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내용]
<;안녕하세요...이 사이트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그런데몇 가지 의문사항이 있어 메일 보냅니다...
<;
<;1) 수배전설비중 ZCT에 대한 아래의 설명중 3상 전류가 어떻게 부하단에 들어갔다가 나오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일반적으로 평형 3상 전류의 경우 부하단에서 VECTOR 적으로평형을 이뤄 소멸되지 않나요?
<; 아니면R,S,T 각 상이 부하단을 거친후 다시 R-<;S or T, S-<;T or R, T-<;R or S
<; 이렇게 전류가 복귀를 한다는 말씀이신지?
<;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 >;....원리는 이론적으로 전기 벡터합이 정상시 0 이 되어야 하는데 1선 지락(누전)시 벡터합이 0 이 되지않은 것을 이용
<; 이것을 검출하는 장치로 더 쉽게 말하자면 ZCT를 통과하며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시에는 ZCT로 부터 부하로 들어갔다가
<; 나오는 전류가 같으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지락(누전)시에는 부하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전류가 차이가 나므로 이 차이만큼의
<; 전류가 바로 지락전류(누전)로 이 지락전류 만큼 ZCT에 검출되는.......<;
<;
<;2) 보호계전기 중에서 67계전기를 선택지락계전기(SGR) 또는 지락방향계전기(DGR) 라고 부르는데
<; 기능은 같은데 단지 이름만 다르게 부르는 것인지, 아니면 기능적 차이에 의해서 다르게 부르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 어떤 자료를 보니까 SGR은 GPT+ZCT 로 동작하고, DGR은 GPT+CT 로 동작하는 것이 다르다고
<; 설명이 되어 있던데 정확하게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
<;3) ZCT를 전원측에 결선할 때는 차폐선을 ZCT에 통과시켜야 하고, 부하측에 결선할 때는 차폐선을 ZCT에 통과시키지
<; 말아야 한다고 하는데 지락 발생시 그림상으로 지락전류의 흐름에 대한 자세한 설명 부탁합니다...
[답변내용]
땡추 이부분은 전번에 saslee 기술사님께서 설명해 드린내용 입니다... 검색란에 zct 로 검색해서 보세요.. vector 를 넘 어렵게 생각하시는군요.. 3t상 평형시 ir + is + it = 0 되지요 따라서 중성선에 전류가 흐를수 없음으로 영상전류는 검출되지 않치요... 지락이나 불평형이 되면 차에 의해서 중선선에는 전류가 흐르고 이전류에 의해 경보 또는 계전기가 동작하는 것입니다.. 07/26 08:38 땡추 자료 찾으셨나요.. 07/26 23:08 fgod 답변이 늦었군요.... saslee 님의 zct 에 대한 자료를 보았는데 전원점에 설치할 경우는 그림2. 가 맞는것 같은데(전원측은 차폐선 접지가 zct를 통과해야 하므로) 그림1.이 맞는 걸로 되어 있네요. 그리고 위의 질문 사항중 1),2)번에 대한 정확한 답변 부탁합니다. 1)번의 경우 정상시 예를들어, a상의 전류가 부하측으로 들어갔다가 b상,c상으로 순환하는 것인지? 땡추님께서 답변하신 내용은 순환하지 않고 a,b,c 세상이 부하측에서 만날 경우 zero가 된다고 설명하셨고 일반적으로 그렇게 알고 있는데, "ZCT를 통과하며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시에는 ZCT로 부터 부하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전류가 같으므로" 란 부분은 땡추님의 설명과 다르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헷갈립니다... 2)번의 지락방향계전기 또는 선택지락계전기에 대한 개념 설명 부탁합니다...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소개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C에 대한 답변 ? 콘덴서 용량 풀어주세요[답변] (0) | 2011.06.12 |
---|---|
X/R 비 구하는 방법 ? X/R 비 구하는 방법 (0) | 2011.06.12 |
변압기 여자 돌입전류 영향 ? 플랜트 전기 엔지니어의 다락방`>플랜트 전기 엔지니어의 다락방 (0) | 2011.06.12 |
보호 계전기 정정방법... ? 보호계전기 정정방법 (0) | 2011.06.12 |
[펌] 열화 ? [펌] 열화 (0) | 201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