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하기의 행복

유창성장애 [유창성장애] 말을 더듬어요!

말을 더듬어요!

유창성 장애란 무엇인가요?

1. 유창성 장애

1) 유창성(fluency)

- 말의 흐름이나 비율에 대한 일반적인 현상으로 머뭇거림 없이 쉽게 말하는 것

- 어떤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말하는 것

2) 유창성 장애(fluency disorder)

- 구어의 정상적인 흐림이 방해를 입어 거의 시간 맞추기(timing)와 리듬이 부적당한 패턴으로 되는 현상

- 말더듬(stuttering) & 속화(cluttering)

3) 유창성 장애의 판별 기준

① 계속성

- 말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가?

② 비율

- 말의 속도, 말의 비율에 대한 규칙성

③ 노력

- 말을 할 때 근육이나 정신적인 노력의 유무

2. 말더듬(stuttering)

1) 정의

- 음이나 음절 또는 조음 포즈(pause) 등의 반복, 연장, 투쟁 등에 의해 구어의 흐름이 비정상적으로 방해를 받아 유창성이 깨어지는 것

- 말더듬 공식(Van Riper(1972))

S =

PFAGH + Cs(Wf+Sf)

M + Fl

S = 말더듬(Stuttering)

P = 벌(Penealty)

F = 좌절(Frustration)

A = 불안(Anxiety)

G = 죄의식(Guilt)

H = 적의(Hostility)

Wf = 단어 공포(Word fear)

Sf = 상황 공포(Situation fear)

M = 자신감(Morale)

Fl = 유창성 경험(Fluency experience)

Cs = 의사소통 스트레스(Communication stress)

2) 정상적인 비유창성 및 병리적인 비유창성

① 정상적인 비유창성(nonfluency)의 형태별 특성

⒜ 삽입

- 말을 시작할 때나 발화 도중에 “어” ,“음”, “있지”, “있잖아요”와 같은 음절이나 단어를 말의 내용과 관계없이 발성하는 것

- 예) 나는 어 학교에 갔다.

⒝ 수정

- 발화를 하면서 발음이 명확하지 않았거나 내용상 적합한 단어가 아니었거나, 더 적절한 표형이 생각났을 때 다시 말하는 것

- 예) 나는 학원 아니 학교에 갔다.

⒞ 쉼

- 청자에게 어떤 생각의 끝이라는 신호로써 구 혹은 문장의 끝에서 쉬는 것, 말하려고 하는 중요한 단어를 강조하기 위하여 쉬는 것, 방금 말한 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쉬는 것, 말의 내용에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기 위하여 쉬는 것

- 예) 나는 (쉼) 학교에 갔다.

⒟ 미완성구

- 발화를 하면서 앞에 말한 내용과 중복될 때나 말하는 장면이 불편할 경우나 아동이 문장을 완성할 문법적인 구조가 획립 되지 않았을 때 앞에 말을 시작하고 나서 끝을 맺지 못하는 것

- 나는 집에 있고, 누나는 .

⒠ 구의 반복

- 두 개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구를 반복하는 것

- 예) 나는 학교에 나는 학교에 갔다.

① 병리적인 비유창성(dysfluency)의 형태별 특성

⒜ 단어 전체 반복

- 나는 나는 학교에 갔다.

⒝ 단어 부분 반복

- 나나나나나는 학교에 갔다.

⒞ 연장

- 나~~~는 학교에 갔다.

⒟ 투쟁

- 얼굴을 찡그리거나 몸을 비트는 등의 쥐어짜는 듯한 행동을 수반하는 것

3) 말더듬의 출현율

① 전체 인구의 약 1%

② 남자 : 여자 = 4 : 1

- 환경적 해석: 사회적 기대 수준(남자 <; 여자)

- 생리적 해석: 언어적 능력(여자 <; 남자)

- 유전적 해석: 반성유전(X 염색체)

4) 말더듬의 발달

① 발생시기

- 아동이 말을 배우는 시기인 3-5세 경에 많이 발생

- 언어발달이 가장 활발한 시기

- 여러 개의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만드는 가장 힘겨운 시기

- 이 시기에 외부적 충격(환경 불안, 언어발달 강요, 이중언어의 강요, 정서적 갈등 등)은 아동이 말을 배우는 데에 자신감을 잃게 하거나 불안을 유발할 수 있음

② 초기 말더듬: 1차성 말더듬(아동)

- 자신의 말더듬에 대해 지각을 하지 않음

- 긴장과 불안이 없음

- 주로 말더듬의 1차적 특징인 반복과 연장을 나타냄

③ 굳어진 말더듬: 2차성 말더듬

- 자신의 말더듬에 대해서 지각

- 말하는 것에 대한 긴장과 불안

- 말더듬의 2차적 특징인 수반행동(투쟁, 시작 계교, 회피 행동 등)이 나타남

* 투쟁(struggle)

- 말더듬이들이 구어에 폐쇄가 일어나는 경우, 말이 잘나오도록 하기 위해서 팔을 휘 젖거나, 얼굴을 경련적으로 움직이거나, 몸을 비트는 등의 행동

* 회피(avoidance)

- 말더듬이들이 말더듬이 예기되는 단어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동의어를 말하기, 둘러 말하기(circumlocutions), 도피하기 등을 사용하는 방책

* 시작 계교(starter)

- 말더듬이가 말을 시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거에 말을 쉽게 할 수 있었던 경험적 행동이 조작적 조건화된 상태로서, 공포를 가지고 있는 단어 앞에서 공포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음이나 단어를 습관적으로 말하는 것

5) 말더듬의 자연회복

- 말을 더듬은 아동의 80% 정도는 자연회복

6) 말더듬 발생 원인에 대한 이론

① 심리사회적 요인

⒜ 심리역학적 이론

- 말더듬이들의 성격이나 심리구조가 정상인들과 다르다는 관점

- 말더듬은 구강기 고착의 결과

- 말더듬은 상반감정 병존의 결과

- 치료: 정신분석이나 심리치료 등

⒝ 진단기인론

- Wendel Johnson(1955)에 의한 이론

- “말더듬은 부모의 귀에서 시작된다.”

- 아동의 정상적인 비유창성을 아동과 가까운 사람들(부모, 형제, 친구)에 의해 말더듬이라고 진단된 후에 말더듬이 된다고 주장

- 말더듬이라고 진단된 아동들은 진단 받기 전에 초기 아동들이 경험하는 정상적인 비유창성을 나타내지만 아동 구어에 민감한 부모가 아동의 구어를 변화시키려고 관심을 가지거나 반응을 할수록 말더듬은 더욱 심해짐

⒞ 학습이론

- 말더듬이 학습에 의해 조건형성 된다는 이론

- 이원이론과 일원이론으로 분류

- 이원이론: 말더듬이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모두에 의해 학습된다는 입장

- 일원이론: 조작적 조건화만으로 말더듬의 원인을 설명

- 고전적 조건화: 자극과 반응 사이의 “자연스런 생리적 관계”를 이용하여 상이한 자극에 대항 동일한 반응을 학습시킨 실험을 근거로 하며, 이미 형성된 자극-반응 사이의 연관을 근거로 함

- 조작적 조건화: 어떤 자극에 대하여 학습자가 특정한 반응을 보일 경우에만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그러한 반응의 빈도와 확률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사전에 어떠한 자극-반응 사이의 연관도 존재하지 않으며 학습자로 하여금 시행착오를 통하여 보상받을 수 있는 반응을 스스로 발견하도록 요구하는 것

❶ 이원이론

- 말더듬의 핵심행동인 구어 & 부정적 정서(불안, 공포, 좌절): 고전적 조전화의 결과

- 수반행동의 발달: 조작적 조건화의 결과

- 치료: 체계적 둔감법 및 행동수정

󰊧 고전적 조건화의 과정

ㄱ. 1차 조건형성(부정적 정서)

a. 체벌상황(US) → 불안(UR)

b. 체벌상황(US) + 엄마한테 말하기(NS) → 불안(UR)

c. 엄마한테 말하기(CS) → 불안(CR)

ㄴ. 2차 조건형성(구어)

a. 엄마한테 말하기(US)=불안 → 긴장된 구어(UR)

b. 엄마한테 말하기(US) + 단어, 상황, 사람(NS) → 긴장된 구어(UR)

c. 단어, 상황, 사람(CS) → 긴장된 구어(CR)

󰊨 조작적 조건화 과정

ㄱ. 경로 1

a. 자극: 말을 더듬을 상황

b. 반응 선택: 말하는 것의 회피

c. 후속자극(강화): 위기 모면(반응을 증가시키는 역할)

ㄴ. 경로 2

a. 자극: 말을 더듬을 상황

b. 투쟁 행동

c. 후속자극(강화): 일시적으로 말이 잘 나옴(반응을 증가시키는 역할)

❷ 일원이론

- 조작적 조건화만에 의해 말더듬의 발달을 설명한 이론

- 치료: 정적 강화제의 소거

a. 자극: 부모의 무관심

b. 반응 선택: 말을 더듬음

c. 후속 자극: 부모의 관심(반응을 증가시키는 역할)

❸ 예기투쟁가설

- 말이 어려울 것이라는 믿음이 학습되었기 때문에 구어산출이 방해되고, 폐쇄가 발생한다는 가설

- 말이 어렵다고 믿는 이유가 무엇이든지 간에 말을 회피하려는 노력이 말더듬 증후를 이루고 있음

- 치료: 환자의 구어 및 화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어야 하는데, 말을 잘 할 때를 강화시켜 성취감을 주는 등의 방법을 필요로 하고, 고쳐 배우기 과정을 통해서 환자의 잘못된 지식이나 믿음을 언어학적 지식에 맞춰 새롭게 인식시켜 주어야 함

❹ 접근-회피 갈등 이론

- 말을 하려는 동기와 말을 하지 않으려는 동기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발성의 시간을 놓치고 말을 더듬게 된다는 가설

- 치료: 접근 동기를 강화, 회피 동기를 감소

② 생리학적 요인

⒜ 중추신경계의 기능 문제

❶ 뇌반구 지배이론

- 정상화자들은 구어 산출이 좌측 뇌의 지배를 받지만 말더듬이들은 양측 뇌의 지배를 받음

- 경쟁을 하고 있는 반구체들이 신경 충격을 주어 산출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유연하게 전달하는 것을 방해하여 구어를 깨뜨리는 원인이 됨

❷ 피드백 메카니즘의 작용

- 언어습득 시기에는 자신의 구어를 모니터하여 자신의 오류를 지각하고 교정하는 폐쇄 회송 체계가 중요한 역할

- 언어의 숙달은 무의식적, 자동적으로 산출되어야 하는 개방 회송 체계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함

- 자기 말에 너무 주의를 기울이면 자동적으로 산출되어야 할 구어가 의식적이 되어 구어의 문제가 발생

⒝ 말초 신경계의 기능 문제

❶ 호흡 단계에서의 문제

- 얕은 호흡, 역호흡, 불규칙 호흡 등이 문제를 발생

❷ 발성 단계에서의 문제(공기 역학에 대한 연구)

- 성대를 무의식적으로 긴장시키면, 발성을 일으키는 기류를 차단시키고, 기류가 없는 상태에서 말을 하게 되면 유성음 산출이 방해를 받아 지연됨으로써 말더듬이 발생

❸ 조음 및 동시조음의 문제

- 말을 할 때 하악근들을 긴장시킴으로써 하악근에 붙어 있는 혀에 경직을 초래하게 됨

⒞ 유전학

- 반성유전: 남 <; 여

- 쌍생아의 일치성 연구: 쌍생아 가운데 한 명이 말더듬이면 다른 한 명도 말더듬이일 확률이 정상 형제 자매들보다 높다는 통계 결과

③ 심리-언어학적 요인

❶ Brown의 연구

- 단어를 중심으로 한 요인

: 내용어 <; 기능어

: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 발화를 처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 단어의 어두음

: 간단어

- 어떤 특정한 음소나 발화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게 될 때

- 단어의 목적성이나 정보하중이 큰 단어

- 강세가 있는 음절

❷ 말더듬과 음운론

-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 단어의 어두음에서 많이 더듬음

❸ 말더듬과 구문론

- 발화를 처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 긴 단어

- 발화의 길이와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많이 더듬음

❹ 말더듬과 의미론

- 내용어 <; 기능어

- 정보가치가 많은 단어

- 어의의 화용론적 관점(목적성)이 많을수록 많이 나타남

- 부족한 어휘통제에 기인

❺ 말더듬과 화용론

- 대화의 내용이 달라지고 스트레스를 주는 요소가 많을 때 더듬음

- 구조화된 인터뷰

- 자기 중심적 구어보다는 사회화된 구어에서 많이 발생

7) 말더듬의 평가 및 진단

- 말더듬을 가장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관찰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행동만을 대상으로 하는 행동주의적 측면에서의 평가

① 진단 시 고려해야 할 매개변수

⒜ 빈도 수의 측정

- 어떤 단어가 말하기 전에 여러 가지 말더듬 행동이 일어날 수도 있지만 말을 더듬은 단어는 한 단어로 계산

- 이원적 판단: 말을 더듬었느냐, 안 더듬었느냐에 의해서만 평가

- 말더듬 비율(SW/M: Stuttered Word(더듬은 단어)/Minute)

: 환자가 전체 말한 시간 가운데 몇 번을 더듬었는지를 분석하여 분당 말을 더듬 은 수로 계산

- 이원적인 판단은 측정이 용이하고,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충적인 계수이기 때문에 환자의 말더듬 현상을 정확히 기술하기 어려움

- 말더듬의 형태 분석을 통해서 이를 보완

⒝ 형태 분석

- 상이한 형태의 말더듬을 분류하고 나타난 가장 심한 형태로 체크

- 심한 정도 결정, 예후적인 가치

- 동일한 수준의 말더듬 빈도 수를 나타내는 환자라 하더라도, 형태 분석을 통해서 반복보다는 연장, 연장보다는 투쟁을 나타내는 환자가 더욱 심한 것으로 평가

- 단어 전체 반복 <; 단어 부분 반복 <; 연장 <; 폐쇄 <; 투쟁

⒞ 말더듬의 평균 지속 시간 측정

- 환자가 가장 긴 폐쇄를 보인 3개의 시간을 평균

- 지속 시간이 길수록 심한 경우

- 빈도는 같더라도 지속시간이 단축되었다면 진전을 시사하는 것

⒟ 구어 비율 측정

- 환자의 분 당 말한 단어 수(WS/M: Word of Saying(말한 단어)/Minute)

- 환자의 분 단 읽은 단어 수(WR/M: Word of Reading(말한 단어)/Minute)

⒠ 수반행동

- 겉으로 드러난 수반행동: 눈 깜박거림, 머리 움직임, 발을 구르거나 손을 치는 행동 등

- 생리적인 수반행동: 심장맥박변화, EGG 변화, 동공팽창 등

- 내면적인 수반행동: 좌절감, 근육이 당겨지는 느낌, 폐쇄 전후의 정서적 공포/불안 등

⒡ 숨겨진 말더듬: 회피행동

- 단어공포: 특정 음소/단어 → 조음 위치/방법

- 상황공포: 특정 사람, 의사소통 상황(전화, 읽기 등)

- 회피행동: 동의어로 바꾸어 말하기, 돌려 말하기, 시작계교, 순서 바꾸기, 함묵증 등

② 말더듬의 평가 도구

⒜ 말더듬 심한 정도 측정 검사(SSI: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 매개변수: 말더듬 행동의 빈도, 머무르는 시간, 신체적 수반행동

- 성인용(job 과업과 읽기 과업 실시)과 글을 읽지 못하는 아동용(그림 과업 실시)으로 구성

- 심한 정도 환산표: 5단계(매우 경미함, 경미함, 중경도, 심함, 매우 심함)

ㄱ. 말더듬 빈도

- 음 또는 음절의 반복 혹은 연장(아무 소리를 내지 않는 연장도 포함)으로 정의

- 바꾸어 말하는 것, 폐쇄 없이 쉬는 것, 한 음절 이상 단어 전체를 반복하는 것 등은 말더듬으로 간주하지 않음

ㄴ. 머무르는 시간

- 말더듬의 범주에 속하는 가장 긴 폐쇄를 3개 선택하여 평균 시간을 계산

ㄷ. 신체적 수반행동

- 말을 더듬은 구에 수반되는 행동을 신체적인 특징(얼굴, 머리, 수족)과 주의를 끄는 소리에 입각한 4가지 범주를 각각 0-5 사이의 척도로 평가

⒝ 말더듬 인터뷰(SI: Stuttering Interview) 양식

- 매개변수: 빈도. 말한(읽은) 단어 수, 형태

- 양식 A(취학 전, 초등학생용), 양식 B(초등 상급학생 이상 및 성인용)

- 심한 정도 환산표: 4단계(정상, 경도, 중도, 고도)

ㄱ. 빈도

- 말더듬 비율(SW/M)

- 전체 인터뷰 시간 중 말을 더듬은 단어를 체크하여 신뢰도 측정

- 어떤 특정한 단어의 발화 바로 앞에 혹은 동시에 한 개 이상의 말더듬 행동이 일어난 것으로 정의

ㄴ. 말한 단어(WS/M) 혹은 읽은(WR/M) 수

- 읽기, 독백, 대화 시 말한 매 단어를 헤아려서 단어 전체 반복, 구 반복, 바꾸어 말하기를 헤아림

- 삽입은 헤아리지 않음

ㄷ. 형태

- 단어 전체 반복, 단어부분반복, 연장 투쟁으로 체크하여 가장 많은 횟수로 나타난 말더듬 형태로 결정

8) 말더듬의 치료

① 전통적인 말더듬 치료 프로그램

⒜ 반응 평가 단계

- 말을 더듬은 단어와 유창한 단어를 판별하고, 그 수를 헤아리는 임상가의 기술

⒝ 반응 유도 단계

- 환자가 첫 단계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간단한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단계

⒞ 확립 단계

- 환자가 새로운 반응을 습득하는 단계

- 목표: 환자가 치료사와 치료실 상황에서 구어를 유창하게 하는 것

* 확립 프로그램

❶ 전통적인 프로그램

- 단계: 읽기 → 독백 → 대화

- 각 단계별 기준/스케줄에 따라 강화

- 판별

- 취소(cancellation): 더듬은 단어를 쉬었다가 다시 그 단어를 말하는 것

- 말소(pull-out): 더듬은 단어를 연장하며 중단하는 것

- 연장: 병리적인 비유창성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 혹은 노력으로서의 연장

- BL(브렌치 단계): 각 단계의 기준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행해지는 보조 훈련 프로그램

- 정치(placement): 치료 효과가 빠른 경우 치료 계획을 앞당겨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

❷ DAF(지연 청각 피드백) 프로그램

- DAF 기기를 이용하여 임상가가 제시하는 각 단어를 연장시켜 느린 비율로 천천히 읽고 말하는 것을 훈련

- 속도: 250/200/150/100/50msec로 구분하여 조정하고, 마지막 단계서는 0msec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발화

- 속도 변화에 맞추어 발화의 길이 연장 정도를 처음에는 길게, 그리고 점차 짧게 조절하여 자연스러운 발화를 형성하도록 훈련

- 주로 심한 말더듬 증상을 보이는 학령기 아동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

❸ 발화의 길이와 복잡성의 점진적인 증가

- 발화의 길이와 복잡성 등 난이도를 증가시켜 조금씩 유창하게 읽는 단어의 범위를 확대시켜 나아가는 프로그램

- 읽기 수준에서 단단어를 읽는 것에서 시작하여 대화 수준에 이르기까지 유창하게 읽는 단어의 수를 증가시켜 나감

- 독백과 대화 수준에서도 반복적으로 실시

- 임상가가 구어 모델을 제시하고 환자가 모델링 없이 조작할 수 있을 때까지 여러 가지 브렌치 단계를 통해 모델링을 점자 감소시킴

- 취학 전 아동에게 실시할 것을 권고

- 말수가 적은 아동들에게 말을 많이 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됨

❹ 벌 프로그램

- 더듬은 각 단어에 벌을 제시(타임아웃 등)

⒟ 전이 단계

- 다양한 사람/환경에서 구어를 유창하게 하는 것

⒠ 유지 단계

- 영원히 모든 사람/장면에서 유창하게 말하는 것

② 말더듬 수정 접근법(Stuttering Modification Therapy): MIDVAS

- 말더듬는 순간을 수정하여 말을 덜 심하게 더듬는 것과 말더듬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켜 회피행동을 제거하고 접근하게 하는 것

- 보다 유창한 말더듬 형태로 수정

⒜ 동기(Motivation) 단계

- 치료사는 동료/안내자

- 말더듬은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으며, 더 좋아질 수 있는 것이고, 치료사가 그렇게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임을 인식시키는 것

⒝ 확인(Identification) 단계

- 자신의 말더듬 분석(자신의 문제 인식)

- 환자가 자신의 말더듬 빈도/형태/수반행동을 찾게 하는 것

⒞ 둔감(Desensitization) 단계

- 말더듬 요인에 대한 둔감화

- 환자의 말더듬을 그대로 나타내게 하는 것

⒟ 수정 단계

- 보다 쉬운 말더듬 형태로 바꾸는 것

- 변화(Variation): 유창성을 촉진시킬 새로운 반응을 배우는 것

+ 접근(Approximation): 새로운 반응을 점진적으로 수정에 의해 습득

⒠ 안정(Stabilization) 단계

- 치료 시간의 유창함을 실생활에서 유지/안정시키는 것

9) 아동기 말더듬

① 특징

- 2-6세 아동에게서 말을 더듬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음

- 이 시기에 시작된 말더듬은 몇 주일 혹은 몇 달 동안 나타나다가 대부분 자연회복을 보임

- 이 시기에 아동이 자신의 말더듬을 인식하면 그의 말더듬은 보다 복잡해지고 만성적인 것으로 변할 가능성이 높음

② 예방 및 지도

-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기

- 유창성의 기준을 낮추기

- 의사소통 요구를 감소시키기

- 스스로 생각하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충분히 주기

- 형제들이나 친구들이 아동의 말더듬을 놀리지 않도록 하기

- 아동이 말이 막혀서 이어가지 못할 때 도와주는 목적으로 하지 못한 말을 대신 해주지 않기

- 아동에게 다른 사람들도 말을 할 때 어느 정도는 더듬는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기

3. 속화

1) 정의

- 구어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고 구어의 흐름이 비조직적이고 불규칙적인 시간장애

- 자신의 언어가 이상함을 지각하지 못하고 부정확한 조음과 비문법적인 체계로 지나치게 빠른 구어를 산출하는 것

2) 진단

- 구어속도가 지나치게 빠른가?

- 문장구조 및 문장배열이 비조직적인가?

- 조음에서 음, 음절, 단어가 부정확한가?

- 자신의 구어를 지각하고 있는가?

3) 특징

① 자신의 지나친 구어 속도나 왜곡된 발화를 깨닫지 못하므로 불안, 회피, 공포가 없음

② 다양한 구어특징을 나타냄

- 빠르고 불규칙적인 속도

- 비조직적인 문장 구조

- 단어 전체와 구 반복

- 조음 생략, 대치, 왜곡

- 스코핑(scoping): 두 개 이상의 단어를 압축해서 발화

- 스픈너리즘(spoonerisms): en 개 이상의 단어에서 어두에 있는 음소를 무의식적으로 바꾸어서 발음

- 말라프로피즘(malapropisms): 문장에서 단어를 우스꽝스럽게 잘못 사용하거나 부정확하게 사용

- 제한된 어휘, 장황한 발화, 상투적인 어구 사용

- 제한된 억양, 때때로 단음도의 음성

③ 읽기 문제

- 문자를 앞, 뒤로 바꾸어서 읽거나 음절 및 단어를 생략해서 읽기

④ 쓰기 및 철자 문제

- 읽고 이해하지만 받아쓰기에 오류

⑤ 지속적인 주의집중곤란

⑥ 간단한 음정이나 멜로디를 모방하는데 곤란

⑦ 개인적인 성격

- 충동적, 부주의함, 꼼꼼하지 못함, 지적 받기 쉬움

⑧ 좋지 못한 협응력

⑨ 언어발달지체(지능은 유사하나 언어발달지체를 나타낼 수 있음)

4) 치료

① 1단계

- 청능훈련을 통하여 자신의 구어 속도 및 불규칙적인 속도에 대한 지각 증가시키기

② 2단계

- 조음의 정확성을 증가시키기

③ 3단계

- 스스로 자신의 구어 속도를 조정하기






www.shop-dwg.co.kr 구인, 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