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언어치료 키드카언어발달연구소 학부모 지침]
☞ 취학전 말더듬 유아․아동의 가정지도 ☜
1. 아동을 수용하고 허용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아동이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말 할 수 있게 기회를 준다.
2. 아동 자신의 고유한 행동과 대화법을 존중한다.
3. 신체적인 건강을 유지시킨다.
4. 아동에게 유용한 것은 증가시키고 부담이 되는 것은 감소시킨다.
5. 아동에게 가해지는 압력이 무엇인지 분석해 본다.
6. 말막힘이 발생하는 낱말의 리스트를 작성해 본다.
7. 말더듬은 아동이 누군가와 경쟁적인 입장에서 말을 할 때 나타난다. 즉 서로 상대방을 간섭하려고 할 때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없애려면 아동이 자신의 욕구를 충분히 말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상대방의 이야기가 끝나면 이야기하도록 가르친다.
8. 말더듬은 표현하려고 하는 적절한 낱말을 찾지 못할 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아동에게 서두르지 말도록 주지시키고 아동이 적절한 낱말을 찾을 때까지 기다리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낱말을 가르쳐 주기도 한다.
아동이 자신의 사고를 완벽하게 표현하지 못하더라도 끝까지 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동은 경험이 증가함에 따라 표현하고 싶은 말이 많아진다.
낱말 수가 부족할 때 아동이 욕구불만이 쌓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9. 아동이 실현할 수 있는 활동을 선정하기 위해서 아동의 능력과 한계를 알아야 한다.
10. 말더듬은 상대방이 아동의 이야기를 듣지 않을 때 발생하기도 한다.
예컨데 아버지가 신문을 보면서 이야기하거나, 어머니가 부엌에서 일하면서 이야기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아동과 이야기할 때는 눈을 응시하고 고개를 끄덕이며 진심으로 듣고 있는 얼굴을 보여야 한다.
11. 아동들은 말을 더듬기 전에 공포를 경험하게 된다. 공포의 경험이 어른에게는 하찮은 것이 될 수도 있지만,
아동에게는 현실적인 문제로서 2세 6개월에서 4세 아동의 경우 특히 심하다.
그러므로 공포를 가볍게 생각하지 말고 설명을 해준다. 이때 이해, 관심, 사랑을 보여주며 신체적인 접촉을 해주는 것도 좋다.
12. 말더듬의 시작은 아동 자신의 물리적 환경의 변화와 연관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환경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 쉽게 조절이 가능하다. 환경의 변화는 아동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여 말을 더듬게 한다.
한편, 환경의 변화가 불가피할 경우에는 아동의 새로운 요구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새로운 환경에 대해 점진적으로 설명해준다.
13. 아동들은 특별한 요구를 받게 되면 말이 유창하지 않게 되는 수가 있다.
예컨데 아동이 먹고 싶어하는 접시의 사탕을 먹지 못하게 하면 아동은 더욱 집착하게 되지만,
아동을 신뢰하여 맡기면 아동은 사탕에 대하여 그다지 집착하지 않는다.
14. 말더듬은 활기찬 놀이나 여행 등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하는 상황에서 눈에 띄게 나타난다.
지나치게 아동의 능력을 넘는 활동은 아동의 말더듬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아동에게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을 이야기하게 하면 안된다.
15. 말더듬은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데 실패할 때 나타난다.
이때 아동들은 정확한 조음을 발달시키지 못하며, 결함이 있는 말을 하게 된다.
아동에게 계속적인 반복을 요구하기보다는 아동이 말하는 의미를 아는대로 대답해 주는 것이 좋다.
16. 말더듬은 너무 성급하게 이야기할 때 나타난다.
따라서 너무 성급하게 이야기하지 않게하며 필요시 속도를 늦추어주거나 중단시켜야 한다.
듣는 사람이 충분히 기다릴 수 있음을 보여야 한다.
17. 아동에게 '다시 말해라, 천천히 말해라, 말하기 전에 깊은 호흡을 해라, 생각해서 말해라' 등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18. 유창하지 않은 말에 대해 벌을 주거나, 유창한 말에 대해 지나친 보상을 하지 않는다.
19. 아동이 말할 때 방해하지 않는다.
20. 아동이 말을 더듬을 때 아동이 말할 수 있는 시간을 더 주고 말더듬이 계속될 때에는 조용히 기다린다.
21. 말막힘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다.
22. 아동은 말더듬을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음을 기억하고, 아동이 말하는 방식보다 말의 내용에 흥미를 보여준다.
23. 다른 사람도 말의 흐름이 깨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아동이 그렇게 말하는 것이 별난일이 아님을 깨닫게 한다.
24. 긴장이 없는 분위기에서 말할 수 있도록 한다.
25. 말막힘이 있더라도 가능한 한 계속해서 말하도록 자극한다.
26. 아동이 자신의 말문제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면 아동이 그것에 주의를 돌리지 않도록 한다.
27. 아동이 자신의 말더듬에 대해 객관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말하기의 행복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더듬 교정 말더듬 이론과 치료 (0) | 2011.06.26 |
---|---|
말더듬 치료 [말더듬/말더듬치료]서동일 음성클리닉에서 말끔히 (0) | 2011.06.26 |
말더듬 원인 말더듬 원인은 뇌 구조 결함 (0) | 2011.06.26 |
스피치 [영어스피치 리딩훈련] 배경지식과 함께 학습하는 스피치리딩훈련 (0) | 2011.06.26 |
유창성장애 [유창성장애] 말을 더듬어요! (0) | 2011.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