 오염물질 발생방향, 거리 및 후드형식을 고려하여 적정한제어풍속을 결정한다
3단계: 설계 환기량 계산
제어풍속(m/sec)와 후드의 개구면적(㎡)으로 설계환기량(Design flowrate : Q)을 계산한다.
4단계: 이송속도 결정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덕트내 분진 등이 퇴적되지 않도록 덕트내이송속도(최소 덕트속도)를 구한다.
5단계:덕트 직경 산출
설계환기량을 이송속도로 나누어 덕트 직경의 이론치를 산출한다.
최종 덕트속도가 최소 덕트속도보다 크도록 하기 위해 덕트직경은 이론치보다 작은 것을 선택한다.
6단계: 덕트의 배치와 설치장소 선정
덕트의 직경이 너무 커서 배치가 어려울 경우에는 후드의 설치장소와 후드의 형식을 재검토하여 송풍량을 적게 한다.
7단계: 공기정화장치 선정
유해물질 제거효율이 양호한 유해가스 처리장치 또는 제진장치 등의 공기 정화장치를 선정한 후
압력손실을 계산 또는 가정하여야 한다.
8단계: 총압력손실 계산
후드 정압(SPh)과 덕트 및 공기정화장치 등의 총압력손실의 합계를 산출한다.
9단계: 송풍기 선정
총압력손실(mmH2O)과 총배기량(㎥/min)으로 송풍기 풍량(㎥/min)과 풍정압(mmH2O),
그리고 소요동력(Hp)을 결정하고 적절한 송풍기를 선정한다.
공정에 적합한 후드를 선택 또는 설계한다
2단계: 제어풍속 결정
발생원에서의 오염물질 발생방향, 거리 및 후드형식을 고려하여 적정한제어풍속을 결정한다
3단계: 설계 환기량 계산
제어풍속(m/sec)와 후드의 개구면적(㎡)으로 설계환기량(Design flowrate : Q)을 계산한다.
4단계: 이송속도 결정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덕트내 분진 등이 퇴적되지 않도록 덕트내이송속도(최소 덕트속도)를 구한다.
5단계:덕트 직경 산출
설계환기량을 이송속도로 나누어 덕트 직경의 이론치를 산출한다.
최종 덕트속도가 최소 덕트속도보다 크도록 하기 위해 덕트직경은 이론치보다 작은 것을 선택한다.
6단계: 덕트의 배치와 설치장소 선정
덕트의 직경이 너무 커서 배치가 어려울 경우에는 후드의 설치장소와 후드의 형식을 재검토하여 송풍량을 적게 한다.
7단계: 공기정화장치 선정
유해물질 제거효율이 양호한 유해가스 처리장치 또는 제진장치 등의 공기 정화장치를 선정한 후
압력손실을 계산 또는 가정하여야 한다.
8단계: 총압력손실 계산
후드 정압(SPh)과 덕트 및 공기정화장치 등의 총압력손실의 합계를 산출한다.
9단계: 송풍기 선정
총압력손실(mmH2O)과 총배기량(㎥/min)으로 송풍기 풍량(㎥/min)과 풍정압(mmH2O),
그리고 소요동력(Hp)을 결정하고 적절한 송풍기를 선정한다.
'환기 및 닥트설비,창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기에 대한 기본적인 용어 (0) | 2011.12.01 |
---|---|
환기의 기초지식 (0) | 2011.12.01 |
송풍기의 종류 적용과 특징 (0) | 2011.11.30 |
닥트의 단면 형태별 크기(CM) 및 닥트 판 두께 (mm) (0) | 2011.11.29 |
정압,동압,전압 (0) | 201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