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한마디로 전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곳. 전기설비에 대한 검사ㆍ점검 및 기술지원과 전기안전에 관한 조사ㆍ연구ㆍ기술개발ㆍ홍보 등 전기재해 예방업무를 맡고 있다. 최근 남극 세종과학기지와 북한 개성공단 등 해외까지 안전진단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내년 2월 착공에 들어가 내후년 6월에 전북혁신도시에 입주할 계획이다.총 665억원을 들여 부지 5만1898㎡, 건물 2만70㎡ 규모로 들어선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전기안전관리 전문기관
'전기사업법'에 의거, 전기로 인한 위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립된 산업자원부 산하의 전기안전관리 전문기관. 지난 1974년 6월 설립돼 정부조사기관으로 지정됐고, 이어 1975년 4월 한국전기안전공사로 개칭되었으며, 1990년 4월 전기사업법에 의해 특수법인으로 개편됐다.
전기안전에 관한 조사·연구 및 기술개발·보급, 전기안전에 관한 계몽 및 홍보, 전기설비에 대한 점검·검사 및 기술지원, 재난의 예방수습과 긴급구조 사업 등을 주 업무로 하고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명일동에 자리하고 있으며, 그 밑에 현재 13개 지역본부와 47개 지사, 1개 출장소 등이 있다. 또 전기안전시험연구원, 안전인증센터가 운영된다.
지난 1995년 7월 18일 재난관리책임기관으로 지정됐으며, 2000년 3월 15일 ISO 9002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2001년 4월 28일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았다.
▲국민불편 해소에 주력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업무는 핵심주력기능과 주력기능지원 두 가지로 나뉜다. 핵심주력기능은 전기설비에 대한 검사와 검검, 기술을 지원하는 것이며, 주력기능지원은 전기사고의 원인·경위 등의 조사와 전기안전에 관한 조사·연구, 기술개발 등이 해당된다.
이 속에서 한국전기안전공사는 국민들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긴급출동 고충처리 업무(Speed-call, Bussiness-call)에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주거용 전기시설의 고장이나 정전 발생 시 국민 불편을 단 1초라도 빨리 해소하기 위한 응급조치 시스템 'Speed-call'을 운영하고 있다. 또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농어촌 및 도시 저소득층 등 차상위계층, 장애인, 국가유공자, 독립유공가, 사회복지시설을 도와주는 'Speed-call' 서비스로 운영되고 있다.
여기에 기업 중심의 전기 설비 사고 등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대 신속한 응급조치로 기업의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Bussiness-call'도 운영한다. 대상은 대형사업장, 병원, 공공기관, 제조업체 등 대용량 기업고객이다.
▲1200명까지 동반 이주할 듯
한국전기안전공사에는 모두 2734명이 근무하고 있다. 본사 밑에 13개 지역본부와 47개 지사, 1개 출장소 등이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본사에 296명, 사업소에 2438명이 소속돼 있다. 당장 300여 명의 본사 직원과 가족(직원 당 3명)들이 동반 이주해올 경우 1200여명의 인구유입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것. 또 연간 2억원 정도의 지방세도 들어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은 사랑의 연탄나누기 등 사회공헌활동에도 활발하다.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전북혁신도시에 들어옴으로써 특히, 지역 녹색산업에 활로를 찾아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이 신성장동력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사업이 새만금 등에 펼쳐지는 녹색성장산업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
한국전기안전공사 관계자는 "국민과 함께하는 세계 최고의 KESCO 실현이라는 비전아래 전기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책임지며 고객만족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전북혁신도시에 들어서는 것을 계기로, 보다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전환점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www.shop-dwg.co.kr 구인, 구직 소개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문스크랩] 계약전력결정방법[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2011년 신입 및 경력직원 공개채용 ~3/7 (0) | 2011.06.12 |
---|---|
불평형 및 전압강하기준[안전공사]? SEMI F47 (순간전압강하대책 기준)을 가장 경제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제안입니다. (0) | 2011.06.12 |
[본문스크랩] 누설전류 고조파 절연저항 기준[안전공사]? 용량성 누설전류와 저항성 누설전류. (0) | 2011.06.12 |
[본문스크랩] 절연내역 검사기준[안전공사]? 공사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내역 및 기준 (0) | 2011.06.12 |
[본문스크랩] 보호계전기 검사기준[안전공사]? 새로 바뀐 음주운전 삼진아웃제도, 과속운전 범칙금!!! (0) | 201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