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하기의 행복

(펌) 요구 용량 모델(DCM, Demands and Capacities Model)

요구 용량 모델

(DCM, Demands and Capacities Model)

Jamie E. Dolan Wallace & Laura Capizzi

■ “말더듬은 아동의 사회적 환경으로부터의 유창성 요구가 유창할 수 있는 아동의 인지적, 언어적, 운동 혹은 정서적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 C. Woodruff Starkweather

요구 용량 모델이란?

- 이 모델은 1990년에 C. Woodruff Starkweather에 의해 개발되었다.

- 이 모델은 아동이 유창하고 비유창한 구어를 산출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인 요인들을 분석한다.

- 이 모델은 말을 더듬는 아동들이 유전적으로 비유창한 구어를 산출하는 경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본다.

요구와 용량은 무엇인가?

- 용량: 아동의 유창하게 말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경향, 강정, 약점, 지각.

- 요구: 아동 자신의 이익이나 다른 청자들을 통해 주어질 것이다. 가능한 요구의 예들에는 빠른 속도의 구어와 구어 지속이 포함된다. 요구는 아동이 발달함에 따라 변화하고 증가할 것이다.

요구 용량 모델의 4가지 측면

- 요구 용량 모델에 따르면, 말더듬의 시작과 발달은 4가지 측면에 근거한 것이다.

1. 운동적

2. 언어적

3. 사회-정서적

4. 인지적

1. 운동적 측면

- 가장 중요한 운동적 요구는 시간 압박이다.

- 운동적 요구의 예들:

1. 누군가가 반응을 기다리고 있을 때의 말하기

2. 좀 더 복잡하거나 좀 더 긴 발화 산출하기

3. 자신의 이름 말하기

4. 전화받기

5. 메시지를 분명하게 하거나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의사소통을 수정하기 위해 반복하기

6. 모두가 서두르고 있을 때의 말하기(예를 들어, 등교시)

7. 부모나 의사소통 상대가 아동 앞에서 너무 빠르게 말할 때 시간 압박이 주어진다.

8. 아동이 말하거나 말을 마칠 때 아동을 방해하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청자의 반응들은 아동의 유창성에 영향을 미친다.

9. 높은 수준의 감격과 흥분 또한 시간 압박의 잠재적인 원인이 된다.

10. 차례 지키기에서의 경쟁과 부족 또한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아동의 불안 수준을 증가시키게 된다.

11. 마지막으로 아동에게 지난 일에 대해 말할 것을 요구하거나 촉구하는 것 또한 유창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대화시 아동의 자발성을 제한하고 시간 압박을 주게 된다.

2. 언어적 측면

- 언어적 측면에는 언어의 의미론적, 구문론적, 형태론적, 화용론적 측면이 포함된다.

- 비유창한 구어의 출현을 증가시키는 언어적 영역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단어-수정, 문장 형식화(sentence formulation), 복잡한 형태론적 조합, 사회적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사용하는 것에서의 어려움.

- 단어수정이나 문장 형식화에서의 어려움은 아동이 경험하는 불안의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서 구어 속도를 느리게 만들 수 있다.

- 예를 들어, 엄청난 양의 어휘 지식을 가진 아동들의 경우에는 문장을 형식화하고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적절한 어휘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3. 사회-정서적 측면

- 아동들의 말더듬을 증가시키는 두 가지 가장 일반적인 정서적 상태는 흥분과 불안이다.

- 이러한 정서들은 아동의 구강 운동 근육의 활동을 증가시키게 되고 그로인해 유창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 아동을 흥분시키거나 불안하게 만드는 사건들이 성인의 경우와는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인지적 측면

- 상위언어기술들을 사용하는 능력(예를 들어, 생각의 형식화와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생각의 처리)

- 말더듬은 일반적으로 상위언어기술들이 발달하거나 완전히 확립되기 전에 발생한다.

- 인지적 노력이 적을수록 의사소통 기술이 더 자연스럽게 사용되므로 인지적 측면이 중요하게 된다.

부모를 위한 조언

- 특히 스트레스가 많은 활동 중에는 아동에게 너무 많은 기대나 요구를 하지 말라(예를 들어, 대소변가리기 훈련, 학습 과제 수행).

- 아동의 식습관에 대한 언급을 줄여라(예를 들어, 아동이 음식을 “더럽게” 먹는다는 것을 비꼬아 말하지 말라).

- 환경적 요구가 아동의 구어 구조를 부드럽고 빠르게 진행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는 것을 기억하라.

- 아동의 말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을 삼가라(예를 들어, “천천히 말해봐.”). 아동이 어떻게 말하는가 하는 것 말고 아동이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집중하라.

- 조기 중재가 열쇠이다! 유창성의 발달시키는 방법, 적절한 예방법, 중재 전략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교육을 받아라.

요구 용량 모델에 대한 비평

- 아동의 환경에서 발견되는 엄청난 양의 요구와 용량은 말더듬의 원인을 무제한적인 것으로 만들어버렸다.

- 이 모델은 측정가능한 용량의 부족으로 인해 실험하는 것이 어렵다.

- 아동의 요구와 용량간의 상관관계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확인가능한 역치도 존재하지 않는다.

- 순환 논법: 말더듬은 요구가 아동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왜냐하면 요구가 아동에게 너무 과도하기 때문이다.

이 모델이 근거에 기초한 치료(EBP, Evidence-Based Practice)를 통해 지지되는가?

- 아동의 의사소통 용량과 빠른 구어에 대한 요구 간의 특별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언어치료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 이 모델은 치료사들에게 이해가능하며 명백한 치료 방향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 이 모델을 사용한다면, 치료사는 유창한 구어를 산출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 기억하라...어린 아동들의 치료 목표는 자발적인 혹은 “일반적인” 유창성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 Starkweather는 치료사들이 치료 세션 시작 후 10분을 아동의 욕구와 환경적인 변화들을 재평가하는 데에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치료가 진행 중일 때, 아동의 유전적인 유창성 능력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라. 그러므로 치료사는 구어 메커니즘을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는 법을 아동에게 교육하는 상황을 중요하게 다루어서는 안 된다.

- 치료시에는 아동의 의사소통 환경을 조정하는 것이 유창한 구어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마지막으로 치료사는 부모들에게 유창성의 발달을 지원, 예방, 중재 전략, 행동에 따른 적절한 피드백에서 부모들의 역할에 대해 교육해야 한다.

Reference

nBloodstein, O. (1995). Ahandbookonstuttering, 5th ed. San Diego: Singular Publishing Group.

nConture, E.G. (2001). Stuttering: Its nature, diagnosis, and treatment.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nGregory, H.H. (2003). Stutteringtherapyrationaleandprocedures. Boston: Pearson Education.

nManning, W. H. (2001). Clinicaldecisionmakinginfluencydisorders, 2nd ed. San Diego: Singular.

nRatner, N.B., & Healey, E.C. (1999). Stutteringresearchandpractice:Bridgingthegap.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nShapiro, D.A. (1999). Stutteringinterventionacollaborativejourneytofluencyfreedom. Austin: Pro-ed.

nStarkweather, C.W., & Givens-Ackerman, J. (1997). Stuttering. Austin: Pro-ed.

nYairi, Ε., & Ambrose, N.G. (2005). Earlychildhoodstuttering:For clinicians by clinicians. Austin, Texas: Pro-ed.

요구 용량 모델은 내가 좋아라하는 모델이다.

물론 이 모델은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아마도 다른 학문에서 힌트를 얻은 듯한 이 모델은

부정할 수 없는 말더듬의 유전성을 인정하면서

유창성 능력이 매우 낮다면

환경적 요구를 낮추는 것으로는

유창할 수 없다는 이상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되어버렸다.

이는 이들이 주장하는 것과는 사뭇 다르다.

하지만 나는 이 모델이

부모가 아동을 수용하도록 만들며

아동에게 맞춘 치료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유도할 뿐 아니라

벌과 그로 인한 학습된 무기력과 같은

내가 아동 말더듬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을

고려하기 때문에 좋은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이 모델은

이론이라기보다는 치료를 위한 컨셉에 가까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http://cafe.naver.com/stammer 언어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