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바이는 GDP중 非 석유부문의 비중이 93%에 달할 정도로 석유 의존도가 낮다. 두바이는 2011년까지 석유의존 경제구조를 완전 탈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장기계획을 수립하여 진행 중이다. 두바이의 지도자인 쉐이크 모하메드(>;그림 1-2<;)는 영국군사학교를 졸업했으며, 독립직후부터 UAE 국방장관직을 수행했다. 왕세자 쉐이크 모하메드는 풍부한 국제경험과 리더십으로 본인이 직접주도하여 인공섬의 개발, 인터넷 시티 등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두바이가 중계무역, 정보산업의 허브로서의 지식산업의 거점, 관광 및 이벤트와 스포츠로 세계로 열린 중동의 세계적 거점을 지향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본 자료는 두바이의 워터프런트 개발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글 : 안 성 모-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토목사업본부 부장감수 : 강 윤 구(※ 본 게시물은 2009년 항만지 봄호에 기재된 내용입니다.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은 5회로 나누어서 게재합니다.)[출처] [본문스크랩]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 - 1. 서론 |작성자 레이박2.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 사례년간 강우량이 150㎜이며, 12월부터 2월까지만 비가 내리는 사막 두바이에서 우리는 현재까지 진행되어 오던 워터프런트의 개발컨셉과는 조금 형태가 다른, 어떻게 보면 다를 수밖에 없는 개발형태를 만나게 된다. 두바이 워터프런트의 개발 컨셉은 크게 3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바다에 인공섬을 조성하여 호텔, 빌라 등의 시설을 계획하는 컨셉, 둘째, 초고층 빌딩과 인공호수를 연계한 개발컨셉, 그리고 셋째로 운하를 조성하여 운하 주변을 하나의 신도시로 개발하는 대규모 개발 컨셉이다. 물론 이러한 컨셉은 지금까지 여러 나라에서 계획되어지고 진행되어온 것과 유사한 면이 있지만 두바이의 경우는 실제적으로 불모의 땅을 새로운 형태로 바꾸는 창조적인 개발이라고 볼 수 있다. 세계의 많은 자본이 모이고 많은 엔지니어가 모여들고 엄청난 인력이 두바이를 향해 모여들고 있는 것은 이러한 창조적인 개발의 매력에 이끌려 간다는 것에 아무도 반문을 할 수가 없을 것이다. 물론 현재는 세계경기의 불황과 연계되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두바이 워터프런트를 만들고, 또 만들어 나가는 이러한 창조적인 컨셉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안겨주고 있다.
1) 인공섬 조성을 통한 개발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의 시작을 알린 Burj Al Arab 호텔은 >;그림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안선으로부터 280m떨어진 해상에 인공섬을 조성하고 그 인공섬 위에 돛단배 형상의 호텔을 시공하였으며, 60층의 321m 높이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호텔이다. 호텔은 육지에서 교량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공섬의 시공에 3년, 호텔 건물의 시공에 3년이 소요되었다.


Burj Al Arab호텔의 시공이후 두바이는 또 한번 전 세계를 놀라게 하는 발표를 하게 된다. 그것이 바다위의 인공섬 개발 프로젝트인 팜 아일랜드(Palm Island) 3개와 더 월드(The World)의 개발계획이다. 팜 아일랜드는 팜 주메이라(Palm Jumeirah), 팜 제벨알리(Palm Jebel Ali) 및 팜 데이라(Palm Deira)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거 및 레져시설이 계획되어 있다. 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다고 하는 야자수 모양의 거대한 인공섬으로 만든 도시인 Palm Island series는 모든 섬이 주변 바다의 모래를 호퍼 준설선으로 준설하고 매립하여 인공섬을 조성하였다(>;그림 2-3<;, >;그림 2-4<;).


가장 먼저 계획된 최초의 Palm Island인 팜 주메이라섬은 2003년 세계 부동산 시장에 공개된 지 3주만에 분양이 끝나는 기록을 세웠다. 두바이 Palm Island Series의 각 섬의 개요는 다음 표와 같다.
>;표 2-1<; 두바이 인공섬 개발 개요
팜 주메이라
팜 제밸알리팜 데이라

>;그림 2-5<;는 2002년부터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인공섬 팜 주메이라 현장의 위성영상 자료이며, >;그림 2-6<;은 야자수 줄기 부분에 시공된 고급빌라의 조감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바다위에 세계지도 모양의 인공섬을 건설하는 더 월드(The World)프로젝트는 쉐이크 모하메드 수상의 창의력이 더욱 돋보이는 프로젝트이다. 더 월드(>;그림 2-7<;)는 직경 7㎞정도의 방파제 안에 세계지도 모양으로 약 300여개의 인공섬을 배치하였으며, 각각의 섬의 면적은 23,000~83,000㎡로 섬 사이의 간격은 약 50~100m정도이다.


더 월드는 Palm Jumeirah와 Palm Deira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림 2-8<;에 나타나 바와 같이 해안선에서 약 4㎞정도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그림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도 있으며, 한국섬의 면적은 9천평정도이며 2006년 300억원에 분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월드의 시공도 >;그림 2-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퍼 준설선에 의한 매립으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림 2-11<;에는 더 월드의 섬 중 모델하우스로 시공된 섬의 전경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더 월드의 분양은 매립으로 조성된 섬만을 분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Palm Series와 The World의 개발 회사인 NAKHEEL사는 >;그림 2-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alm Jumeira, Deira와 The World 주변해역을 연계한 인공섬 Universe의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두바이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이란 수식어를 가진 빌딩이 상당수 개발되고 있다. 서두에 잠시 소개한 Burj Al Arab호텔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호텔이며, 현재 삼성건설에서 시공 중인 Burj Dubai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두바이의 탑”이란 의미의 Burj Dubai는 두바이 Down Town개발 프로젝트(>;그림 2-12<;)의 일환으로 개발되는 건물로 이 프로젝트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2-12<; 두바이 Downtown개발 프로젝트 >;그림 2-13<; Old Town
두바이 Down Town개발 프로젝트는 세계최고의 빌딩과 세계최고의 쇼핑몰 그리고 세계최고의 호텔과 빌라단지를 조성하는 개발 프로젝트이다. Dubai Mall은 1,000여개 전문점, 수족관, 패션 아일랜드(2만 4쳔평), 소매상가 지역(넓이 25만 9천평), 레이크 파크, 타워파크, 세계최대 야외 시장, 아이스 링크 및 위락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그림 2-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호텔과 주거지역인 Old Town을 계획하고 있다.
Burj Dubai는 빌딩의 형태부터 다르다. 빌딩의 단면은 이슬람의 문향과 육엽화를 모티브로 설계 되었으며, 39층까지는 호텔로. 40층부터 108층까지는 아파트, 그 위에는 사무실과 전망대로 구성되어 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인 Burj Dubai는 매일매일 새로운 기록을 갱신해 나가며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2008년 12월 22일 지상 789m까지 공사가 진행되었다(>;그림 2-16<;).

현재 버즈두바이는 2009년 준공을 앞두고 마지막 첨탑공사(>;그림 2-17<;)가 공사가 한창 진행 중에 있다. >;그림 2-18<;은 버즈두바이에서 내려다 본 두바이 스카이라인 쉐이크자이드 로드와 운해(雲海)의 풍경이다.


>;그림 2-17<; 버즈두바이 첨탑공사 >;그림 2-18<; 버즈두바이에서 내려다 본쉐이크 자이드 로드
두바이 다운타운 개발 프로젝트는 워터프런트 개발의 유형중 High Quality City의 개발 컨셉을 목표로 초고층빌딩을 상징으로 주변에 인공호수와 쇼핑센터, 호텔 그리고 고급빌라 단지를 연계한 어메니티가 풍부한 생활환경, 고도주택환경의 창출을 통해 공간창출을 하는 형태이다.
글 : 안 성 모-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토목사업본부 부장감수 : 강 윤 구(※ 본 게시물은 2009년 항만지 봄호에 기재된 내용입니다.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은 5회로 나누어서 게재합니다.) [출처]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 - 2-2.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 사례 (2)|작성자 mltm_port3) 운하를 조성하여 운하 주변을 개발일반적으로 운하를 조성하여 주변을 개발하는 워터프런트 개발컨셉에서 운하는 하천의 주변을 정비하는 것이 기본적인 컨셉이었다. 두바이는 강수량이 작아 하천이 존재하지 않는 나라이며 유일하게 존재하는 하천형태의 수로가 두바이 크릭(Dubai Creek)이다.


>;그림 2-19<; 두바이크릭(Dubai Creek) >;그림 2-20<; 6 Crossing Bridge
두바이정부는 두바이 크릭주변의 개발계획도 물론 수립하여 놓은 상태이며, 시드니와 같이 오페라센터를 계획하고, Museum of Middle East Modern Art(MOMEMA)의 계획을 가지고 있다. 크릭을 통과하는 교량은 오페라센터와 연계하여 음파형식의 6 Crossing Bridge를 계획하고 있다.
두바이는 이와 같이 하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인공적인 운하를 조성하여 단지를 개발하는 새로운 개념의 워터프런트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두바이 마리나(>;그림 2-21<;)는 이러한 개발계획을 실현시킨 계획이다.

두바이 마리나는 >;그림 2-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Palm Jumeira의 트렁크에서 남서쪽으로 2㎞정도 떨어진 곳에 4.5㎞정도의 인공운하를 조성하여 그 주변에 호텔 리조트단지와 100여개의 초고층 빌딩 군이 시공 중에 있다. 두바이 마리나의 운하에는 여러 곳의 마리나(>;그림 2-23<;)가 계획되어 많은 요트가 정박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그림 2-22<; 두바이 마리나(Dubai Marina) >;그림 2-23<; 마리나(Inner Marina)
두바이 마리나의 성공적인 수행에 힘입어 두바이에는 유래 없는 대규모의 운하를 조성하는 아라비안 캐널 프로젝트의 계획이 진행 중에 있다. 아라비안 캐널 프로젝트는 >;그림 2-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바이항과 새로운 두바이 국제공항의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약 75㎞의 인공운하를 조성하고 그 주변을 개발하는 계획이다.
아라비안 캐널은 운하 및 주변지역의 개발을 위해 약 35억㎥의 토사 및 암을 굴착해야 하는 거대한 굴착공사이며 또한 굴착토를 주변지역에 성토하여야 하는 대규모 단지조성 공사이다. 아라비안 캐널의 내측에는 >;그림 2-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바이 항과 두바이 국제공항을 건설하고 이 두 물류시스템을 지원하는 물류단지인 로지스틱 시티와 무관세지역이 들어서게 된다. 두바이항은 기존의 Jebel Ali항을 Dubai항이란 새로운 이름을 부여하여 확장하는 계획을 세워 현재 1차 확장공사는 끝난 상태이며, 2차 확장공사를 진행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현재 두바이 국제공항은 여러 가지 면에서 한계에 직면하여, 새롭게 계획하는 Dubai World Central Al Maktoum International Airport는 활주로가 6개로 세계최대의 공항을 건설 중에 있다.


또한 아라비안 캐널의 외축에는 >;그림 2-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Jumeira Gilf Estate, Golf City, Sport City와 디즈니랜드의 8배 규모인 Dubai Land를 건설 중에 있다.
아라비안 캐널은 일반적인 자연 하천형의 운하가 아닌 인공적인 운하로 75㎞전체의 바닥수위가 DL(-)6m로 계획되어 있으며, 두바이의 조석간만차가 약 2m정도임을 감안하면 장기적인 수질문제가 발생할 것을 우려, 2개소에서 갑문을 운영하여 운하내의 수질을 조절하는 계획으로 되어 있다. >;그림 2-27<;은 갑문의 모식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2-27<; 갑문 모식도 >;그림 2-28<; LIMITLESS사 개발구역
아라비안 캐널의 개발주체인 LIMITLESS는 개발영역을 5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을 각각의 개발 컨셉에 맞추어 개발할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 중에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신도시가 개발될 예정이다. >;그림 2-29<;는 각 구역의 개발 컨셉을 나타낸 조감도로 운하와 연계하여 마리나, 엔터테인먼트 파크 및 초고층 빌딩군과 빌라단지 등을 복합적으로 계획한 컨셉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황량한 사막에 석유의존 경제구조를 완전 탈피한 새로운 도시의 건설이라는 꿈을 실어 계획하는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은 여러 가지 면에서 우리에게 시사점을 주고 있다. 물론 현재는 세계의 경제위기와 관련되어 개발속도가 50%정도로 떨어지고 있고, 많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아무것도 없는 황량한 사막을 세계인이 방문할 수 있는 관광국으로 만들어 놓은 두바이의 워터프런트 개발은 워터프런트 개발의 사례로는 가장 창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의 필자는 2008년 두바이 아라비안 캐널 시험시공현장에 약 8개월간 근무하면서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의 진행과정을 지켜보며, 우리나라의 워터프런트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느낄 수 있었다.
1800년대에 아부다비로부터 독립한 두바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오천년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90%이상이 불모지 사막이며, 4월부터 10월의 평균기온이 40도가 넘는 두바이에 비해 뚜렷한 4계절과 아름다운 금수강산을 가진 대한민국은 참으로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장래에 우리도 세계적인 워터프런트의 개발은 충분히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끝으로 본고에서 사용한 그림 및 사진 자료의 일부는 당사의 홈페이지(http://secc.co.kr) 및 참고문헌의 홈페이지에서 발췌했음을 밝혀둔다.
글 : 안 성 모-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토목사업본부 부장감수 : 강 윤 구(※ 본 게시물은 2009년 항만지 봄호에 기재된 내용입니다.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은 5회로 나누어서 게재합니다.)[출처] 두바이 워터프런트 개발 - 3. 결언|작성자 mltm_port
www.shop-dwg.co.kr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내] 제5주(3.31.목) 강의안 추가 (정보서비스와 이론의 발전) (스크랩 본문 허용) (0) | 2011.06.10 |
---|---|
[건설] 두산건설(주) 일산 두산 위브더제니스 주상복합건설현장 (0) | 2011.06.10 |
[제6주(4.8.금)] 강의안내 & 강의안 (스크랩 본문 허용) (0) | 2011.06.10 |
콘크리트 줄눈(Joint)의 종류. (0) | 2011.06.10 |
2009.3.16. 바닥 미장 2 (0) | 201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