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최근 사무실에서 일하는 직장인들 가운데 각종 건강장해와 관련된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두통, 집중력 저하, 알레르기성 질환, 후두염, 어지러움, 안질 등의 현상 외에도 뒷목이 뻐근해 지는 등 사람의 근로의욕을 저하하거나 무기력하게 만드는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 근무자로 하여금 업무의 비능률, 장기병가, 시간낭비, 창의성 저하 등을 초래하여 장기적으로는 회사의 경영에 지장을 주고 있습니다.
각종 증세는 실내공기 오염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일명 빌딩 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이라 합니다. 이 같은 현상은 에너지 문제와 관련하여 선진각국에서는 새로운 사회적 공해문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선진국 각계의 보고에 의하면 모든 질병의 상당수가 오염된 실내공기에 의해 발명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1970년대 말부터 불어닥친 OIL쇼크로 인해 모든 중대형 건물들은 에너지 절약형을 추구하느라 창문이 밀폐되어 실내환경을 강제급.배식에 의존하게 하여 인위적 환기로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인력의 힘으로 닥트내부를 청소하기 힘들었으며, 그로인해 두통, 안질환, 알레르기성질환, 기관지염 등 빌딩증후군에 시달리게 되었습니다. |
|
발 생 원 | 오염체 | 건축 자재 | 라돈, 석탄, 포름, 알데히드 | 연소 가스 |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 | 일 용 품 | 미생성물질,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 인간 활동 | 담배연기, 미생물전염 등 | 기 타 | 악취, 소음, 전자파, 방사선 등 |
|  |
|
|
부 위 | 증후군 | 눈, 코, 입 | 자극, 건조, 변성, 통증 등 | 피 부 | 건조, 통증, 변색 등 | 후각, 미각 | 맛과 냄새 등의 불쾌감 | 신경중독성 | 과로, 무기력, 집중력 감퇴, 두통, 어지럼, 구토 등 | 기 타 | 눈물, 콧물의 발생, 잦은 감기몸살 등 |
|  |
|
|
석면 | 오염현황 | 일 반 대 중 : 0.01개/cc | 산업 근로자 : 백석면 2.0개/cc | 기 타 : 2.0개/cc | 질 환 | 석면폐증, 폐암, 증피종(1993년 발견) | 흡연자는 50-100배 폐암 확률 | 대 책 | 습식법, 고성능 여과재 사용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