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복합판넬 시방서1. 적용범위 1-1 본 시방서는 신축공사의 A/L복합판넬 제작설치, 시공에 대한 방법 및 기준을 명기하여 공사에 적용한다. 1-2 본 특기 시방은 하기 각 항에 준하며, 일반 사항은 한국건축학회 기준 제정 표준시방서,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건축설계자의 커튼월용 표준시방서를 적용하되, 본 시방은 타시방서에우선하여 적용한다. 2. 공사범위 2-1 설계도서 작업 1) 설계도면 검토 2) 공사계획서(제작요령서 및 공정계획서 포함) 작성 3) SHOP DWG 작성 4) 각종검사 및 시험결과 보고서 제출 3. 제작 및 설치 3-1 공사 착수전 아래 사항에 대한 ARCHITECTS CURTAIN WALL 제작, 및 설치 SHOP DWG을 제출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득한다. 1) 단위 입면 (ELEVATION'S OF UNIT) 2) 단면 상세도 (FULL SIZE SECTIONS) 3) 접합 및 긴결 (JOINT AND FASTENINGS) 4) 긴결 방법 (METHOD OF ANCHORAGE) 5) 긴결제의 규격 및 간격 (SIZE AND SPACING OF ANCHORS) 6) 부속제의 위치 및 모양 (LOCATION AND TYPE OF HARDWARE) 7) 타공사와의 연결 (CONNECTION WITH OTHER WORK) 3-2 상기 항목 이외의 공작도 및 시공도가 필요한 부분이 발생하면 제작 설치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필요 도면을 빠짐없이 작성, 제출한다. 3-3 도면 및 특기시방서에 기재 안된 사항은 아래 기준에 따른다. 1) 건축 법규 및 소방법 관계 2) A.A.M.A 규정 및 시험 기준 3) 건축학회 기준 4) 설계자 표준 기준 3-4 원자재(PANEL) 및 부속 자재는 전체 승인에 앞서 가승인을 받을 수 있으나, 시험결과 및 전체 승인에서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변경될 수 있다. 4. CURTAIN WALL 설계 및 품질 기준 4-1 설계 기준은 감독원의 제시에 의한 별도 지시가 없는 한 다음과 같은 조건 및 기준을유지하여야 한다. 1) 수축 팽창 최저 -20℃ PANEL 표면 온도, 최고 -60℃에 대하여 충분한 수축, 팽창 여유를 갖도록설계하여 이로 인한 좌굴, 접합부 SEAL의 파손, 기타 구조상의 응력 발생 등을 예방토록 한다. 2) 설계 풍압 설계 풍압은 35M/SEC로 가정하여 설계하고 부위별 압력 증가 계수는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따른다. 설계 풍압에 대한 주요 부재의 응력은 각 부재의 최소 허용응력이하라야 하며, 파손이나 유해한 균열의 발생 또는 SPAN에 대해 L/175 이상의 서점 등이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 3) 상시 변형 성능 온도 조절 및 구체의 변위 등으로부터 기인하는 부재 변형구조 응력 등을 예측하여 장기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 접합 방법 및 설치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4) 내화 성능 본 SLAB 등의 주요 내화 부재에 CURTAIN WALL을 고정시키는 부재는 강재로 접합시켜야 하며, 알루미늄복합판넬 및 부자재는 녹거나 탈락하지 않아야 한다. 5) 수밀 성능 CURTAIN WALL 부분의 수밀성을 별도의 지시가 없는 한 ASTM E-331의 방법에 의거4PSE 이상 또는 INWARD DESIGN WIND의 20%에 해당하는 정압 압력차에서 누수 되지않도록 한다. 6) 기밀 성능 CURTAIN WALL 부분의 기밀 성능은 별도 지시가 없는 한 ASTM-E283의 방법에 의거 0.06CFM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7) 정 밀 도 철골 및 CONCRETE 공사의 정도에 관계없이 제품의 정밀도는 시방서의 내용과 일치시켜 CURTAIN WALL 기준에 의거하여 분활 하여야 한다. 8) 내구 성능 구조 계산서에 의하여 산정하여 그 결과를 감독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9) 표준 처리는 미려하고 평활도 우수한 제품이어야 하며 또한 내식성, 내후성, 내염수성, 내구성을 유지하고 최저의 열손실, 방음, 흡음, 결로 방지 효과가 충분하여야 한다. 10) 어떠한 악조건의 기후 해변가, 비, 바람, 해수, 대기오염, 태양 광선에 의한 산화현상이나변, 퇴색 현상이 전혀 없어야 하며, 특히 해변가인 점을 고려, 해수, 염수 등에 강력한 내염수성의 제품이어야 한다. 5. 제 품 5-1 주자재 1) 국내 개발 복합판넬 제품으로써 0.5MM 알루미늄박판 양면 사이에 가열 경화성 및 자기 소화성 합성수지를 복합시킨 재질 이어야한다. 2) 규 격 (SIZE) 국내 개발품에서 정하는 STANDARD SIZE양산 규격으로 하며, SHOP DWG ELEVATION도면에 의거 제작, 설치한다. 3) 두 께 : THK 4MM로 한다. 4) 색 상 : 별도 지정색상 5) 재 료 : 양면 알미늄박판은 A3003 ALLOY H-18 TEMPER 또는 A5005 ALLOYH-32 TEMPER로써 KSD-6759 규정에 의한 표시 품으로 한다. 6) 표면처리 : 표면은 내식성 및 내염수성이 강력한 PVDF 도료(불소수지)로 도장하고,배면은 MILL FINISHED판으로 한다. 5-2 부자재 1) AL-ANGLE JOINER : AL-EXTRUDE 형재로써 A6063/T5 합금인 KSD 6759 KS 표시품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한다. 2) STL 보강재(ANCHOR FASTENER) PANEL UNIT의 취부, 시공보강제의 ANCHORING 재질 및 규격은 다음에 따른다. 가. 재 질 : KSD3503의 STEEL (SS-41) 광명단 2회한 것을 사용한다. 나. 규 격 : 규격 및 두께는 도면에 따른다. 3) BOLT / NUT (ANCHOR BOLT / NUT) KSD1002의 STEEL (SS-41) 규정에 합격한 것으로써 아연 도금(GALVANIZED 7μ)한것을 사용하며, 규격은 사용 장소별 도면에 의하여 강도 구분은 구조 계산에 따른다. 4) SCREW 모든 SCREW는 아연도금 한 것을 사용하며 규격은 도면에 따른다. 5) RIVET 모든 RIVET은 AL-A1050V를 사용한다. 6) JOINT RIVET PANEL UNIT와 JOINER 접합은 AL-RIVETING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7) 단열재 자재는 GLASS WOOL로 밀도 24K이상의 제품을 사용해야 하며, 1면은 은박지 마감하여야 한다. (공장 조립시 판넬에 취부) 8) 기타 부자재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시방서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부자재 재료 및 규격은 K.S 표시품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6. 가공 및 제작 6-1 PANEL 절단 가공 감독원이 지정하는 가공 공정으로 GROOVING 가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모든 자재는공업적인 공차 범위 안에서 승인된 도면 시방서에서 규정한 재료, 규격, 두께, 기타 등 시방서에 일치하여야 한다. 가공 절단각은 90°, 45°가 유지되어야 하고 절단 길이 허용오차가 ±2MM 이내이어야 한다. 6-2 UNIT 제작(UNIT 시공시) UNIT 공장, 제작조립시 각종 부속자재는 공장에서 조립하여 철저한 출하검사를 받도록하며, 현장 시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실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조립면은 틈이 생기지 않도록 제작함은 물론 PANEL GROOVING 가공 후반드시 BENDING 부분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7. 제품검사 7-1 ORIGINAL SAMPLE 제출 각 부재의 두께, 표면처리, 색상, 허용공차 등이 명시된 표준 ORIGINAL SAMPLE을 200MM 단위로 제출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득한 후 제작에 착수하여야 한다. 제출된 ORIGINAL SAMPLE은 감독원이 보관하여 제품의 규준으로 삼는다. 7-2 검사항목 뒤틀림, 표면처리, JOINT 상태 제작, 불량한 것은 불합격 처리하고 출하 금지한다. 8. 포장 및 운송 완성된 제품은 비닐 보호용 막으로 개별 포장하여 출하하고, 운송 도중에 파손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목재로 제작 보호 운송하여야 한다. 9. 설치 시공 9-1 설치 시공은 승인된 시방서에 따라 실시함은 물론 감독원과 협의하여 설계 SHOP DWG에 따라 숙련되고 경험이 많은 기능공에 의하여야 한다. 9-2 ANCHORING BRACKET FASTENER 설치는 수평, 수직을 맞추고 BOLT / NUT를 BOLTING한 후 NUT가 풀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수평, 수직 허용공차 ±2 MM 이내로 한다. ) 9-3 연결 줄눈은 간격을 일정하게 하고, 이음 부분의 보강제는 유동이 없어야 한다. 9-4 하지 철물은 SHOP DWG에 명기된 재료로 감독원의 승인 후 시공해야 한다. 9-5 하지 철물의 용접한 부위는 용접면을 깨끗이 청소한 후 광명단 2회 도장한다. 9-6 PANEL은 정확한 수평, 수직을 유지하도록 하지 철물에 먹메김을 한 후 부착한다. 9-7 판넬 표면에 용접 불꽃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한다. 9-8 줄눈 폭은 승인 도면에 의하여 허용 오차는 ±2.5MM로 한다. 10. SEALANT 아래 사항에 대하여서는 KSF4910 5항 시험에 의하여 시험을 실시하여 합격한 제품을사용할 수 있다. SILICONE SEALANT의 제품은 SEALANT 견본을 감독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득한 후 시공할 수 있다. 가) 고착건조 나) 경도 다) 인장접착강도 라) 박리접착강도 마) 인장복원성 바) 오염성 사) 슬럼프 아) 사용가능시간(경화시간) 10-1 줄눈청소 1) 수분, 먼지, 불순물, 기름, 녹 등은 접착력을 저하시키므로 충분히 청소, 건조시켜야 한다. 2) BACK-UP 재충전 BACK-UP재는 3면 접착을 방지하고 일정시공면을 얻기 위해서 사용하므로 변형줄눈을 조정하고, 줄눈폭보다 약간 큰 것(Ø15~20MM)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3) MASKING TAPE 작업 시공시 주위에 2면을 방지하고 시공면이 양끝의 선을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붙인다. 사용 TAPE는 접착제가 피착제에 묻지 않아야 하고 용제나 직사일광에 의하여 연화되지 않는 것으로 해야 한다. 4) SILICONE 충진 일정한 속도와 압력으로 도출시켜 충진하면서 GUN의 이동방향을 약간 경사지게 이동한다. 이때 충진 줄눈의 상부는 약간 두껍게 시공하고 줄눈의 끝부분의 약 20cm 전방에서 충진을 중지하고 끝부분에서 반대방향으로 충진, 연결한다. 5) MASKING TAPE 제거 마무리 작업후 TAPE를 제거한다. 이때 TAPE를 제거할 때 도료를 박리시키는현상을 주의한다. 6) 양 생 SEALANT 제외 시공후 완전 경화될 때까지 줄눈재의 손상 및 오염 이물질 부착 등피해가 없도록 하며, 3일간 양생한다. 11. 현장 관리 11-1 반 입 1) 제품은 계획 공정에 준하여 착오가 없도록 반입하여야 한다. 2) 제품은 반입시 손상이 없도록 최소한의 보호 조치를 하여야 한다. 3) 기타 이외 사항은 감독원과 협의한다. 11-2 안전관리 1) 설치 작업 전 작업 부분에 안전 규칙에 준한 최소한의 안전시설을 하여야 한다. 2) 작업자에게 현장 상황에 따른 기본적인 안전 용구를 지급하여 현장 내에서 항시휴대 활용토록 한다. 3) 용접 작업 관계에 따른 전기 안전 보완에 유의하여야 하며, 전원 스위치, 전선의파손 여부 검사를 수시로 행한다. 4) 공동 작업에 따르는 안전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한다. 5) 기타 이외 사항은 종합 안전 관리 규정에 따른다.
www.shop-dwg.co.kr
www.shop-dwg.co.kr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랑 나랑 힘모아 집짓기-2 (0) | 2011.06.10 |
---|---|
전주종합경기장 이전 및 복합단지 개발사업 설계 및 시공 등에 관한 지침 (0) | 2011.06.10 |
폭목을 설치하는 일본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 우수사례 (0) | 2011.06.10 |
[안내] 제5주(3.31.목) 강의안 추가 (정보서비스와 이론의 발전) (스크랩 본문 허용) (0) | 2011.06.10 |
[건설] 두산건설(주) 일산 두산 위브더제니스 주상복합건설현장 (0) | 201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