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락전류와 지락전류 차이 -
단락 = SHORT 이구요
연결되지 않아야 하는 선이연결된 것을 SHORT 라고 하고 이론적으로는 무한대의 전류가 흐르죠.
지락전류는 대지에 흐르는 전류입니다
선로가 대지에 닿았을 경우 대지는 0전위점이기 때문에 대지로 전류가 흐르는데요 그것이 지락전류입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면님이 송전선 두가닥을 각각 한 팔로 잡으면 님 몸에 흐르는 전류는 단락전류이구요(엄밀히 님 몸에 임피던스가 존재하기때문에 무한대의 전류가 흐르지는 않음)
님이 한손으로는 송전선을 잡고 한손은 젖은땅에 대고 있으면 몸에 흐르는 전류가 지락전류입니다
번개가 쳐서 전류가 땅으로 흐르는것도 지락전류라고 하죠.
- 과전류와 단락전류 차이 -
과전류라고 하면, 비교적 안전범위내에서 지나친 양의 전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모터가 100A 정격인데, 회로는 50A 정격이라면, 과전류가 되므로 사용할수가 없는 식이지요.
그러나, 단락전류는 '위험한 정도로 큰' 전류입니다. 회로가 망가지고, 관련기기가 못쓰게 될수 있는 양의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가정의 20A 정격의 전력회로에서도 단락이 일어나면 교류 반사이클의 시간인 1/120 초이내에 약 200A 정도의 큰 전류가 흐릅니다. 그대로라면 불과 몇초 안되어서 관련회로가 망가질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회로차단기는 저러한 전류에 대해서 최소 1/10 초 이내에 동작합니다. 그럼으로써 회로를 보호하는 것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차단기 자체가 못쓰게 되기도 하지요.
과전류에는 차단기가 망가지기까지는 않습니다. 전류에 따른 일정시간 뒤에도 정상범위가 되지 않으면 차단되지만, 다시 올리면 약간의 시간동안 다시 동작합니다. 물론 과전류도 그 크기 나름입니다만.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소개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울의 법칙? 니크롬선 주울열 (0) | 2011.06.12 |
---|---|
[***]기사공사 요점정리[통합한것] 사회복지개론 - 요점정리 (0) | 2011.06.12 |
한류저항[CLR) 공식이 나온이유?(1) 110607 오사카 쿄세라돔 한류콘서트 동방신기 후기 (0) | 2011.06.12 |
변압기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이 무었인지?? 변압기의 관리 (0) | 2011.06.12 |
[본문스크랩] 안전공사[정기점검 검사기준]?(1) 건설공사 안전점검 대가산정기준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1 - 273호) (0) | 201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