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에 콘크리트관통 특수폭탄(TB:ThermoBaric) 사용.85년 실전배치..인명살상.화재 동시 효과 노려, 군, 연평도서 불발탄 20여발 수거 분석 중.
김정일 부자, 포격 전 황해도 지역 방문.북한은 지난 23일 연평도에 콘크리트를 관통하고 화재를 일으키는 특수 폭탄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폭탄은 북한이 개발해 1985년부터 실전배치한 것으로 정보당국은 분석하고 있다.군 고위 소식통은 11월 25일 "북한이 연평도에 발사한 포탄을 수거해 1차 분석한 결과 콘크리트를 관통하고 화염효과를 극대화하는 특수폭탄의 일종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폭탄은 폭발 때 고열과 고압으로 인명을 살상하고 콘크리트 시설을 파괴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군당국은 연평도에서 북한이 발사한 이 포탄의 불발탄 20여발을 수거해 정밀 분석 중이며, 북한이 1985년부터 실전배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소식통은 "북한이 연평도에 발사한 포탄은 '열압력탄(TB:ThermoBaric)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북한이 대규모 인명을 살상하고 화재를 발생시켜 혼란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 특수폭탄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송영선 미래희망연대 의원은 전날 국회 국방위에서 "북한이 개머리 해안포에서 쏜 곡사포는 북한이 여태까지 개발해놓은 열압력탄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반 곡사포는 한번 폭발하고 끝나지만 영상을 보니 이중 폭발을 하는데 이는 열압력탄의 특징"이라고 주장했다.이에 대해 김태영 국방장관은 "열압력탄 상황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답했다.군 소식통은 "불발탄 20여발을 수거해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실체가 드러날 것"이라며 "1차 지상에 떨어진뒤 2차 폭발해 화염을 일으킨 것으로 미뤄 열압력탄과 유사한 특수 폭탄이 명확하다"고 강조했다.또 군은 북한군 해안포기지에 대한 피해 현황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이에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여러 수단을 통해 북한군의 피해상황을 분석하고 있다"면서 "이런저런 것들을 확인하고 있으며 (피해현황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 "K-9 자주포 1발의 피해지역은 50x50m로 북한군이 발사한 포의 피해지역(15x15m)에 비해 넓다"며 "80발 정도면 사격 대상지역이 초토화됐을 것으로 보고 추가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그러나 '북한의 2차 포격이 끝난 직후 우리 군에 전투기로 폭격을 하라는 지침이 내려졌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면서 "당시 우리 군 전투기들은 공중전과 공대지 공격 등 모든 상황을 염두에 두고 임무를 수행했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북한군의 포격 도발에 앞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후계자인 김정은(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과 함께 황해도 지역의 양어장과 오리농장 등을 방문해 공격을 앞두고 현장지도를 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정부 당국자들은 현재 연평도 도발을 전후한 김정일 부자의 동선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국회 국방위원회의 핵심 관계자는 "김정일 부자가 황해도에 갔다면 그쪽 주요 인사들이 몰려왔을 것이고 당연히 북한군의 김격식 4군단장도 만나러 왔을 것"이라며 "김격식이 이번 해안포 사격을 주도했다면 만나는 과정에서 결재나 추인이건 이뤄졌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일 부자가 황해남도 룡연군의 룡호오리공장과 룡연바닷가양어사업소, 룡정양어장을 각각 현지지도했다고 11월 22일 전했다.이번 시찰에는 노동당 정치국 위원인 김기남.최태복.홍석형(이상 당 비서 겸직), 김경희(당 경공업부장"), 당 정치국 후보위원인 장성택(국방위원회 부위원장"), 태종수(당 비서")가 수행했으며 양어사업소와 양어장 시찰에는 이들 외에 북한군 대장들인 김원홍.김명국.현철해.리명수가 포함됐다.김정일 부자가 방문한 지역은 연평도 포격 도발이 있었던 강령군 개머리 기지와는 80㎞ 정도 떨어진 곳으로, 4군단 예하 부대를 방문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군 정보당국 관계자는 "22일자로 북한 언론은 김정일 부자가 황해도 지역의 양어장 등을 방문했다고 보도했는데 실제 방문시점은 분명치 않다"면서 "군 부대를 방문했는지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연합뉴스] 2010.11.25.☞ 아침안개 추가자료: 열압력탄(TB:ThermoBaric)
재래식 포탄보다 인명살상력과 건물등의 구조물의 파괴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개발된 포탄이다.포탄의 폭발시 발생하는 '충격파(Blast wave)'의 시간을 연장하여 살상효과를 높이는 것이다.15%의 연료(燃料)와 75%의 산화제(Oxidizer)로 구성된 재래식폭약(conventional explosivesgunpowser)인'Fuel-oxygen Premix'와 달리 폭발시 주변의 공기를 흡수하여 폭발시의 충격파 발생 시간을 더 길게 만드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미국,영국,독일,러시아 만이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미군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탄(彈)은 BLU-73 FAE I, BLU-95 500-lb (FAE-II), BLU-96 2,000-lb (FAE-II),CBU-55 FAE I, CBU-72 FAE I등이다.
▼ 미군의 CBU-55와 CBU-72
동영상 : 열압력탄(TB:ThermoBaric) 투하 장면과 Discovery에서 2003년 방영한 위력(威力)실험 보기국방부 "위력 키운 고폭탄으로 공격 추정""열압력탄 사용 흔적 발견 못해"
"방사포탄에도 1번..천안함 관련 北주장 허위 입증"
피해 주택가에 떨어진 포탄 탄피 북한의 연평도에 대한 기습 포격 사흘째인 25일 오전 옹진군 연평면 주택가에서 발견된 포탄 탄피들. 2010.11.25지난 11월 23일 연평도에 떨어진 북한의 포탄은 위력을 강화한 고폭탄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국방부가11월27일 밝혔다.국방부 관계자는 북측이 사용한 포탄과 관련 "현재 고폭탄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고폭탄을 더 강화시키는 어떤 재질을 넣어서 화염이나 위력을 더 키운 탄약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이것도 좀 더 기술조사를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TNT와 RDX가 들어간 고성능 화약에 알루미늄 분말 같은 것을 섞으면 화염이 커지고 폭발력이 늘어난다"며 "아마 그런 현상의 탄약이 아닐까 하는 관점에서 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K-9자주포대에 떨어진 북한 포탄지난 11월 23일 북한의 포격을 받은 연평부대 의 k-9 자주포대에서 11월 25일 김정수 중대장이 북한 포탄을 들어 보이고 있다. 2010.11.25그는 "우리 기술조사팀에서 들어가서 폭파현장의 특성 등을 확인한 결과 지금까지는 열압력탄의 흔적을 찾을 수는 없었다"며 "추가로 수거한 재질들을 통해 지속 확인 중"이라고 전했다.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는 "지난 23일 연평도를 포격한 122㎜ 방사포탄 노출 부분에서 '1'이라는 숫자가 발견됐고 천안함 폭침시 사용된 북한 어뢰추진체에 표기된 1번과 표기 방법이 유사했다"고 밝혔다.이 관계자는 "이런 사실을 분석한 결과 북한은 무기에 손으로 글자나 숫자를 쓰고 있으며 글자는 유성매직 등을 이용해 표기하고 쓰인 글씨는 고열에도 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북한이 그동안 무기에는 기계로만 글씨를 새긴다든지, 글씨가 고열에 녹아서 없어져야 한다든지 하는 어뢰조작 주장은 허위임이 명백히 밝혀졌다"고 평가했다.그는 "현재 수거한 포탄이 30여종인데 대부분 원형상태로 수거한 것이 아니고 부분적으로 많이 파손됐기 때문에 현재 1번이라는 글씨체가 식별된 다른 추진체는 없다"고 덧붙였다.
www.shop-dwg.co.kr
김정일 부자, 포격 전 황해도 지역 방문.북한은 지난 23일 연평도에 콘크리트를 관통하고 화재를 일으키는 특수 폭탄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폭탄은 북한이 개발해 1985년부터 실전배치한 것으로 정보당국은 분석하고 있다.군 고위 소식통은 11월 25일 "북한이 연평도에 발사한 포탄을 수거해 1차 분석한 결과 콘크리트를 관통하고 화염효과를 극대화하는 특수폭탄의 일종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폭탄은 폭발 때 고열과 고압으로 인명을 살상하고 콘크리트 시설을 파괴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군당국은 연평도에서 북한이 발사한 이 포탄의 불발탄 20여발을 수거해 정밀 분석 중이며, 북한이 1985년부터 실전배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소식통은 "북한이 연평도에 발사한 포탄은 '열압력탄(TB:ThermoBaric)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북한이 대규모 인명을 살상하고 화재를 발생시켜 혼란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 특수폭탄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일 부자가 황해남도 룡연군의 룡호오리공장과 룡연바닷가양어사업소, 룡정양어장을 각각 현지지도했다고 11월 22일 전했다.이번 시찰에는 노동당 정치국 위원인 김기남.최태복.홍석형(이상 당 비서 겸직), 김경희(당 경공업부장"), 당 정치국 후보위원인 장성택(국방위원회 부위원장"), 태종수(당 비서")가 수행했으며 양어사업소와 양어장 시찰에는 이들 외에 북한군 대장들인 김원홍.김명국.현철해.리명수가 포함됐다.김정일 부자가 방문한 지역은 연평도 포격 도발이 있었던 강령군 개머리 기지와는 80㎞ 정도 떨어진 곳으로, 4군단 예하 부대를 방문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군 정보당국 관계자는 "22일자로 북한 언론은 김정일 부자가 황해도 지역의 양어장 등을 방문했다고 보도했는데 실제 방문시점은 분명치 않다"면서 "군 부대를 방문했는지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연합뉴스] 2010.11.25.☞ 아침안개 추가자료: 열압력탄(TB:ThermoBaric)







"방사포탄에도 1번..천안함 관련 北주장 허위 입증"


[연합뉴스] 2010.11.27.
www.shop-dwg.co.kr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면 석면의약품 (0) | 2011.06.09 |
---|---|
최근 소비자 울리는 피라미드 판매유형 분석 및 대책 (0) | 2011.06.09 |
건축공사 공사감리 (0) | 2011.06.09 |
아미산 전망대 공원 건립공사 감리용역 (0) | 2011.06.09 |
전기공사감리의 배치기준 (0) | 2011.06.09 |